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는 황락(黃洛). 중국 한(漢)나라의 장군(將軍)으로 교지국(交趾國)-지금의 월남-에 사신(使臣)으로 다녀오던 중 풍랑을 만나 신라 유리왕 5년 우리나라에 표착(漂着), 우리나라 황씨(黃氏)의 시조가 되었다. ‘병진보(炳辰譜)’서문에 보면, 그 때 그는 지금의 울진군평해(蔚珍郡平海)에 표착하여 월송굴산(月松堀山)에 터를 잡아, 자손들이 세거하게 됨으로써 관향(貫鄕)을 삼았다고 하였다. 그리고 후손에 3형제가 있어 이들이 큰 공을 세워 나라로부터 봉작(封爵)을 받았는데 큰 아들 갑고(甲古)는 기성군(箕城郡), 둘째 아들 을고(乙古)는 장수군(長水郡), 셋째 아들 병고(丙古)는 창원백(昌原伯)에 각기 봉해져 3관(貫)으로 분관(分貫)되었다고 하였다. 평해황씨(平海黃氏)는 큰 아들 기성군(箕城郡)의 후손이다. 기성(箕城)은 평해(平海)의 옛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뒤의 계대(系代)가 분명치 않아 고려조에 김오장군(金吾將軍)ㆍ태자검교(太子檢校)를 지낸 황온인(黃溫仁)을 기세조(起世祖)로 하여 세계(世系)를 잇고 있다.
본관지 연혁 |
|
평해(平海)는 본래 고구려의 근을어현(斤乙於縣)인데, 고려 초에 평해(平海)로 고쳤다. 현종 때 예주(禮州)에 속하였다가, 명종 2년 감무(監務)를 두었고, 충렬왕 때는 군(郡)으로 승격되었는데 조선조에 그대로 유지되다가 1914년에 울진군(蔚珍軍)에 편입되었다. 주된 성씨는 황(黃)ㆍ손(孫)ㆍ방(房)ㆍ영(永)ㆍ구(丘)ㆍ엽(葉)ㆍ하(河)ㆍ신(申)ㆍ김(金)ㆍ가(李)ㆍ박(朴)ㆍ정(鄭)씨 등이 있었다.
파명록 |
|
검교공파(檢校公派)제학공파(提學公派)ㆍ중랑장공파(中郞將公派)ㆍ전서공파(典書公派)ㆍ불권헌공파(不倦憲公派), 충절공파(忠節公派)예빈공파(禮賓公派)ㆍ소윤공파(少尹公派), 충경공파(忠敬公派) 의정공파(議正公派)ㆍ찬성공파(贊成公派)ㆍ밀직공파(密直公派)ㆍ관찰사공파(觀察使公派)(監司公派)
주요 세거지 |
|
6세 황원노(黃原老)가 평해(平海)에서 영주군(榮州郡) 남초곡리(南草谷里)로 옮겨갔던 사실이 ‘병진보(丙辰譜)’에 보이는 점으로 미루어 그 선대(先代)는 관향(貫鄕)인 평해(平海)에서 살았다고 믿어진다. 황원노(黃原老)의 자손들 중에서 9세 황전(黃銓)의 후계(後系)는 영주(榮州)에서 살다가 13세 황찬(黃瓚)의 대를 전후하여 일부 자손들이 경주(慶州)로 옮겨갔고 황전(黃銓)의 동생인 황현(黃鉉)의 후계(後系)는 14세 황래(黃萊)의 대에 일부가 강원도 정선(旌善)에, 일부는 17세 황윤철(黃潤哲)의 대에 경북 안동(安東)에 가 살았으며 13세 황여헌(黃汝憲)의 후계(後系)가 예천(醴泉)에, 14세 황변옥(黃卞玉)의 후계(後系)는 경주(慶州)ㆍ영천(永川)의 신녕(新寧) 등지에 나뉘어 정착했던 것으로 보인다. 9세 황정(黃鋌)의 후계(後系)는 영주(榮州)의 풍기(豊基)에서 살다가 예천(禮泉)ㆍ선산(善山)ㆍ상주(尙州)ㆍ단양(丹陽)으로 산거(散居)해갔던 사실이 ‘병진포(丙辰譜)’에 나타나 있다. 7세 황규(黃珪)의 자손들은 11세 황종(黃鍾) 이래로 경북 영덕(盈德)등지에서 살았고, 황현의 자손들은 선대(先代)부터 세거해온 평해(平海)에 많이 살았던 것 같다. 또한 7세 황천부(黃天富)의 자손들은 황천부(黃天富) 이래로 경주(慶州)에 세천지(世阡地)를 지키고 있으므로 그곳에 세거해왔던 것 같다. 4세 황단(黃端)의 6대손 황옥숭(黃玉崇)의 자손들은 평해(平海)에서 살다가 15세 황중신(黃中信)의 후계(後系)가 영천(永川)ㆍ울산(蔚山)ㆍ경주(慶州)ㆍ영일(迎日)등지로 가터를 굳혔고 15세 황중신(黃中信)의 후계(後系)는 황중숙이 병자란(丙子亂)을 피해 울진(蔚珍)에 가 살았던 이래 울진(蔚珍)에, 14세 황유일(黃有一)의 후계(後系)는 안동(安東)에서 살다가 17세 황명노(黃命老) 이래로 영주(榮州)에 정착했으며, 그밖에 13세 황득원(黃得元) 이래로 예천(醴泉)등지에 일부 자손들이 정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8세 황유보(黃有甫)의 자손들은 평해(平海)의 정명(正明)에서 살다가 일부가 13세 황세원(黃世元)의 대에 문경(聞慶)으로 옮겨가 살았으며, 14세 황삼계(黃參繼) 이래로 양산(梁山)에, 14세 황성승(黃成承) 이래로 삼척(三陟)에 자리잡은 자손들도 있다고 믿어진다. 