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는 고려 때부터 대 항몽전 등 병자호란과 임진왜란,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양호 사건과 강화도조약을 체결하는 등 숱한 국난을 겪은 역사의 현장이며 보고이다. 강화는 한때 약 39년간 나라의 수도역할을 담당하기도 했고, 단군왕검의 역사적 신화가 깃들인 참성단 등 숱한 유물과 유적들로 가득 차 있는 곳이다.
국가지정문화재로 오층석탑과 강화 동종, 정수사 법당, 전등사 대웅전, 전등사 약사전, 전등사 범종, 석조여래입상, 철 아미타불좌상 등 보물이 있으며, 국가지정 사적으로는 삼랑성, 강화산성, 고려궁지, 참성단, 지석묘, 홍릉, 초지진, 덕진진, 광성보, 선원사지, 갑곶돈대, 석릉, 가릉, 곤릉, 성공회 강화성당, 강화성 등이 있다.
강화는 왕족과 귀족들의 유배지로도 유명하다.
고려시대 8명, 조선시대 14명 등 22명의 왕족들이 유배되었던 곳이기도 하다.
고구려시대 혈구로 불렸던 강화는 신라 경덕왕 때 해구군으로 개칭되었고, 고려전기 강화로 이름이 바꾸었다.
고려 고종은 몽골과의 항전 때 1232년(고종 19) 몽골침입을 당해 강화를 수도로 삼은 뒤 군으로 승격시키고 강도(江都)로 이름지었다. 1895년 강화군으로 개칭되었고, 1915년 교동면과 통합되었다. 1973년 강화면에서 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통합되었다.
이처럼 강화도는 섬 전체에 역사의 흔적이 가득하다. 가히 지붕없는 박물관이라 할만하다.
♕ 강화 8경.
1. 갑곳 돈대
북쪽으로는 갑곶나루가 위치하고 있어서 김포의 문수산성과 통할 수 있는 통로로서 활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그 자취를 찾을 수 없다. 남쪽으로는 강화역사관이 위치하고 있고, 국민의 국방교육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돈대는 고려 고종 19년(1232)부터 원종 11년(1270)까지 도읍을 강화도로 옮긴 후 조선 인조22년(1644)에 설치된 제물진(갑곶진)에 소속된 이 돈대는 숙종 5년 (1679)에 죽조 되었다. 고종 3년(1866) 9월 7일 병인양요 시 프랑스 극동함대가 600명의 병력을 이끌고 강화산성, 문수산성 등을 점령하였다. 그해 10월13일 프랑스군은 삼랑성(정족산성) 전투에서 양헌수 장군의 부대에 패해 패주 하면서 많은 문화재를 소실하거나 탈취하였다.
- 갑곶돈대 내에는 조선시대의 대포가 전시되어 있다.
2. 광성진
이곳은 사적 제227호로 강화해협을 지키는 자연 지형이 험한 요새로 강화 12진보의 하나이다. 고려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천도한 후에 돌과 흙을 섞어 해협을 따라 길게 쌓은 성터이다. 불은면 덕성리 해반에 소재하고 있으며, 강화해협과 김포와 마주보고 있다.
광성보는 강화에 여러 진이 설치되기 시작한 1658년에 설치되었는데 1679년 돈대를 쌓을 때 화도돈·오두돈·광성돈이 함께 축조되었다. 1745년(영조 21)에 성을 석성으로 개축하면서 안해루 성문을 건립하였고 그 후 1679년에 완전한 석성으로 축조하였다.
1871년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했던 격전지로 통상을 요구하며 강화해협을 거슬러 올라오는 미국 로즈함대를 덕진진, 초지진, 덕포진 등의 포대에서 일제히 사격을 가하여 물리쳤다. 그러나 4월 23일 미국 해병대가 초지진에 상륙하고, 24일에는 덕진진을 점령한 뒤, 여세를 몰아 광성보로 쳐들어왔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어재연 장군을 중심으로 용감히 항전하였으나 열세한 무기로 분전하다가 포로되기를 거부하여 몇 명의 중상자를 제외하고 순국하였다. 전사한 어재연 장군과 쌍충비와 약 50여 명의 순국영령들을 기리기 위한 신미순의총이 광성보에 있다.
3, 마니산
마니산은 해발469.4m의 높이로 세 봉우리가 나란히 서있어 먼곳에서 보면 그 모양이 아름답고 웅장한 명산으로 참성단은 그 중간 봉우리에 위치하고 있다. 올라서서 보면 남쪽으로 서해의 여러 섬이 보이고 맑은 날에는 북쪽으로 개성의 .
