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천국의 난을 청의 군대만으로 쉽게 진압할 수 없게 되자 증국번과 이홍장을 비롯한 한인들의 지방 군대에게 진압을 위임하게 되었다.
이 진압 과정에서 한인 관료들은 외국 무기의 우수성을 직접 체험했으며, 1,2차 중,영 전쟁을 통해 외국의 힘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와같은 사정들이 1860년 이후 청조로 하여금 자강운동을 시작하도록 한 계기가 되었다.
이 자강운동은 대체로 두 가지 방향에서 시작되었다. 하나는 군사과학 기술을 받아들이는 양무 운동과 다른 하나는 이것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의회 개설 같은 제도개혁을 실시하여 강력한 주권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변법 운동이다.
두 운동은 모두 국가와 엘리트에 의해 권위적인 방식으로 시작되었으며 중흥의 이념은 중체서용(中體西用)에 두고 있다. 양무운동은 일차적으로 서양의 군사기술이 우수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받아들이자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 결과 상해나 복주와 같은 지역에 조선소나 병기 공장이 들어섰으며 신식의 군대가 만들어지고 유럽의 기술이 도입되어 산업화에 필요한 광물도 채굴하기 시작하였으며 아울러 상선회사, 전보총국이 설립되고 철도가 건설되었다. 양무운동의 추진결과 개항장을 중심으로 상해와 같은 근대도시가 성장하였다.
하지만 청,불 전쟁(1884년), 청,일전쟁(1894년)을 통해서 양무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
동학란으로 조선이 출병을 요구하자 청은 군대를 출병시켰고 일본도 이에 대응 즉각 군대를 출병시켜 두나라 군대는 조선에서 대립하게 되고 마침내 양측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다.(1894년)
일본은 청군을 격파하여 조선을 점령하고 이와 동시에 해군도 황해에서 북양함대를 격멸하여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일본군은 전진하여 만주 여순을 점령하고 해군근거지인 위해를 점령하여 북양함대를 전멸시켰다.
그러면 왜 대국인 청국이 소국인 일본에 패배한 것일까.
첫째 일본이 산업의 근대화에 성공한 반면 청나라는 보수파의 득세와 견제로 양무운동이 지지부진했다.
둘째 청나라의 부정부패였다. 위로는 서태후부터 하급관리까지 부패되어 있었다. 서태후는 군비를 자기 개인의 향락에 낭비하였고 매관매직이 절정에 이르렀다.
이홍장이 전투함대의 거포용탄환을 대량으로 구입하도록 명령하였으나 당시 군비책임자는 거액을 협잡하고 명령을 시행하지 않았으며, 또한 당시 군대의 간부조차도 능력은 무시하고 귀족 자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양무운동의 실패로 새로운 차원의 자강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개혁 사상가인 강유위(康有爲)와 그의 제자 양계초(梁啓超)를 비롯한 일부 급진적인 지식인들에 의해 강력하게 제기 되었으며 광서제가 개혁에 동의하였다.
1898년 무술년에 강유위등을 등용하면서 일련의 칙령을 내려 전통적인 제도를 근대적으로 개혁하는데 착수하였다. 그 내용은 유교 중심의 과거 제도를 고쳐 실용적인 학문을 시험하며 민간주도의 상공업을 진흥하고 관제와 법제를 효율적으로 개혁하였으며 의회제도를 개설하고 상주 제도와 군제를 개혁하는등 거의 모든 제도에 걸쳐있었다.
하지만 1백일동안 진행되던 무술개혁은 서태후를 중심으로한 반대파의 쿠데타로 종결되었다. 강유위와 양계초는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일부 인사는 처형되었으며 황제조차도 강제적으로 격리되었다.
변법운동은 실패로 돌아갔으나 중국 역사상 가지는 의의는 크다.
중국을 부강케 하지는 못하였지마는 전국인민의 새로운 각성을 촉진하고 중국관료자산계급으로 하여금 봉건정권에 대한 항쟁을 표시케 하였기 때문에 객관상으로 혁명운동의 발전을 도운 셈이다. 더욱이 희생된 몇몇 지식분자들은 좋은 전통을 남겨주게 되었고 이후의 여러 혁명지사들에게 격동과 모범을 주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