牧(목) 조선(朝鮮) 시대(時代)와 고려(高麗) 때의 지방(地方) 행정(行政) 단위(單位). 각 목에는 정3품(正三品)의 목사(牧使)를 두어 다스리게 했음. 고려(高麗)에서는 성종(成宗) 때에 양주(楊州), 해주(海州) 등(等) 12목을 두었다가 8대 현종(顯宗) 때에 8목으로 고치고,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에는 20목을 두었음 牧豎(목수) 목동(牧童) 牧歌(목가) 목동이나 목자가 부르는 노래. 목자나 농부(農夫)들의 자연(自然) 생활(生活)을 주제로 한 서정적이며 소박(素朴)한 전원시(田園詩) 牧歌的(목가적) 목가처럼 평화(平和)롭고 한가(閑暇)한 牧乾草(목건초) 가축(家畜)에게 먹일 말린 풀 牧谿(목계) 남송(南宋) 말엽(末葉)의 수묵(水墨) 화가(畵家). 이름은 법상(法常). 촉(蜀)나라 사람. 간결한 선의 묘사(描寫)로 형체(形體)를 확실(確實)히 파악(把握)한 특색(特色)을 나타내어, 송대(宋代) 수묵화(水墨畵)의 대표자(代表者)로 알려짐. 작품(作品) 『관음도(觀音圖)』『원학도(猿鶴圖)』 등(等) (1225~1265) 牧官(목관) 고려(高麗)와 조선(朝鮮) 때에, 지방(地方) 행정(行政) 단위(單位)의 하나인 목을 맡아 다스리던 정3품(正三品) 외직 문관(文官) 牧農(목농) '목축(牧畜)농업(農業)'의 준말. 목축(牧畜)과 농업(農業) 牧丹(모란) 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落葉) 활엽(闊葉) 관목(灌木). 높이 2m가량. 잎이 크며, 늦봄에 붉고 큰 꽃이 핌. 뿌리의 껍질은 두통(頭痛)ㆍ요통ㆍ지혈ㆍ진통제(鎭痛劑) 등(等)의 약재(藥材)로 쓰임. 관상용(觀賞用) 또는 약재(藥材)로 재배(栽培)함. 목단(牧丹). 목작약(木芍藥) 牧丹江(목단강) ①중국(中國) 동북부(東北部) 흑룡강성(黑龍江省) 남동부(南東部) 송화강(松花江) 지류(支流)의 목단강에 따라 있는 상공업(商工業) 도시(都市). 목단강 유역(流域)의 임업(林業) 중심지(中心地)이며 제지, 제재 공업(工業)이 성(盛)함. 교통(交通) 상(上)의 요지(要地)임. 인구(人口) 25만 ②중국(中國) 동북(東北) 지구(地區)에 있는 송화강의 지류(支流). 길림성(吉林省)의 목단령(牧丹嶺)에서 시작(始作)하여 흑룡강성으로 들어가 일단 경박호(鏡泊湖)로 흘러 목당강시(市)를 거쳐 송화강에 합침. 임산물(林産物)의 운반(運搬)과 댐 등(等)에 이용(利用)됨. 길이 6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