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공간적 구성
시간적 구성
SECTION A
DMZ, 미래에 대한 제안들
1. 박경
박경, ‹프런트 3: 프로젝트 DMZ›, 1988, 프로젝트 디엠지 전시 카탈로그 커버, 스토어프런트 포 아트 앤드 아키텍처, 뉴욕, 전시용 자료2. 백남준
백남준, ‹무제(DMZ는 호랑이 농장이 되어야 한다)›, ca. 1988, 복사지에 컬러인쇄, 전시용 자료3. 폴 비릴리오
폴 비릴리오 · 아방 트라보 건축 스튜디오, ‹무제›, 1988, 전시용 자료4. 레비우스 우즈
레비우스 우즈, ‹테라노바›, 1988, 전시용 자료5. 박모(박이소)
박모, ‹DMZ 해제를 위한 실용적인 제안›, 1988, 전시용 자료6. 최재은
최재은, ‹대지를 꿈꾸며 … 自然国家›, 2015–, 슬라이드쇼최재은, ‹증오는 눈처럼 사라진다›, 2019, 철, 135×75×1.2cm
7. 승효상
승효상, ‹새들의 수도원›, 2017, 대나무, 3×2×5.8m승효상, ‹새들의 수도원 영상›, 2017, 영상, 2분 28초
8. 조민석
조민석, ‹DMZ 생명과 지식의 저장소›, 2015–, 바닥 그래픽에 아크릴 모형, 라이트 패널. 모형: 638×360cm, 라이트 패널: 431×187cm9. 크리스티나 킴
크리스티나 킴, ‹대지를 꿈꾸며 프로젝트›, 2018, 모시, 자수, 드로잉, 가변크기10. 남화연
남화연, ‹교각침공 I – P-16과 P-17을 위한 디자인›, 2005, 종이에 드로잉, 54×39cm남화연, ‹교각침공 II – P-18을 위한 디자인›, 2005, 종이에 드로잉, 54×39cm
남화연, ‹터널 활주로›, 2006, 종이에 드로잉, 54×39cm
남화연, ‹관제탑을 위한 디자인›, 2006, 종이에 드로잉, 39×54cm, 3점
남화연, ‹애드벌룬 감시카메라›, 2006, 종이에 드로잉, 39×54cm
11. 박세진
박세진, ‹풍경 1993–2002›, 2002, 캔버스에 아크릴, 41×32cm박세진, ‹라푼젤리아의 관광버스일뿐야›, 1999, C-프린트, 혼합재료, 277×150cm(framed size 300×182cm), 아라리오 컬렉션
박세진, ‹망토›, 2001, 캔버스 위 아크릴, 연필, 유화, 바니쉬, 118×149cm
12. 민정기
민정기, ‹포옹›, 1981, 캔버스에 유채, 146×112cm민정기, ‹고성›, 2019, 캔버스에 유채, 312×80cm
민정기, ‹임진리 나루터›, 2016, 캔버스에 유채, 195×192cm
13. 토비아스 레베르거
토비아스 레베르거, ‹듀플렉스 하우스›, 2017–, 3D 프린트 모형, 포스터, 가변크기14. 이불
이불,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 No. 2 – 인피티니 타입 B›, 2017, 종이에 레이저 프린트, 42×29.7cm이불, ‹리얼 디엠지 프로젝트를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 2017, 프린트에 아크릴, 42×29.7cm
이불, ‹오바드 V를 위한 스터디›, 2019, 폼보드, 아크릴, 박스, 60×60×80cm
SECTION B
전환 속의 DMZ: 감시초소(GP)와 전망대
1. 김동세
김동세, ‹남북한이 함께 만든 (만들지 않은) 구축물: 상상을 위한 비무장지대의 해체 – 2019›, 2019, 애니메이션, 9분 25초2. 안규철
안규철, ‹DMZ 평화의 종›, 2019, 철, 나무, 2.4×2.4×7.5m3. 백승우
백승우, 마이 라이프 인 워, 2019, 트라이비전, 디지털 프린트, 213×162×12cm4. 정연두
