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동 도시 사회 경제 포럼
카페 가입하기
 
 
 
 

자주가는 링크

 
등록된 링크가 없습니다
 
 

카페 통계

 
방문
20250217
2537
20250218
2394
20250219
2341
20250220
2159
20250221
1847
가입
20250217
2
20250218
0
20250219
0
20250220
0
20250221
0
게시글
20250217
65
20250218
47
20250219
70
20250220
56
20250221
37
댓글
20250217
35
20250218
53
20250219
39
20250220
45
20250221
39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감자칩
    2. 망각
    3. 김종학
    4. 망내
    5. 무한도깨비
    1. 인생사새옹지마
    2. 콩나물
    3. 두루두리
    4. laila
    5. 손고쿠다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그림그리기
    2. 작나무
    3. 하이원
    4. jinee
    5. 맨조포
    1. 짜루짜루
    2. JF산업개발
    3. 이미나에게로
    4. 파스텔그린
    5. 남산동구야
 
 

지난주 BEST회원

다음
 
 
 
 
 
 
카페 게시글
생활 경제 이야기 [수정] 뉴스로 보는 부산 부동산 시장 전망!?
레드라인 추천 2 조회 1,374 18.05.26 02:32 댓글 1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8.05.26 02:37

    첫댓글 레드라인 님은 정보력 수집에서 엄청나게 탁월 하신것 같아요....호기심발동 대단하십니다.

  • 작성자 18.05.26 21:36

    과찮이십니다. 제가 좀 집요한 구석이 있어서..ㅎㅎ

  • 18.05.26 06:30

    몹시 좋은 글과 논지에 박수를 드립니다.

  • 작성자 18.05.26 21:37

    4시간의 결과물입니다. 노력을 보상받는 기분이랄까?ㅋㅋ
    칭찮받으니 기분 좋습니다. 자료로써의 가치가 얼마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비전문가 입장에서 실수요자 입장에서 나름 정리 해봤네요.

  • 18.05.26 12:01

    저도 부산 북구 금곡동 살아요^^
    레드라인님 부산에 사시나요?

    이렇게 부산부동산을 심층 분석해준 글이 없었는데
    도표와 지표로 칼라플하게 정보를 [절제있는 분석]과 [입체적인 비교]를 통한,

    현재의 상황과 미래의 진행 예측을 은밀하게 세밀하게 제시 하셨네요^^
    제가 본 부산부동산을 분석 한 글 중에서 최고의 분석이라 봅니다.

    이런글은 저장 해야겠죠~ 부산사람 이라면....
    그리고 지인들에게 알려야겠죠~ 부산의리 이라면....

    수백년 조상님이 살아왔던 내고향 부산....
    세월호가 침몰 하던 그 날도 울었는데...

    침몰하는 부산부동산과 부산경제를 바라보면서
    오늘도 난 그 날처럼 울어 봅니다......내~돈~ 돌려~줘~

  • 작성자 18.05.26 21:46

    부산의 강남.. 사직동 10학군이 나와바리 입니다만..
    미천한 식견으로 덕지덕지 자료를 조합한것인데.. 이리도 극찬을 하시니.. 몸둘바를 모르겠네요. ^^
    사실 저처럼 종합적으로 객관적인 입장에서 분석?을 하신 전문가는 없지요.
    밥 벌이에 전혀 도움이 안되기에 알고도 숨기는 것이죠.
    부동산은 심리 아니겠습니까? 사실 충격 받으실만한 내용도 있기는 하지만 너무 불안을 조장하는 듯해서 꼬불쳐 놨습니다.
    저또한 부산을 사랑하는 부산 시민으로써 어른들이 부산을 어찌 이리도 망가트려놨는지 한탄스러울 뿐입니다.
    되돌릴수 없을만큼 많이 온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 작성자 18.05.26 21:53

    @레드라인 그남아 부산이 이마저도 유지하는 이유는..
    본의아니게 동남권 서울의 역할을 하고있어 경남이나 울산에서 젊은사람들이 흘러들어오기 때문이죠.
    결국은 대학 때문에 유지가 되는것인데.. 문제는 가까운 미래에 대학의 존립을 걱정해야할 형편입니다.
    그래서 부산전체의 대학을 부산대학교로 통칭하는 협의를 한것으로 알고 있어요.
    제 예상대로라면.. 젊은층의 부산 유입이 인근지방의 고령화를 가속화시키는 동시에 빈 집 발생과 출산률 저하..
    지방 분권화를 할시에 파산하는 시, 군을 보게 될듯 합니다.
    서울과 반대현상이 일어나는게 아닌가 싶네요. 부산 외각의 노령화와 부산내의 젊은층과 노인들의 양분화..
    돈있는 노인들의 천국 부산!

  • 18.05.26 11:10

    미래가 암울해 보입니다. 그래도 솟아날 구멍은 있겠지요.

  • 작성자 18.05.26 21:58

    암울한것이 사실이고 한일해저터널을 때려죽여도 하면안된다고 반대한 이유또한 여기에 있습니다.
    어쩌면 남북 경협이 부산에 있어서 큰 전환점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혼자만의 생각을 해봤네요.
    사실 부산발전연구원이 제 역할을 못하는게 현실입니다. 부산시와 상당한 유착으로 그들의 카르텔이 존재하는 듯 하고,
    토목건설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산에 존재하던 대기업을 지방으로 도망갈때도 팔짱끼고 지켜만 봤고 그 댓가가 현 부산을 만든거죠.
    국회의원 이진복이가 사직야구장앞 자이언트파크를 지어서 땅장사하는것만 봐도 말 다했지요.

  • 18.05.26 12:00

    우리나라 광역시가 다 부산같을듯 합니다.

  • 작성자 18.05.26 21:58

    그러면 아니되옵니다..

  • 18.05.26 17:51

    부산을 확실이 알고 있습니다.

  • 작성자 18.05.26 21:59

    누가요? 제가요?? ㅎㅎ

  • 18.05.26 23:46

    감사합니다.^^;

  • 18.05.27 01:16

    감사합니다

  • 18.05.27 10:18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