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렬의 신의료인]
경동맥은 심장에서 뇌혈관으로 이어지는 목 부위의 동맥이다.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이곳을 통과한다. 경동맥에 동맥경화가 진행돼 혈관이 점점 좁아지는 질환이 '경동맥협착증'이다. 뇌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의 30%가 이에 따라 발생하지만, 경동맥이 절반이나 좁아져도 별다른 증상이 없어 쉽게 알 방법이 없다.
경동맥협착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해 연 10만 명이 넘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경동맥협착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2017년 6만8760명에서 2022년 12만5904명으로 83%나 증가했다. 이 중 60대~70대가 66%에 달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고준석 교수는 이에 대해 "만성질환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60대부터 본격적으로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라며 "혈관 손상이 오랜 기간 지속돼 경동맥협착증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2년 경동맥협착증 성별 및 연령별 환자수./사진=강동경희대병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경동맥협착증의 원인이 되는 동맥경화는 주로 고혈압·당뇨·고지혈증 등과 같은 만성 대사질환과 흡연 때문에 발생한다.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가 경동맥협착증 환자 증가를 견인한다. 경동맥협착증이 위험한 건 혈관이 절반 가까이 좁아져도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증상이 없어 초기 진단이 어렵고, 발견돼도 증상이 없다 보니 치료하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고 교수는 "경동맥협착증은 언제, 어떻게 증상이 나타날지 몰라 무서운 질환"이라면서 "심한 경우 뇌경색으로 인한 뇌 기능 마비뿐 아니라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70% 이상 진행된 경동맥협착증이 발견되었다면 증상이 없어도 즉시 치료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학계에서 △50대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만성질환을 앓거나 △흡연자인 경우 예방적 차원에서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권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만약, 경동맥의 협착이 심하지 않거나 증상이 없으면 약물치료를 시행한다. 만약 경동맥이 70% 이상 좁아져 있고 어지럼증, 신체 마비, 언어장애, 시력 저하 등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라면 수술(경동맥 내막 절제술)이나 시술(경동맥 스텐트 확장술)을 고려해야 한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협착 부위의 동맥경화 찌꺼기를 직접 제거하는 수술로 대부분 전신마취 후 진행한다. 원인을 직접 제거할 수 있어 수술 후 재협착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특히 △협착이 매우 심하거나 △스텐트 확장술을 시행하기에는 혈관 굴곡이 너무 심한 경우 △뇌경색을 일으킨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강동경희대병원 신경외과 고준석 교수가 경동맥협착증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강동경희대병원
경동맥 스텐트 확장술은 체력이 달리는 고령이나 심장병을 앓는 환자, 전신마취가 부적합해 수술 위험성이 높은 경우 비교적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경동맥 내로 미세 도관과 미세 철사를 이용해 풍선을 위치시키고, 이를 부풀린 뒤 스텐트를 거치해 혈액 통로를 확보한다. 전신마취가 필요 없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맥경화 찌꺼기를 직접 제거하지 못해 재협착 가능성이 경동맥 내막 절제술보다는 높은 편이다.
겅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21년, 약 5000례 이상의 경동맥 내막 절제술 및 경동맥 스텐트 확장술이 시행됐다. 특히 경동맥 스텐트 확장술의 경우 시술 기구의 발전으로 매년 시술 건수가 늘어 2017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10명 중 8명 이상(약 85%) 가 경동맥 스텐트 확장술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준석 교수는 "어떤 치료를 받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조했다.
박정렬 기자 parkjr@mt.co.kr
첫댓글 저도 가끔 어질 어질해서
신경쓰였는데
늙느라고 그런가?
무심코 넘길 증상이 아닌것 같씁니다
건강은 본인 스스로 잘 지켜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