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자원봉사 교육강사양성(2회 차-1)
1. 자원봉사의 이해
인천중구자원봉사센터는 자원봉사센터, 학교, 기업에서 자원봉사자 대상으로 재능기부 활동으로 자원봉사교육이 가능한 성인자원봉사자 양성교육을 10월 12일 1회 차에 이어 10월 19일 2회 차 첫 시간 자원봉사의 이해 주제로 강사봉사단(황금택)이 강의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에 자원봉사(VOLUNTAS)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외국으로부터 기독교가 들어오고 민주주의 사상이 함께 유입되면서 병원, 학교, 고아원, 양로원 등이 함께 생겨나고 여기서 외국인들이 자원봉사를 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우리 민족은 어떻게 하여왔을까? 두레, 품앗이, 계 등으로 부락 단위로 행하여 왔다. 오늘에 이르는 자원봉사는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시에 자원봉사자가 27,000명이 참여하여 대회운영요원의 54%차지하면서 자원봉사의 정점을 이루고 전국적으로 자원봉사를 인식시키고 확산시키는 분기점이 되었다고 본다.
자원봉사는 크게 임무, 장소, 프로그램의 3가지로 분류하여 기본적 자원봉사활동을 하여오고 있으나, 오늘날에는 산불, 건물붕괴, 선박침몰, 선박기름 유출 등 대형 재난, 재해 자원봉사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소소한 일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우리사회를 살펴보고 일상을 업그레이드 하자 라는 라우드(LOUD)프로젝트가 사회에 많은 공헌을 하기도 하였다.
최근 자원봉사의 트랜드는 자원봉사에 농촌일손돕기, 여행 등을 접목시켜 활동하기도 하고 목적과 장소를 모른 체 버스를 타고 떠나는 미스터리 봉사, 도심의 방치된 공간에 게릴라처럼 몰래 꽃과 나무를 가꾸는 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 19로 인한 음식물 배달은 일회용품의 사용으로 플라스틱 쓰레기 폭탄이라는 결과를 나아 태평양 한가운데에 우리나라 면적의 16배에 달하는 쓰레기 섬이 만들어지기도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하고 이는 지구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그래서 인천광역시에서는 제로 웨이스트 실천하기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즉 쓰레기가 없는 삶을 실천하자라는 활동으로 ⓵ 꼭 필요한 물건만 사기 ⓶ 꼭 필요한 일에만 물건 사용하기 ⓷ 일회용품 대신 다회용품 사용하기 ⓸ 비닐봉지 대시 천 가방 사용하기 ⓹ 음식이 남지 않도록 다 먹기 ⓺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기 권장하고 있다.
내가 만든 환경 캠페인을 꼭 실천하자
그룹을 만들어 힘을 합치고 공부하는 봉사로는 자원봉사로 우리 지역을 설계하다. 라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형 V_SCHOOL자원봉사활동도 있다. 불안전한 것을 안전하게 하고자 하는 실천형으로
⓵ 무엇이 문제인가 - 문제를 정의하고 원인 찾아보기
⓶ 무엇을 할 것인가 - 변화하고자 하는 게 무엇인가
⓷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 생활 속 실천할 수 있는 것
⓸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 자원봉사 활동으로 어떻게 할 수 있을까
을 고민해보고 이 문제를 해결했을 때, 부가가치로 새로운 일자리도 만들어보는 자원봉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음 3회(10월 26일) 차에는 효과적인 자원봉사교육을 위한 교안제작을 알아보는 시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