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nial of Responsibility(책임 부인)
Our language obscures awareness of personal responsibility. Another kind of life-alienation communication is denial of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is life-alienating when it clouds our awareness that we are each responsible for our own thoughts, feelings, and actions. The use of the common expression have to, as in 'There are some things you have to, whether you like it or not' illustrates how personal responsibility for our actions can be obscured in speech. ‘have to’ The phrase makes one feel, as in "You make me feel guilty," is another example of how language facilitates denial of personal responsibility for our own feelings and thoughts. 우리의 언어는 개인적인 책임감의 자각을 흐리게 한다. 삶을 소외시키는 대화 방법은 우리 각자가 자신의 생각, 느낌, 행동에 책임이 있다는 의식을 흐리게 한다. 또 다른 대화법은 책임 부인이다. 대화는 소외된다. 그것이 우리의 의식을 흐릿하게 할 때. 우리는 각자 우리 자신의 생각, 느낌, 행동들에 대해 책임이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다. ‘makes one feel’ 같은 표현은 "You make me feel guilty," 와 같은 일반적인 표현법은, ‘당신은 ~해야 한다’ 와 같이 사용될 때, 당신이 그것을 좋아하건 않건, 표현한다. 얼마나 우리 행동들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들이 대화에서 모호하게 될 수 있는 지를 보여준다. 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이런 표현은 얼마나 언어가 우리 자신의 느낌들과 생각들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감을 부인하는지에 대한 또 다른 예가 된다.
In her book ‘Eichmann in Jerusalem’, which documents the war crimes trial of Nazi officer Adolf Eichmann, Hannah Arendt(1906~1975) quotes Eichmann saying that he and his fellow officers had their own name for the responsibility-denying language they used. 그녀의 책 ‘Eichmann in Jerusalem’, They called it Amtssprache, loosely translated into English as "office talk" or "bureaucratese." For example, if asked why they took a certain action, the response would be, "I had to." "If asked why they "had to", the answer would be, "Superiors' orders." "Company policy." "It was the law." '한나 아렌트'는 ‘Eichmann in Jerusalem’ 이라는 책에서, 이 책은 전쟁 범죄자들의 재판을 다룬 것이다. 나찌 독일 장교인 아돌프 아이히만 전범 재판을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서 한나 아렌트는 아이히만의 말을 인용한다. ‘그와 그의 동료 장교들은 그들 자신만의 용어를 가지고 있었다고. 그들이 사용한 책임을 부인하는 말에 대한 그들 자신의 말. 그들은 그것을 ‘암트스프라헤’라고 불렀다. 영어로 느슨하게 번역하면 ‘사무 용어’, ‘관료 용어’ 정도가 될 것이다. 예를 들면, 그들이 어떤 행동을 취하라고 요청받았을 때, 그들이 들은 말은 “I had to” 였을 것이다. 그리고 왜 그것을 “had to” 해야 했느냐고 질문을 받으면 답변은 “상사의 명령”, “회사 정책”, “그것은 법이다” 등 이었을 것이다.
We deny responsibility for our actions when we attribute their cause to factors outside ourselves: 우리는 책임감을 부인한다. 우리들의 행동들에 대해. 우리가 그들의 원인을 우리 외부에 돌릴 때.
Vague, impersonal force- " I cleaned my room because I had to." 막연하고, 일반적인 힘 - 나는 내 방을 청소했다. 해야 하기 때문에.
Our condition, diagnosis, or personal or psychological history- "I drink because I am an alcoholic." 우리의 조건, 진단, 개인적 또는 심리적 내력 - 나는 알콜 중독자라서 술을 마신다. 나는 마신다(술을) 왜냐하면 나는 알콜 중독자이니까.
The actions of others - "I hit my child because he ran into the street." 다른 사람들의 행동들 - 나는 내 아이를 때렸다. 왜냐하면 그가 찻길로 뛰어 들어서.
The dictates of authority - "I lied to the client because the boss told me to." 권위자의 지시 - 나는 고객에게 거짓말을 했다. 왜냐하면 상사가 그렇게 하라고 나에게 말해서.
Group pressure - "I started smoking because all my friends did." 집단 압력: 나는 담배를 피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모든 나의 친구들이 그렇게 했기 때문에.
Institutional policies, rules, and regulations - 'I have to suspend you for this infraction because it's the school policy." 제도적인 정책이나, 규칙들, 그리고 규제들 - 나는 너를 정학시켜야 한다. this infraction에 대해, 왜냐하면 그것은 학생 정책이기 때문이다.
Gender roles, social roles, or age roles - "I hate going to work, but I do it because I am a husband and a father." 성역할, 사회적 역할, 나이 역할 - 나는 일하러 가는 것이 싫다. 그러나 나도 해야 한다. 왜냐하면 나는 남편이고 아버지이니까.
Uncontrollable impulses - "I was overcome by my urge to eat the candy bar." 참을 수 없는 충동 - 나는 그 충동을 참을 수 없어서 캔디 바를 먹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