한편 10세 황계조(黃繼組)의 자손들은 경기도 양주(陽州)에서 살다가 15세 황윤신(黃潤身)의 대를 전후하여 충북 괴산(槐山), 함남 함흥(咸興), 전북 김제(金堤), 경기도 강화(江華)로 옮겨가 살았으며, 10세 황익조(黃益組)의 자손들은 안변(安邊)에, 황보조(黃甫組)의 자손들은 13세 황계향(黃桂香) 이래로 경북 상주(尙州)와 강원도 고성(高城)에, 15세 황희남(黃禧男) 이래로 경북 의성(義城)에 산거(散居)하였다. 또한 10세 황치조(黃致組)의 자손들은 일찍이 강원도 춘천(春川)에 터를 굳혀 세거하였고, 9세 황란(黃鸞)의 자손들은 15세 황경호(黃景豪) 이래로 일부가 함남 고원(高原)에, 10세 황득도(黃得道) 이래로 영흥(永興)에, 13세 황건운(黃建雲) 이래로 흥원(興原)에 가 살았으며, 그밖에 14세 황신(黃信)의 대 이후에 회양(淮陽)에, 11세 황훈정(黃勳亭) 이래로 영양(英陽)에 정착한 자손들도 있었던 것 같다. 11세 황국노(黃國老)의 자손들은 황국노(黃國老)의 증손인 황덕필(黃德弼)의 대부터 청송(靑松)에 정착ㆍ세거하였고, 8세 황덕우(黃德雨)의 자손들은 황덕우(黃德雨)가 단천군수(端川郡守)로 부임했다가 영흥(英興)에 머믈러 살았던 이래 그 곳에 세거의 터를 정하였다. 7세 황천계(黃天繼)의 자손들은 황천계(黃天繼)가 포천(抱川)에서 벼슬을 그만 두고 예안(禮安)을 거쳐 안동(安東)의 풍산(豊山)으로 가 살았으므로 뒤에 안동군(安東郡) 일대에서 세거하였던 것 같다. 그리하여 1930년 평해황씨(平海黃氏)는 경북 의성군(義城郡) 다인면(多仁面), 청송군(靑松郡) 청송면(靑松面)ㆍ파천면(巴川面), 상주군(尙州郡) 사벌면(沙伐面)ㆍ중동면(中東面) 문경군(聞慶郡) 산북면(山北面), 안동군(安東郡)ㆍ울진군(蔚珍郡) 일원, 함남 이원군(利原郡) 이원읍(利原邑)ㆍ남면(南面), 함북 명천군(明川郡) 상우남면(上雩南面)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씨족史 |
|
평해황씨(平海黃氏)는 한(漢)나라의 학사(學士)로 동래(東來)하여 평해(平海)에 거주한 황락(黃洛)을 원조(遠祖)로 하고 그 후손으로 고려중기에 金吾將軍을 지낸 황온인(黃溫仁)을 1세조로 하는 성씨다. 선조조에 간행된 ‘갑진보(甲辰譜)’ 서문(序文)에 의하면 후손이 번성하여 분적(分籍)된 것 중에서도 철원(鐵原), 창원(昌原), 장수(長水), 기성(箕城)(平海) 황씨(黃氏)가 두드러진 것인데, 그 중에서도 기성본(箕城本)이 가장 오래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누구에게서부터 처음이 시작되었는 지는 알 수 없다고 했다. 그런데 ‘갑진보(甲辰譜)’보다 156년 후에 간행된 ‘경인보(庚寅譜)’ 서(序)에는 황락(黃洛)이 동래(東來)한 것이 후한(後漢) 건무년간(建武年間)(25년부터~)이라고 하였다. 경인보(庚寅譜) dlg의 족보에서는 시조가 건무년간(建武年間) 동래(東來)후 그 아들대부터 평해(平海)에 세거하여 본관을 평해(平海)로 쓰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평해황씨(平海黃氏)는 4세조를 시조로 하여 3개 파로 나누어진다. 황진(黃璡)의 후손이 검교공파(檢校公派), 황단(黃端)의 후손이 충절공파(忠節公派), 황용의 후손이 충경공파(忠敬公派)로 나누어졌다. 검교공파(檢校公派)는 후손에 이르러 다시 승지공파(承旨公派)ㆍ지평공파(持平公派)ㆍ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ㆍ훈도공파(訓導公派)ㆍ불권헌공파(不倦軒公派)로 나누어지고, 충절공파(忠節公派)는 다시 예빈공파(禮賓公派)ㆍ소윤공파(少尹公派)로 나누어졌다. 그리고 충경공파(忠敬公派)는 부마공파(駙馬公派)ㆍ판서공파(判書公派)ㆍ정랑공파(正郞公派)ㆍ부사공파(府使公派)ㆍ찬성공파(贊成公派)ㆍ부사공파(副使公派)ㆍ감사공파(監司公派)로 나누어졌다. 