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성 평가 문제 >
1.다음에서 관형어가 들어 있는 말은 ?
1)영희가 왔다.
2)그는 빨래를 달린다.
3)영희가 책을 읽는다.
4)작은 소녀가 왔다.
5)나비가 훨훨 난다.
2. 다음에서 관형어를 만드는 조사는?
1)의
2)는
3)가
4)을
5)도
3. 다음에서 과거를 나타내는 동사의 관형사형이 쓰인 것은?
1)올 사람은 영수다
2)온 사람은 영수였다.
3)오기는 어려웠다.
4)오는 사람은 영수다.
5)오고 가는 사람이 많다.
4.“영희가 만든 인형은 예뻤다,”에서 ‘인형’은 ‘만든’의 무슨 성분이 되는가?
1)주어
2)목적
3)보어
4)부사어
5)서술어
5. 다음에서 부사가 들어 있는 것은?
1)나는 새 옷을 샀다.
2)영희는 예쁜 옷을 입었다.
3)그는 영희에게 책을 주었다.
4)나는 책 두 권을 받았다.
5)빨간 장미가 피었다.
6. 다음에서 문장 전체를 꾸미는 부사어는?
1)매우
2)너무
3)아주
4)겨우
5)과연
7.다음 문장에서 독립어는 어느 것인가?
활동, 이것이 있으면 살고 없으면 죽는다.
1 2 3 4 5 6
< 심화 학습 문제 >
1.다음 문장에서 관형어는 모두 몇 개인가?
이것은 어는 시인의 젊은 시절의 이야기이다.
1)2개
2)3개
3)4개
4)5개
5)6개
2.밑줄 친 말이 관형어가 아닌 것은?
1)넒은 바다
2) 고향에서의 상봉
3)예쁘게 웃는다.
4)두 마리의 황소
5)철수가 입은 새 옷
3. 다음 관형어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1)관형어는 체언 앞에만 놓인다.
2)관형어는 단독으로 쓰이지 못 한다.
3)관형어는 둘 이상 겹쳐 올 수도 있다.
4)관형어는 바로 다음에 오는 체언만 꾸민다.
4. “소녀는 혼자 남아 슬피 울고 있었다.”에서 부사에 속아는 것은?
1)소녀는
2)혼자, 슬피
3)남아, 울고
4)혼자, 남아, 슬피, 울고
5. 다음 부사 중 원인을 나타내는 것은?
1)다섯 시에 오너라.
2)동생은 제주도에 있다
3)집에 돌을 던지지 말아라.
4)빗방울 떨어지는 소리에 잠이 깼다.
6.다음 밑줄 친 말이 문장 부사 인 것은?
1)나는 못 간다.
2)겨우 하나를 샀어?
3)범인은 바로 너다.
4)이게 바로 꽃이라는 것이다.
5)그리고 그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7. 다음 문장에서 독립어는?
집에 갔다 그리고 하루를 반성해 보았다.
1 2 3 4 5 6
*** 정답 ***
●형성 평가 문제●
1. 5) 관형어는 ‘어떤’의 뜻으로 체언을 꾸밉니다.
2. 1) ‘체언 +관형격 조사(의)’로 관형어가 됩니다.
3. 2) 현제: 는 과거: (으) ㄴ 미래: (으)ㄹ
4. 2) ‘영희가 만든 인형’은 “영희가 인형을 만들었다”가 바뀐 것입니다.
‘만들다’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입니다.
5. 3) ‘영희에게’ 는 서술어(용언)인 ‘주었다’ 를 꾸며서 그 뜻을 한정하므로 부사어입니다.
6. 5) ‘과연 그는 천재다’에서와 같이 ‘과영’은 문장 전체를 꾸밉니다.
7. 4)다른 성분과 직접 관계를 맺거나 결합하지 않고 독립 되어있는 성분
●심화 학습 문제●
1. 3)관형어: 체언을 꾸며서 그 의미를 한정해 주는 성분
2. 3)
3. 4)
4. 2)부사어: 주로 용언을 꾸며서 그 의미를 한정해 주는 성분
5. 4)
6. 5)
7. 2)독립어: 다른 성분과 직접 관계를 맺거나 결합하지 않고 독립 되어 있는 성분
첫댓글 수고하셨네요..
순님...꾸벅...
고맙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이번 토요일 스터디날 또 뵐게요, 선배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