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는 다양한 민족, 종교, 문화가 공존하는 나라이므로, 힌두 여인들의 복식 역시 지역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하지만 몇 가지 대표적인 전통 복식들이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른 특징과 의미를 지닙니다.
다음은 인도의 힌두 여인들이 즐겨 입는 주요 복식들입니다.
1. 사리 (Saree / Sari)
설명: 인도를 대표하는 여성 전통 의상으로, 약 4~9미터 길이의 직사각형 천을 몸에 두르는 방식으로 입습니다.
바느질을 하지 않은 한 장의 천으로 되어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연출할 수 있습니다.
구성:
사리 (Saree): 몸에 두르는 주된 긴 천.
촐리 (Choli): 사리 안에 입는 짧은 블라우스로, 보통 배꼽 부분이 드러나며 몸에 꼭 맞게 재단됩니다.
소매 길이와 목선은 다양합니다.
페티코트 (Petticoat) 또는 레헹가 (Lehenga): 사리 안에 입는 속치마로, 사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징:
다양한 연출: 사리를 두르는 방식은 지역별로 80가지가 넘을 정도로 매우 다양하며, 이에 따라 착용자의 신분, 지역, 종교적 배경 등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재료와 디자인: 실크, 면, 조젯 등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자수, 프린트, 비즈 등 화려한 장식이 더해지기도 합니다.
상징성: 결혼식 등 중요한 행사에서 입는 정장과 같은 의상으로, 색상과 문양이 사회적 지위나 행사 성격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결혼식 신부는 주로 붉은색 사리를 입습니다.
2. 살와르 까미즈 (Salwar Kameez)
설명: 인도 북부, 특히 펀자브 지역에서 유래한 의상이지만, 현재는 인도 전역에서 일상복으로 널리 입는 편안한 투피스 의상입니다.
원래는 무슬림 여성들이 입던 옷이었으나 종교와 상관없이 즐겨 입습니다.
구성:
까미즈 (Kameez): 허리 아래 또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긴 상의로, 옆트임이 있어 활동하기 편리합니다.
몸에 밀착되는 스타일부터 헐렁한 스타일까지 다양합니다.
살와르 (Salwar): 허리는 넉넉하고 발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헐렁한 바지입니다.
'추리다르 (Churidar)'는 살와르와 비슷하지만 엉덩이 부분이 더 타이트하고 발목 부분에 주름이 잡히는 형태입니다.
두파타 (Dupatta) 또는 오르나 (Orhna): 긴 스카프 형태로, 목에 두르거나 어깨에 늘어뜨리거나 머리에 쓰기도 합니다.
특징:
편안함: 사리에 비해 활동성이 좋아 일상생활에서 주로 착용합니다.
다양한 스타일: 소재, 디자인,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이 있어 캐주얼한 복장부터 파티용 복장까지 폭넓게 활용됩니다.
3. 레헹가 촐리 (Lehenga Choli) 또는 가그라 촐리 (Ghagra Choli)
설명: 주로 축제, 결혼식, 특별한 행사 등 격식 있는 자리에 입는 화려한 쓰리피스 의상입니다.
인도 서부, 북부, 북서부 지역에서 특히 인기가 많습니다.
구성:
레헹가 (Lehenga) 또는 가그라 (Ghagra): 허리에서부터 넓게 퍼지는 긴 스커트로, 주름이 많고 화려한 자수나 장식으로 꾸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목이나 정강이 중간 정도 길이로 입습니다.
촐리 (Choli): 레헹가와 함께 입는 짧은 상의로, 보통 배와 가슴 사이가 드러나는 크롭탑 형태입니다.
두파타 (Dupatta): 어깨나 머리에 두르는 긴 스카프입니다.
특징:
화려함: 주로 실크, 벨벳 등 고급 소재에 정교한 자수와 비즈 장식이 더해져 매우 화려합니다.
결혼식 복장: 인도 신부들이 결혼식에서 사리 외에 레헹가 촐리를 입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아나르칼리 수트 (Anarkali Suit)
설명: 16세기 무굴 제국의 전설적인 궁정 무희 '아나르칼리'에서 이름을 따온 복식으로, 허리선에서부터 아래로 넓게 퍼지는 우아한 실루엣이 특징인 튜닉 스타일의 상의와 바지로 구성됩니다.
구성:
아나르칼리 (Anarkali): 상의가 허리선에서부터 A라인으로 퍼지는 튜닉 형태의 드레스.
추리다르 (Churidar): 아나르칼리 안에 입는 몸에 딱 붙는 바지.
두파타 (Dupatta): 함께 매치하는 스카프.
특징:
고급스러움: 보통 실크나 쉬폰 같은 고급 소재로 만들어지며, 자수나 장식으로 화려하게 꾸며져 파티나 축제 등 격식 있는 자리에 잘 어울립니다.
로열티: 무굴 시대의 화려함과 고귀함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 많습니다.
5. 쿠르티 (Kurti) / 쿠르타 (Kurta)
설명: 일상적으로 입는 헐렁한 상의로, 남성용은 쿠르타, 여성용은 쿠르티라고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무릎 정도까지 오는 긴 길이로, 편안함이 특징입니다.
구성:
쿠르티/쿠르타: 긴 상의.
하의: 레깅스, 살와르, 청바지 등 다양한 하의와 매치할 수 있습니다.
특징:
일상복: 가볍고 통풍이 잘 되는 소재로 만들어져 일상생활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의상입니다.
다양한 디자인: 캐주얼한 면 소재부터 화려한 자수가 놓인 파티용까지 다양한 스타일이 있습니다.
6. 메켈라 사도르 (Mekhela Sador)
설명: 인도 북동부 아삼 주의 전통 의상으로, 두 개의 천 조각을 몸에 늘어뜨려 입는 독특한 형태입니다.
구성:
메켈라 (Mekhela): 허리에 넓게 접어 입는 원통형 사롱 (하의).
사도르 (Sador): 긴 천 조각으로, 한쪽 끝을 메켈라의 윗부분에 넣고 나머지는 몸을 감싸는 상의.
특징:
지역 특색: 아삼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보여주는 복식입니다.
7. 기타 액세서리 및 장식
인도 힌두 여인들의 복식은 옷 자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액세서리와 장신구로 완성됩니다.
빈디 (Bindi): 이마에 찍는 점으로, 전통적으로 붉은색은 기혼 여성을 상징했지만 요즘은 기혼, 미혼 상관없이 다양한 색상의 패치를 붙입니다.
망갈수트라 (Mangalsutra): 힌두교 기혼 여성들이 착용하는 목걸이로, 결혼의 상징입니다.
팔찌 (Bangles):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의 팔찌를 여러 개 겹쳐 착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찌 (Anklets): 발목에 착용하는 장신구입니다.
코걸이 (Nose Ring): 코에 착용하는 장신구로, 특히 결혼식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헤나 (Henna/Mehndi): 손이나 발에 그리는 문양으로, 특별한 행사나 결혼식 때 많이 합니다.
인도의 여성 복식은 화려한 색상, 섬세한 자수, 그리고 다양한 천의 활용이 특징이며, 이는 인도의 풍부한 문화와 예술을 반영합니다.
각 지역마다 고유한 직조 기술과 염색 방식, 디자인이 발전하여 더욱 다채로운 복식 문화를 형성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