4세조 황진(黃璡)은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지내고 황용은 삼중대보국(三重大匡輔國)에 이르렀다. 황단(黃端)은 충렬왕 때 검의평리(檢議評理)를 지냈다. 王이 元에 갈 때 호종한 공으로 익대공신(翊戴功臣)이 되었는데, 그 공으로 평해현(平海縣)이 郡으로 승격되었다. 황원노(黃原老)는 사록삼군(司錄參軍)을 거쳐 영해부사(寧海府使)를 지냈고, 황근(黃瑾)은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를 거쳐 성균관지제교(成均館知製敎)에 이르렀다. 황유정(黃有定)은 한성판윤(漢城判尹)ㆍ공조전서(工曹典書)를 역임하였고, 황현(黃鉉)은 공양왕 元年 생원시(生員試)에 오르고 조선개국 후 대사성(大司成)ㆍ인수부윤(仁壽府尹)에 이르렀다. 여말선초의 인물로 가장 유명한 황희석(黃希碩)은 조선 개국공신에 참여하였다. 일찍부터 이성계(李成桂)의 휘하무장이 되었으며 판전농사사(判典農寺事)를 지내고, 우왕 14년 위화도 회군에 참여, 회군공신이 되어 밀직사사(密直司事)에 임명되었다. 이성계(李成桂)의 마지막 정적이 된 정몽주黨을 숙청할 때 앞장섰으며, 곧 이어서 도진무(都鎭撫)로서 이성계(李成桂) 즉위에 기여하였다. 조선개국 직후 개국공신 2등으로 평해군(平海郡)에 책봉되고 3代를 추존하는 영예를 입었고,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가 되었다. 죽은 후 양무(襄武)란 시호가 내렸다. 양무공(襄武公)의 아들 황상(黃象)은 태종 신숙옹주(信淑翁主)의 부마가 되었고, 병조판서(兵曹判書)로서 8도 도총제(都摠制)를 겸했다. 황이하(黃李夏)는 세종 32년 과거에 올라 감찰(監察)을 지냈고, 황진손(黃震孫)은 세조 6년 과거에 올라 선공정(繕工正)에 이르렀다. 황우(黃玗)는 성종 5년 과거에 급제, 정언(正言)을 거치고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청백리(淸白吏)에 뽑혔다. 황준량(黃俊良)은 이황의 문인이다. 중종 35년 무년문과(武年文科)에 오른 후 단양군수ㆍ성주목사를 지냈다. 문집 ‘금계집(錦溪集)’이 전한다. 황단(黃端)은 명종 6년 무년문과(武年文科)에 장원하고 승지(承旨)를 거쳐 감사(監司)에 이르렀고, 황윤원(黃允元)은 삼척부사ㆍ양양부사를 지냈다. 그의 동생 황윤정(黃允亭)은 예조정랑을 거쳐 온양군수(溫陽郡守)를 지냈다. 황응청(黃應淸)은 ‘기성지(箕城志)’, ‘향당헌(鄕黨憲)’을 편찬하였다. 황여일(黃汝一)은 선조 18년 문과에 오르고 임진왜란 때는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종사관으로 참전하였다. 선조 27년 형조정랑(刑曹正郞)이 되고 다음해 진주사(陳奏使)의 서장관이 되어 明나라에 다녀왔다. 武科 출신인 황선신(黃善身)은 병자호란 때 훈련원정(訓鍊院正)으로 참전, 강화도가 함락될 때 전사했다. 황윤석(黃胤錫)은 영조 35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익찬(翊贊)을 지냈다. 문집 ‘신제유고’가 전하는데 25권 잡저(雜著)에 들어있는 ‘화음방언자의해(華音方言字義解)’와 26권에 들어있는 ‘자모변(字母辯)’은 오늘날 국어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역대 주요 인물 |
|
▲고려조
황유중(黃裕中)-문하시중(門下侍中) 황원노(黃原老)-영해부사(寧海府使) 황단(黃端)-문하시중(門下侍中) 황근(黃瑾)-예문관직제학(藝文館直提學) 황유정(黃有定)-공조판서(工曹判書) 황천록(黃天祿)-밀직부사(密直副使) 황천상(黃天祥)-문하시중찬성사(門下侍中贊成事)
▲조선조
