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정서발달과 사회성
유아기는 일반적으로 12개월부터 초등학교 입학전의 시기를 말합니다. 그러나 인간발달은 연속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어느 시기로 명확히 구분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유아기를 신체 발달이 급속히 성장하며, 감성(EQ)발달 능력 형성, 운동기능 능력의 형성, 뇌 발달, 사회성 발달 등 일생중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시기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서는 자유 연상, 상상적 환상, 타인에 대한 평가에 강한 영향을 미치며 행복, 놀람, 두려움, 분노, 슬픔,혐오 같은 기본정서들은 생후 몇 주 이내에 나타납니다. 정서는 인간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써 다양한 유형의 정서표현에 의해 인간생활을 보다 더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개성을 특정 짓습니다. 유아기의 정서경험과 발달은 일생의 기초가 되며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데 유아가 5세가 되면 성인의 정서 내용과 거의 동일한 분화와 발달을 합니다. 이때 주위 사람들과 교류하는 관계속에서 나타나는 의식과 행동을 사회화라고 말합니다. 인간이 태어났을때는 자기중심적이고 비사회적이기 마련이다 보니 유아들은 태어나서 성인이 되기까지 계속해서 점차적으로 사회화되지만, 아기들이 태어난 처음 몇 달간은 제한된 사회적 상호작용에 속하게 됩니다.
유아기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롭게 발달된 활동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쉽고 폭넓게 해줍니다. 그 이유는 증가되는 사회적 복잡함이 보다 큰 운동을 자극하고 증진시키기 때문입니다. 확대된 사회적 구조는 유아로 하여금 환경에 보다 활동적으로 연관되게 하고, 나아가서 지성적 행동과 감성적 행동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까지도 증가시킵니다. 사회적 행동은 개인의 운동 활동에 영향을 주고 역으로, 운동 발달은 개인의 사회적 발달에 영향을 주는 효과들이 있습니다. 사회화는 일생동안 진행되는 과정이며 사회 안에서 역할을 배워 가는 것입니다.
우리아이의 정서발달을 위해서는?
1. 유아기는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등 기본적인 정서를 인식하는 시기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키워갑니다. 다양한 상황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며, 울음, 웃음, 표정 등으로 감정을 나타냅니다.
2. 안정적이고 일관된 양육 태도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감을 높입니다.
특히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감정을 다루는 법을 가르칩니다. 이는 다양한 또래와의 놀이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성을 발달시킵니다.
3. 다양한 사회적 활동과 경험을 통해 아이의 사회적 기술을 넓혀줍니다.
이때 부모나 양육자는 긍정적이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모델링하여 아이가 이를 따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특히 갈등 상황에서 적절한 문제 해결 방법을 보여줌으로써 아이가 이러한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가족 행복학 개론 "부모의 '대화습관'이 자녀의 인격을 형성한다
[상담 후기] >> 공감능력과 도덕성이 떨어진 중등여자의 집단상담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 헌: 박병권. (2008). 유아의 신체활동이 뇌 발달에 미치는 영향.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2(2), 83-97.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이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