정연두, ‹을지 극장›, 2019, 솔벤프린트, 라이트 박스, 소리, 10×2.2m5. 함경아
함경아, ‹불편한 속삭임, 바늘 나라 SMS 시리즈, 위장무늬 당신도 외롭습니까? C 01-01- 02›, 2014–2015, 북한 손자수, 면 천 위에 실크사, 중간자, 밀수, 암호, 뇌물, 긴장감, 근심, 검열, 이데올로기, 나무 프레임, 1,000시간 1명, 146×146cm함경아, ‹불편한 속삭임, 바늘 나라 SMS 시리즈, 위장무늬 밝게 웃자 (북한 카드 섹션중 문구) C 01-01-03›, 2014–2015, 북한 손자수, 면 천 위에 실크사, 중간자, 밀수, 암호, 뇌물, 긴장감, 근심, 검열, 이데올로기, 나무 프레임, 1,000시간 2명, 146×147cm
함경아, ‹SMS 디테일과 공들›, 2017–2018, 북한 손자수, 면 천 위에 실크사, 중간자, 밀수, 암호, 뇌물, 긴장감, 근심, 검열, 이데올로기, 나무 프레임, 축구공, 모니터, 컬러, 사운드, 와이어
6. 토마스 사라세노
토마스 사라세노, ‹자유도›, 2014, 커스텀 망원경, 가변크기SECTION C
DMZ와 접경지역의 삶: 군인, 마을주민
1. 박종우
박종우, ‹인사이드 DMZ – 경계의 북쪽›, 2015, 2K Video, 8분박종우, ‹인사이드 DMZ – 정찰›, 2015, 2K Video, 17분
박종우, ‹인사이드 DMZ – 비무장지대 감시초소›, 2009–2017, 크로모제닉 프린트, 각 61×46cm, 75 점
2. 오형근
오형근, ‹기마전, 2010년 5월›, 2010, C-프린트, 150×740cm3. 이재욱
이재욱, ‹공감의 오디션›, 2017, 싱글채널 비디오, 소리, 7분 40초4. 노순택
노순택, ‹남풍리 남일당 남지피›, 2019, 사진과 글을 담은 8폭 병풍, 480×180cm5. 군인 사진 아카이브
6. 김태동
김태동, ‹강선(腔線)-012›, 2017,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69×90cm김태동, ‹강선(腔線)-037›, 2015,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170×136cm
김태동, ‹ΠΛΑΝΗΤΕΣ-014›, 2018,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110×155cm
7. 권하윤
권하윤, ‹489년›, 2015, 비디오, 10분8. 박성진
박성진, ‹비무장지대 수색작전›, 2013, 비디오, 2분박성진, ‹인제 GP 해체›, 2018, 비디오, 2분
9. 최찬숙
10. 문경원 · 전준호
문경원 · 전준호, ‹프리덤빌리지›, 2017–2019, 싱글 채널 HD 비디오, DMZ 철자재, 모니터 6개, 424.7×160×238.8cm, 12분 15초11. 함양아
함양아, ‹황무지— 우리안의—사회화된 자연›, 2013, 비디오, 20분12. 아드리안 비샤르 로하스
아드리안 비샤르 로하스, ‹전쟁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 2017, 비디오, 55분 31초13. 접경지역 마을 사진 아카이브
14. 김태형
김태형, ‹문화적 상상력을 위한 철원공간읽기 – 지도에 없는 철원›, 2013, 사진, 도면, 텍스트, 가변크기15. 김준
김준, ‹혼재된 신호들›, 2015– 2019, 앰프, 스피커, 라디오 송수신장치, 디지털 녹음기, 사진, 나무, 가변설치, 가변크기16. 이창민
이창민, ‹이미지 프로파간다›, 2018, 잉크젯 프린트, 각 96×76.8cm17.