황현(黃鉉)-대사성(大司成) 황옥숭(黃玉崇)-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황우(黃瑀)-성주목사(星州牧使) 황상(黃象)-병조판서(兵曹判書) 황자중(黃自中)-충좌위대호군(忠佐衛大護軍) 황심(黃諶)-호조참판(戶曹參判) 황전(黃詮)선전관(宣傳官) 황인(黃麟)-예조판서(禮曹判書) 황보조(黃甫組)-형조참판(刑曹參判) 황치조(黃致組)-공조참의(工曹參議) 황처중(黃處中)-자(字): 공거(公居)·밀직부정(密直副正) 황득도(黃得道)-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황치정(黃致亭)-호조참판(戶曹參判) 황곡(黃鵠)-자(字):운거(雲擧)·동래부사(東萊府使) 황국노(黃國老)-자(字):치귀(穉龜)·호(號):송재(松齋)·병조참의(兵曹參議) 황지석(黃之碩)-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황윤정(黃允亭)-선전관(宣傳官) 황언명(黃彦命)-대호군(大護軍) 황천계(黃天繼)-자(字):성극(聖極)·호(號):잠재(潛齋)·삼도관찰사(三道觀察使) 황진무(黃振武)-충무위호군(忠武衛護軍) 황희안(黃希安)-자(字):안숙(安叔)·호(號):경초당(勁草堂)·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황윤대(黃允岱)-자(字):군첨(君瞻)·중추부사(中樞府使) 황 신(黃 信)-자(字):중인(仲仁)·용양위부호군 황준량(黃俊良)-자(字):중거(仲擧)·호(號):금계(錦溪)·시(諡):문정(文正)·성주목사(星州牧使 황한용(黃漢龍)-자(字):성단(聖端)·호(號):서호(西湖)·의금부사(義禁府事) 황치장(黃致章)-자(字):자현(子賢)·호(號):인재(忍齋)·관찰사(觀察使) 황수길(黃壽吉)-자(字):중섭(仲涉)·호(號)청재(淸齋)·청주목사(淸州牧使) 황중하(黃仲河)-자(字):기여(其汝) 황 날-자(字):영이(永而)·중추부사(中樞府事) 황세용(黃世龍)-자(字):운향(雲鄕)·첨지중추(僉知中樞) 황여일(黃汝一)-자(字):증원(曾元)·호(號):해월(海月)·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황중윤(黃中允)-자(字):동광(東光)·호(號):동극(東溟)·승정원우승지(承政院左承旨) 황중식(黃中寔)-자(字):성숙(誠叔)·첨추(僉樞) 황중춘(黃仲春)-자(字):은중(殷中)·전주판관(全州判官) 황하수(黃河壽)-자(字):청일(淸一)·성주목사(星州牧使) 황개남(黃凱南)-공조참의(工曹參議) 황 준(黃 浚)-의금부지사(義禁府知事) 황삼계(黃三繼)-원주목사(原州牧使) 황명도(黃命道)-자(字):도명(道明)·호(號):경재(敬齋)·사헌(司憲) 황세침(黃世沈)-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황득후(黃得後)-충좌위대호군(忠佐衛大護軍) 황 균(黃 均)-충좌위대호군(忠佐衛大護軍) 황 단(黃 端)-자(字):정옥(廷玉)·이조참의(吏曹參議) 황윤신(黃潤身)-자(字):덕보(德甫)·충좌위대호군(忠佐衛大護軍) 황세통(黃世通)-자(字):이지(邇之)·형조참의(刑曹參議) 황 찬(黃 璨)-자(字):중옥(中玉)·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황형연(黃逈然)-충의위(忠義衛) 황성신(黃省身)-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황 준-자(字):중진(仲珍)·동지중추(同知中樞) 황 현-자(字):군옥(君玉)·호(號):양문당(養問堂)·상주목사(尙州牧使) 황처정(黃處正)-용양위부호군 황처여(黃處女)-용양위부호군 황경신(黃敬身)-자(字):직부(直夫)·호(號):침류정(枕流亭)·중추부사(中樞府事) 황처온(黃處溫)-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 기(황 璣)-자(字):유옥(有玉)·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황의일(黃義一)-호조참판(戶曹參判) 황 후-자(字):선여(善汝)·호조참의(戶曹參議) 황 규(黃 奎)-하동부사(河東府使) 황응징(황應澄)-좌승지(左承旨) 황 류(黃 瑠)-자(字):기지(器之)·강진수군첨절제사(江鎭水軍僉節制事) 황 류(黃 流)-자(字):윤보(潤甫)·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 렴(黃 濂)-자(字):동보(洞甫)·용양위부호군 황이정(黃以正)-자(字):해중(海中)·부호군(副護軍) 