송악산이 보인다
마니산 정상의 참성단은 고려사나 신동국여지승람에는 단군 왕검이 춘추로 천제를 올리던 곳이라 전하고 있다. 경주의 첨성대처럼 기초는 하늘을 상징하여 지름은 8.7m로 둥글게 쌓고 단은 땅을 상징하여 6.6m의 정방형 네모로 쌓아 하원상방형을 이루고 있다. 이곳은 백두산 천지와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고 한다.
해마다 음력 10월 3일에 천제암궁지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또한 전국체육대회 때마다 대회장에 타오르는 성화는 이곳에서 7선녀에 의해 성화가 채화되어 대회장을 밝히고 있다.
4. 초지진
사적 제225호로 강화의 동남단 길상면 초지리에 위치하고 김포시 대명리와 마주 보이는 곳이다. 1656년 진이 설치되었고 고종3년(1866) 10월 천주교 탄압을 구실로 침입한 프랑스군 극동함대 및 고종 8년(1871) 4월에 통상을 강요하며 내침한 미국 로저스의 아세아 함대, 고종 12년(1875) 8월 침공한 일본군함 운양호와 치열한 격전을 벌인 격전지이다. 성축과 홀로 남은 노송에는 당시의 포탄자국이 남아 있다. 1973년 문화재관리국에서 당시의 격전지인 길상면 초지진의 옛 모습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5. 연미정
이 정자의 초창 년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고려 고종이 구재(九齋)하기 위하여 학생을 이곳에 모아놓고 면학(勉學)케 하였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후 조선 중종 5년 (1510) 삼포왜란때 방어사가 되어 왜적을 무찌르고, 중종7년 (1512) 순변사가 되어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황형에게 이 정자를 하사하였다 한다.
이곳은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여 한 줄기는 서해로, 또 한줄기는 강화해협(염하강)으로 흘로 그 모양이 마치 제비꼬리 같다 하여 연미(燕尾亭)라 하였다 한다. 정자 주위에 석축이 둘러쳐져 있고, 평지 위에 사방 8m의 바닥을 높이고 10개의 기둥을 세워 지붕을 얹어 만든 팔작집으로 영조 20년(1744) 중건, 고종 28년(1891) 중수 등 수차에 걸쳐 보수하였다. 조선 인조 5년(1627) 정묘호란 시 이곳에서 청국과 강화조약(講和條約)을 체결 한 곳이기도 하다.
이에 조선에서는 강화에 5진 7보 8포대 54돈대를 설치하였는데, 섬 전체가 마치 톱니바퀴가 감싸고 있는 모습이 된 것이다.
파주시, 동으로는 김포시 한눈에 들어오기도 한다. 옛날에는 서해로부터 서울로 가는 배가 이 정자 밑에 닻을 내려 조류를 기다려 한강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6.보문사
7. 전등사
8. 적석사
(
♕서도중앙교회
|
1902년 삼산면에 거주하던 천주교 전도사 윤정일이 복음을 전도하기 위해 이곳 주문도리에 들어왔고, 1905년에는 교회와 신도가 마음을 모아 영생학교를 설립하여 민족의식을 고취시켰으며, 1923년 2월 교인들의 헌금으로 교회신축에 착공하여 동년 7월에 한옥예배당을 신축하였다. 1978년 주문교회에서 서도 중앙교회로 이름을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종탑부로 사용되던 건물 전면의 구조물(정면 2칸, 측면 1칸)까지 합하면 정면 4칸, 측면 8칸의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마루는 적새 5단으로 구성되었고, 귀마루와 내림마루로 연결된다.
건물의 전면 합각부에 연결된 종탑부는 2층으로 이루어졌으며 상층지붕은 우진각지붕으로 꾸몄다. 건물의 외부를 살펴보면,
정면 종탑부 돌출부 2칸에 모두 2짝의 합판 플러쉬문을 달아 교회의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탑부의 2층에는 정면 2칸과 측면 각 1칸씩 모두 4면에 팔각의 창호에 십자모양의 격자를 내어 미려한 느낌을 자아낸다.
종탑부를 제외한 건물의 외벽에는 하부에 화방벽을 설치하고 상부는 창호와 회벽을 번갈아 배치하였다.
