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17차 마복산(馬伏山)-538.5m
◈산행일 : 2007년12월23일 ◈날씨 : 오전-맑음/오후-맑음
◈위치 : 전남 고흥군 포두면 옥강리 내산마을
◈참가인원 : 81명 ◈산행소요시간 : 4시간00분(10:15∼14:15)
◈교통:(우등고속관광김기준․주장환기사) : 마산(07:15)-산인요금소(07:30)-섬진강휴게소(08:18-46)-광양요금소(09:00)-2번도로-15,27번도로(09:35)-77번도로추가(09:47)-15번도로:포두방향(09:58)-내산마을표석(10:10)
◈산행구간 : 내산마을표석→마복사→마복산→봉수대→마복송→배재→마복산주차장
◈산행안내 : 전체(김기수), 선두(전임수), 중간(신종섭), 후미(박윤식)
◈특기사항 : 버스 2대 운행, 전남 고흥군․읍 소재 명동건강사우나(☏061-835-7700)에서 목욕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E234552CB50CE2E)
◈산행메모 : 광양요금소를 통과하여 2번국도를 따라 진행한다. 고흥․벌교갈림길에서 고흥방향으로 15번도로를 따라 간다. 27번과77번도로도 합쳐진 길이다. 포두방향으로 진입하면서 다시 27번도로와 헤어진다. 왼쪽으로 흥양농협남부주유소, 맞은편에 내산마을표석과 마복사표지판을 만나며 하차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1_cafe_2007_12_25_13_04_47708133d858b)
마복산은 말이 엎드려 있는 형상이라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오른쪽 내산마을로 올라가다가 마복사표지판 따라 왼쪽으로 올라간다. 시멘트로 포장이 된 길이다. S자를 그리며 30여분 올라가니 갈림길 이정표다(10:42).
뒤로 내산마을2.0, 왼쪽으로 마복사0.4, 마복산정상1.2, 직진으로 해재2.5, 마복산활공장3.2km다. 가로로 홈이 팬 시멘트 길로 7분간 오르니 왼쪽에 마복사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8_cafe_2007_12_25_13_04_47708162f174d)
오른쪽 길로 오르니 조립식건물을 만난다. 마복사에 딸린 건물로 보인다. 건물을 오른쪽에 끼고 오른쪽으로 돌아가니 간이시설의 샤워장도 만난다.
여기서 산길로 들어서고 왼쪽으로 돌며 치솟는다. 전망바위에 올라서니 기암괴석들이 펼쳐지고 위에서 봉이 기다린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7_cafe_2007_12_25_13_06_477081b504f3b)
왼쪽 바둑판모습의 해창간척지가 시원한 모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5_cafe_2007_12_25_13_05_47708183f0678)
좁은 바위틈으로 들어가서 양손을 짚고 올라서고, 막아서는 바위를 돌아가고, 네발을 이용하여 올라간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_cafe_2007_12_25_13_06_477081d9bf46e)
제멋대로 얼기설기 쌓인 바위를 통과하니 육산이다. 소사나무가 대부분인 잡목 숲으로 오르니 삼거리봉 이정표다(11:19).
뒤로 마복사0.5, 오른쪽으로 마복산0.3km다. 오른쪽에 다가온 마복산을 향해 내려간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1_cafe_2007_12_25_13_07_477081fac9357)
안부에 내려서니 덤불을 빨갛게 수놓은 청미래 열매가 눈길을 끈다. 잡목 사이로 봉에 올라서니 눈높이의 봉수대가 앞에서 기다린다(11:36).