황윤적(黃允迪)-형조참판(刑曹參判) 황계업(黃戒業)-충좌위부호군(忠佐衛府護軍) 황건신(黃建身)-자(字):선수(善修)·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건계(黃建啓)-자(字):옥이(沃爾)·용양위부호군 황 학-자(字):경청(景淸)·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세범(黃世範)-전라좌도병마수군절제사(全羅左道兵馬水軍節制事) 황계숙(黃繼淑)-용양위부호군 황민하(黃旻河)-자(字):청일(淸一)·공조참의(工曹參議) 황순명(黃順命)-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금손(黃錦遜)-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득우(黃得祐)-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승욱(黃承昱)-동지중추(同旨中樞) 황정서(黃廷恕)-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응욱(黃應昱)-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 유(황 紐)-자(字):국경(國經)·용양위부호군 황난세(黃蘭世)-자(字):군단(君端)·오위도총부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菅) 황수남(黃壽南)-자(字):자극(子極)·형조참의(刑曹參議) 황 근(黃 瑾)-자(字):여선(汝善)·용양위부호군 황몽주(黃夢周)-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윤정(黃允貞)-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황건운(黃建雲)-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황여정(黃汝正)-자(字):자평(子平)·부호군(副護軍) 황유하(黃有河)-자(字):자천(自天)·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유중(黃有中)-자(字):정집(正執)·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덕원(黃德源)-충좌위부호군(忠佐衛副護軍) 황 정(黃 炡)-자(字):정열(政烈)·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복영(黃福齡)-호(號):죽담(竹潭)·오위도총부부총관(五衛都摠府副摠菅) 황여학(黃汝鶴)-호(號):도천(陶泉)·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유정(黃有亭)-자(字):유성(有誠)·부호군(副護軍) 황흥해(黃興海)-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희부(黃希溥)-자(字):경부(景傅)·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菅) 황 숙(黃 淑)-자(字):백숙(伯肅)·호조참판(戶曹參判) 황계간(黃契幹)-자(字):경수(景壽)·호(號):농포(農圃)·숙영대도정(孰寧府都正) 황진주(黃振周)-자(字):춘단(春端)·오위장(五衛將) 황기선(黃起善)-자(字):맹언(孟彦)·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을주(黃乙周)-자(字):자문(子文)·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 식(黃 埴)-자(字):후재(厚載)·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용해(黃龍海)-자(字):여형(汝亨)·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황계신(黃啓愼)-자(字):득부(得夫)·호(號):단구(丹龜)·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황대연(黃大淵)-자(字):용국(龍國)·호(號):수월(遂月)·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완구(黃完九)-자(字):완욱(旭旭)·호(號):농은(農隱)·동지중추(同旨中樞) 