외벽 상부에 설치된 창호는 모두 목재 문틀로서 격자문양을 만들어 유리를 끼운 미서기 창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건물의 후면 중앙의 2칸에는 각각 십자 모양의 창호를 내어 비록 한식 건물이긴 하지만, 기독교적인 효과를 두고 있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며, 홑처마집이다. 건물 안은 중세 전기의 서양교회 양식을 하고 있으나 매우 단순하여, 예배실로 쓰이는 좁은 신랑(身廊)과 측랑(側廊), 중앙의 강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 전통 목조건물의 가구형식을 바탕으로 서양교회를 지었다는데 큰 의미를 지닌다. |
♕강화산성
이 성은 고려 고종이 강화도로 천도하여 토성으로 축조하여 그 규모가 매우 광대하여 강화읍 선원면 일대를 돌려 쌓았으나 몽고군의 강요로 헐리었다. 이후 조선초에 이르러 토성을 석성으로 개축하였으나 인조 15년(1637)병자호란시 일부 파손되어 효종 3년(1652)에 보수 하였다. 숙종 3년(1677) 유수 허질이 전면은 돌로 후면은 흙으로 개축 확장하였으며 그후 동.서. 북쪽의 일부는 숙종 35년 (1709)에 유수 박권이. 동.남의 일부는 숙종 37년(1711) 유수 민진원이 완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성은 치첩 1813개소, 4대문 (동.서.남.북), 4소문, 2수문, 4개의 성문장청등을 설치했다.
동문: 망 한루(望漢樓) 서문: 첨화루(瞻華樓) 남문: 안파루(晏波樓) 북문: 진송루(鎭松樓)라 하였다.
♕고려궁지
지금으로부터 760여년 전 몽고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고려 왕조가 강화도로 피난했을 당시 임금님이 거쳐하시던 궁궐로 이곳에서 약 39년간(1232~1270) 몽고에 항쟁하였다.
강화로 천도해온 고종은 약 2년에 걸쳐 연경궁을 본궁으로 궁궐과 관아를 지어 건물의 명칭을 전부 개성의 궁궐과 똑같이 하고 궁궐뒷산도 송악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궁궐은 몽고와의 화친에 따라 허물었으며 현재 궁지 내에는 강화지역을 다스렸던 유수부가 있다. 또한 고려궁지 내에는 외규장각이 있었으며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들이 이곳에 있던 많은 서적들과 은궤, 지도 등을 약탈해 갔다.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있는 고서들도 이곳에서 약탈해간 것이다.
♕용흥궁
강화도령으로 잘 알려진 조선 철종(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거처하였던 잠저(潛邸)이다. 강화유수 철종 4년(1853)에 지금과 같은 건물을 짓고 용흥궁(龍興宮)이라 하였다. 좁은 골목 안에 대문을 세우고 행랑채를 두고 있어 창덕궁 낙선재와 같이 소박한 분위기를 풍긴다. 궁 안에는 철종 잠저임을 기록한 비석과 비각이 있다.
♕성공회성당
1890년 성공회가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전파된 후 1893년 영국인 왕란도 신부가 강화읍 갑곶리에서 회당 겸 사택을 매수하고 이곳에서 전도를 시작하였다. 그후 왕란도 신부는 본국으로 돌아가고 1896년 조마가 신부가 부임하여 강화읍에서 김마가(김희준)를 전도하였다. 1897년에는 영화원이라는 보육원을 개설하고 서양 의술로 많은 환자를 치료 하였으며, 현재 건물은 1900년에 지어졌는데 성당을 한옥식 건물로 지어 올려 동,서양의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백두산에서 운반해온 나무로 지었다고 한다. 전체 성당의 모습은 배모양을 취하고 있으며 성당의 내부는 전형적인 바실리카양식이다.
♕ 강화평화전망대
강화평화전망대는 2006년 말부터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었던 양사면 철산리 민통선 북방지역 임야에 지하1층 지상4층 규모로 타 지역에선 전망하기 힘든 이북의 독특한 문화 생태를 아주 가까이에서 느낄 수 있고 비교할 수 있도록 준공되어 2008년 9월 5일 개관하였다.
2층에는 고성능 망원경과 전쟁의 참상과 흔적을 볼 수 있는 강화의 국방체험과 북한의 도발, 남·북한의 군사력 비교, 통일정책을 볼 수 있는 끝나지 않는 전쟁과 우리는 한민족, 북한으로의 여행을 경험할 수 있는 통일로 가는 길, 끝으로 한국전쟁 당시의 배경과 국내·외 전쟁 발발과정 및 그 이후 생애 잊지 못할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상황 등을 영상시설을 통해 볼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3층에는 이북의 온 산하가 한눈에 가까이 볼 수 있는 전망시설과 흐린 날씨에도 영상을 통해 북한 전경 등을 볼 수 있도록 스크린 시설이 되어 있다.
전방으로 약2.3㎞ 해안가를 건너 예성강이 흐르고 우측으로 개성공단, 임진강과 한강이 합류하는 지역을 경계로 김포 애기봉 전망대와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 일산신시가지가 위치해 있으며 좌측으론 중립지역인 나들섬 예정지와 연백군으로 북한주민의 생활모습과 선전용 위장마을, 개성공단 탑, 송악산, 각종 장애물 등을 조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