밋밋하게 내려가서 오르니 정상이정표(해재2.1km)를 지나며 돌로 둥글게 쌓아올린 봉수대에 올라선다(11:4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1_cafe_2007_12_25_13_08_477082399b428)
오른쪽으로 멀리 제암산이 하늘 금을 긋고 왼쪽 뒤로는 바다건너에 팔영산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8_cafe_2007_12_25_13_09_477082613d779)
정면의 좌우로 펼쳐진 바다위로 크고 작은 섬들이 널려있는 다도해국립공원이다. 우주센터를 조성중인 외나로도에 눈길이 오래 머문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8_cafe_2007_12_25_13_10_477082977422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1_cafe_2007_12_25_13_10_477082c520e3f)
봉수대를 내려와서 이곳저곳에 점심식사를 위해 자리를 잡는다(11:43-12:11). 근처에서 왔다며 아름다운산행팀이 지나간다. 오늘 마복산을 찾은 단체는 두 팀이다. 오른쪽 아래로 메뚜기머리를 연상케하는 바위를 보며 이름이 궁금해진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_cafe_2007_12_25_13_11_477082f13d454)
해재1.7km 이정표 봉을 지나며 아래로 내려간다(12:22). 바위가 없는 잡목 숲이다.
목책으로 둘러진 마복송을 만난다(12:28-34). 고흥군에서 만든 조그마한 표지판도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5_cafe_2007_12_25_13_12_47708326a6fc5)
3단으로 쌓인 둥그런 바위를 만나며 올라가서4분간 밋밋하게 진행하다가 아래로 내려가니 흔들바위가 있는 전망바위다(12:57).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6_cafe_2007_12_25_13_13_4770834c4421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5_cafe_2007_12_25_13_14_4770838e89cda)
아래로 해재가 와있고 산줄기는 해재를 지나서 다시 솟아오르고 오른쪽으로 휘어지며 활공장으로 이어진다. 전망바위 오른쪽은 여러 모습의 바위가 모인 기암괴석의 전시장이다. 왼쪽으로 가서 줄도 잡으며 아래로 쏟아져 해재에 내려선다(13:07).
사거리이정표에는 직진으로 이륙장0.7, 왼쪽으로 노리목재2.8, 오른쪽으로 내산마을4.5km다. 시멘트포장도로 따라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_cafe_2007_12_25_13_14_477083b32c579)
청미래 열매를 자주 만난다. 갈림길 이정표다(13:15).
뒤로 해재0.3, 진행방향으로 외산마을2.0, 오른쪽으로 마복산입구2.0km다. 오른쪽으로 가야하는데 무심코 앞사람만 따라 내려간다. 갈림길을 만난다(13:35).
넓은 길을 버리고 오른쪽 임도로 진입한다. 외산마을에 들어서니 시멘트포장도로다(13:45).도로 따라 왼쪽으로 내려간다. 축사가 유난히 많다. 수확을 포기한 유자나무도 보인다. 내려가서 오른쪽으로 모롱이를 돌아가니 차량들이 지나는 15번도로가 다가온다. 내산마을회관을 지나 아침에 산행을 시작했던 내산마을표지석을 만난다. 우주센터방향으로 5분 남짓 진행하니 마복산주차장에 올라서고 산행이 끝난다(14:1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3/3_cafe_2007_12_25_13_23_477085b6d71ff)
나로대교준공기념탑에 들러 다도해국립공원의 절경을 감상한다. 썰물로 드러난 간석지에도 주인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4_cafe_2007_12_25_13_16_4770840f0eccd)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0_cafe_2007_12_25_13_16_477084207d14a)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5_cafe_2007_12_25_13_16_477084304ead9)
자기 구역을 표시한 경계가 농촌의 논밭을 연상케 한다. 나로도로 이동하여 생선회를 맛보는 여유도 즐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afefile/pds55/11_cafe_2007_12_25_13_17_4770844dafa40)
☆승차이동(15:20)-나로대교준공기념탑전망대(15:32-42)-내나로교-외나로교-나로도횟집(15:59-16:48)-마복산주차장(17:14)-목욕(17:27-18:41)-2번도로(19:10)-광양요금소(19:45)-섬진강휴게소(19:57-20:12)-산인요금소(21:01)-마산도착(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