황 홍(黃 泓)-자(字):성용(聖容)·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찬하(黃瓚夏)-자(字):명노(明魯)·예조참판(禮曹參判) 황 호(黃 浩)-자(字):경오(景吾)·동지숙영부사(同知孰寧府事) 황기영(黃耆英)-자(字):여노(汝老)·공조참의(工曹參議) 황채구(黃彩九)-자(字):인신(仁辛)·공조참의(工曹參議) 황인석(黃仁碩)-자(字):이수(以壽)·오위장(五衛將) 황만주(黃萬柱)-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평구-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황용갑(黃龍甲)-예조참의(禮曹參議) 황경우(黃璟宇)-자(字):기언(奇彦)·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자종(黃子鍾)-자(字):이명(而鳴)·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춘섭(黃春燮)-자(字):천오(千五)·오위군(五衛軍) 황만중(黃晩中)-자(字):하운(河運)·예조참의(禮曹參議) 황지호(黃智浩)-자(字):경수(敬壽)·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준신-자(字):집중(執中)·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 연-자(字):여대(汝大)·호(號):문곡(文谷)·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 백(黃 栢)-자(字):용단(容端)·호(號):괴월재(槐月齋)·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 식(黃 植)-자(字):정화(正華)·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우증(黃友曾)-자(字):익삼(益三)·오위장(五衛將) 황덕창(黃德昌)-자(字):문언(文言)·오위장(五衛將) 황종대(黃鍾大)-자(字):계순(啓淳)·호(號):죽헌(竹軒) 황귀징(黃貴徵)-증정원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황영록(黃永錄)-호조참판(戶曹參判) 황종명(黃鍾鳴)-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황단범(黃端範)-자(字):여홍(汝洪)·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치헌(黃致獻)-자(字):치백(致伯)·호조참판(戶曹參判) 황배천(黃配天)-자(字):군현(君賢)·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헌기(黃憲基)-자(字):사현(士賢)·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여하(黃汝廈)-자(字사):사비(士庇)·호(號):은곡(隱谷)·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한주(黃漢柱)-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황응담(黃應淡)-자(字):의숙(義淑)·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웅창(黃雄昌)-자(字):설보(雪甫)·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대하(黃帶河)-오위장(五緯將) 황상경(黃尙慶)-자(字):운지(雲之)·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 원(黃 瑗)-자(字):백옥(伯玉)·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 도(黃 燾)-자(字):덕막(德模)·호(號):가정(柯亭)·승정원우부승지(承政院右副承旨) 황윤석(黃胤錫)-자(字):영수·호(號):신재·학자(學者) 황만인(黃萬仁)-자(字):형길(亨吉)·호(號):집일재(執一齋)·공조참의(工曹參議) 황이수(黃伊秀)-자(字):백첨(百添)·호(號):소남(小南)·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성해(黃性海)-자(字):재순(宰純)·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치업(黃致業)-자(字):성숙(成叔)·호(號):벽담(碧潭)·호조참판(戶曹參判) 황치헌(黃致憲)-자(字):장숙(章叔)·공조참의(工曹參議) 황신영(黃信寧)-자(字):강백(康伯)·이조참의(吏曹參議) 황만귀(黃萬貴)-자(字):이옥(爾玉)·호(號):초재(樵齋)·오위도총부부총관(五衛都摠府副總菅) 황재신(黃載信)-자(字):중보(中甫)·경연참찬(經筵參贊) 황재망(黃再望)-자(字):이취(而炊)·호(號):농재(農齋)·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치장(黃致章)-자(字):호선(好善)·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일봉(黃一鳳)-자(字):성초(聖初)·호(號):둔옹(遯翁)·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임계(黃任繼)-자(字):경승(景承)·호(號)·인곡(仁谷)·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황구석(黃九錫)-자(字):은지(恩之)·호(號):학남(鶴南)·형조참판(刑曹參判) 황기석(黃起錫)-자(字):흥단(興端)·호(號):국파(菊坡)·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연식(黃延植)-자(字):성조(聖朝)·오위장(五衛將) 황인현(黃仁鉉)-자(字):윤중(允中)·호(號):농고·동부승지(同副承旨) 황정흠(黃定欽)-자(字):성미(盛美)·오위장(五衛將) 황호원(黃浩源)-자(字):석룡(碩龍)·이조참판(吏曹參判) 황진영(黃鎭永)-자(字):치원(致元)·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재인(黃在仁)-자(字):사원(士元)·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남진(黃南鎭)-자(字):극성(極星)·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희진(黃羲鎭)-자(字):성종(聖宗)·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재혁(黃載赫)-자(字):선흥(善興)·호(號):청계(淸溪)·공조참의(工曹參議) 황원진(黃遠鎭)-자(字):자성(子聲)·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기종(黃基鍾)-자(字):치제·오위장(五衛將) 황기복(黃基福)-자(字):부배(夫背)·오위장(五衛將) 황영해(黃永海)-자(字):덕길(德吉)·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하흠(黃河欽)-자(字):천오(千五)·호조참판(戶曹參判) 황재윤(黃再潤)-자(字):휴보(休甫)·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기팔(黃基八)-자(字):경성(慶城)·이조참의(吏曹參議) 황성언(黃性彦)-자(字):요칙(堯則)·숙영부도정(孰寧府都正) 황봉규(黃奉奎)-자(字):양언(良彦)·호(號):동간(東澗)·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문기(黃文基)-자(字):윤명(允明)·호(號):국파(菊坡)·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종흠(黃鍾欽)-자(字):성숙(成淑)·호조참판(戶曹參判) 황중권(黃中權)-자(字):치형(穉衡)·호(號):연호(蓮湖)·호조참판(戶曹參判) 황종수(黃鍾秀)-자(字):치수(致秀)·호(號):오계(梧溪)·동지도총부도총관(同知都摠府都摠菅) 황종률(黃鍾律)-자(字):맹육(孟六)·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경익(黃景益)-자(字):겸노(謙老)·호(號):락은(洛隱)·오위장(五衛將) 황하해(黃河海)-자(字):덕문(德文)·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정수(黃貞秀)-자(字):필언(必彦)·호(號):대경(大敬)·공조참의(工曹參議) 황기원(黃基源)-자(字):형길(亨吉)·호(號):집일재(執一齋)·공조참의(工曹參議)
[등과인명]
▲조선조
황현(黃鉉)-대성(大成) 황윤원(黃允元)-부사(府使) 황계하(黃季夏)-감찰(監察) 황진손(黃震孫)-감정(監正) 황윤형(黃允亨)-공의(工議) 황우(黃玗)-정언(正言) 황계옥(黃啓沃)-응교(應敎) 황준량(黃俊良)-지평(持平) 황단(黃端)-부학(副學) 황거정(黃居正)-현감(縣監) 황여일(黃汝一)-부사(府使) 황중윤(黃中允)-승지(承旨) 황상겸(黃尙謙)-원정(院正) 황중연(黃仲衍)-좌랑(佐郞) 황연(黃沇)-판교(判校) 황내정(黃乃正 황하겸(黃夏謙)-지평(持平) 황용환(黃龍煥)-주서(注書) 황현(黃炫)-주서(注書)
[조선조 급제자 정록]
현(鉉)-태조(太祖) 2년·식년시(式年試)·진사(進士) 현(鉉)-태종(太宗) 7년·중시(重試)·병과(丙科) 윤원(允元)-문종즉위(文宗卽位)식년시(式年試)·정과(丁科) 계하(季夏)-문종죽위(文宗卽位)식년시(式年試)·정과(丁科) 진손(震孫)-세조(世祖) 6년·별시(別試)·을과삼(乙科三) 윤형(允亨)-세조(世祖) 1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우(玗)-성종(成宗) 5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계옥(啓沃)-성종(成宗) 8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준량(俊良)-중종(中宗)35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단(端)-명종(明宗) 7년·식년시(式年試)·갑과(甲科) 거정(居正)-선종(宣宗) 3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여일(汝一)-선조(宣組) 18년·별시(別試)·을과(乙科) 상겸(尙謙)-광해(光海) 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중윤(中允)-광해(光海) 4년·증광시(增廣試)·갑과(甲科) 중연(中衍)-인조(仁祖) 26년·식년시(式年試)·갑과(甲科) 연(沇)-영조(英祖) 2년·강도별시(江都別試)·병과(丙科) 내정(乃正)-정조(正祖) 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도(燾)-순조(純祖) 10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해영(海瑛)-순조(純祖) 27년·증광시(增廣試)·을과(乙科) 경-헌종(憲宗) 3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하겸(夏謙)-고종(高宗) 4년·함경도(咸鏡道)·갑과(甲科) 시영(時英)-고종(高宗) 17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세영(世英)-고종(高宗) 23년·정시(庭試)·병과(丙科) 헌-고종(高宗) 29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환(煥)-고종(高宗) 30년·정시(庭試)·병과(丙科)
[벌열(閥閱)]
●공신(功臣) :황희석(黃希碩)-태조조·개국2등공신 ●문형(文衡) :황갑호(黃甲虎)-세종조 황준량(黃俊良)-선조조 황여일(黃汝一)-선조조 ●호당(湖堂) :황준량(黃俊良) ●청백리(淸白吏) :황준량(黃俊良)-선조조 황여일(黃汝一)-선조조 ●문집(文集) :조천록(朝天錄)-황여일(黃汝一) 해월집(海月集)-황여일(黃汝一) 기성지(箕城志)-황응청(黃應淸) 향당헌(鄕黨憲)-황응청(黃應淸) 금계집(錦溪集)-황준량(黃俊良)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