대한뉴스, 국방뉴스›, 1960년대–1970년대, 비디오, 28분배달의 기수›, 1970년대– 1980년대, 비디오, 27분
SECTION D
DMZ, 역사와 풍경
1. 손장섭
손장섭, ‹역사의 창 – 6 · 25›, 1990, 캔버스에 유채, 384×137cm, 학고재 소장품손장섭, ‹통일전망대›, 2009, 캔버스에 아크릴, 291×197cm
2. 이해반
이해반, ‹DMZ 풍경 시리즈 – 707op에서 본 금강산›, 2019, 캔버스에 유채, 193.3×112.1cm3. 김지원
김지원, ‹맨드라미› 연작, 2015–2018, 리넨에 유채, 각 50×61cm, 5점김지원, ‹풍경› 연작, 2018, 리넨에 유채, 각 50×61cm, 5점
김지원, ‹위장› 연작, 2016– 2017, 리넨에 유채, 7점
4. 김선두
김선두, ‹An Obscure Tornado›, 2019, 장지에 먹 분채, 162×130.3cm김선두, ‹February›, 2019, 장지에 먹 분채, 520×176cm
5. 송창
송창, ‹민통선의 농번기›, 1986, 캔버스에 유채, 227.3×181.8cm6. 최진욱
최진욱, ‹화가와 죽음›, 1995, 캔버스에 아크릴, 390×227cm7. 이세현
이세현, ‹Between Red- 015AUG01›, 2015, 리넨에 유채, 250×250cm8. 김정헌
김정헌, ‹이상한 풍경›, 1999, 캔버스에 아크릴, 162×131cm9. 강운
강운, ‹철책 단상›, 2019, 캔버스에 유화, 130.3×162cm강운, ‹밤으로부터›, 2019, 캔버스에 유화, 130.3×162cm
10. 허수영
허수영, ‹양산동 10›, 2013, 캔버스에 유채, 291×182cm11. 손봉채
손봉채, ‹금강산도›, 2015, 폴리카보네이트에 유채, LED, 각 94×185cm, 2점12. 김선경
김선경, ‹철원들녘 1›, 2013, 캔버스에 유채, 259.1×181.8cm김선경, ‹철원들녘 2›, 2019, 캔버스에 유채, 259.1×181.8cm
13. 이해민선
이해민선, ‹바깥›, 2018, 면천 위에 아크릴 채색, 227.3×181.8cm14. 홍순명
홍순명, ‹DMZ-1807›, 2018, 캔버스에 유채, 726×150cm (각 60.5×50cm, 36점)15. 공성훈
공성훈, ‹개›, 2010, 캔버스에 유채, 218×115cm16. 양유연
양유연, ‹애드벌룬›, 2017, 장지에 아크릴릭, 210×150cmSECTION E
DMZ의 생명환경
1. 248km 야생정원 – 아름다운 경계
248km,야생정원 – 아름다운 경계, ‹식물표본›, 2019, 혼합재료, 1,400×160×100cm248km,야생정원: 아름다운 경계, ‹이끼정원›, 2019, 혼합재료, 가변크기
248km,야생정원: 아름다운 경계, ‹테라리움(1–3)›, 2019, 혼합재료, 각 240×120×230cm
2. 전망대를 따라가는 평화관광길
‹전망대를 따라가는 평화관광길›, 2019, 혼합재료, 가변크기3. DMZ 쌀: 철원농민 삶의 이야기
‹DMZ 쌀: 철원농민 삶의 이야기›, 2019, 혼합재료, 가변크기PROGRAM
DMZ, 미래를 상상하다
일정
2019년 3월 22일 - 2019년 5월 4일매주 수, 금, 토요일 오후 5시부터 - 6시30분까지
씨네 토크 · 영화 상영은 오후 3시부터(4월 5일, 12일, 20일)
‹천리마축구단› 상영은 오후 2시부터(5월 4일)
장소
문화역서울284 2층 세미나실, RTODMZ 군사시설 철거의 의미 - 3월 22일 금요일, 세미나실
한홍구(성공회대 교수, 평화박물관장)‘지구상 마지막 비무장지대를 가다’ - 3월 23일 토요일, 세미나실
서재철(녹색연합 이사), 조일동(신한대 연구교수)DMZ의 지리이야기 - 3월 27일 수요일, 세미나실
김창완(강원대 교수)ROAD人DMZ: 생명 · 평화 · 치유의 접경지역 여행 - 3월 29일 금요일, 세미나실
조배준(건국대 강사)분단을 넘어 한반도의 미래를 보다 - 3월 30일 토요일, 세미나실
정근식(서울대 교수, 시도지사협의회 남북교류협력위원장), 최완규(신한대 석좌교수, 평양남북정상회담 대통령 특별수행원), 이현숙(민주평통자문회의 여성수석부의장, 평양남북정상회담 대통령 특별수행원)공유공간으로서 DMZ - 4월 3일 수요일, 세미나실
유재심(서울대 환경계획연구소 연구원)영화 ‹안나 평양에서 영화를 배우다›(2018) - 4월 5일 금요일, RTO
이우영(북한대학원대 교수, 전 북한연구학회장)DMZ에서 생각하는 한반도와 인류의 평화: 4.27 DMZ 평화손잡기운동 - 4월 6일 토요일, 세미나실
이충재(국경선평화학교 이사, 전 한국YMCA 전국연맹 사무총장)DMZ에서 생각하는 한반도와 인류의 평화: 4.27 DMZ 평화손잡기운동 - 4월 6일 토요일, 세미나실
이충재(국경선평화학교 이사, 전 한국YMCA 전국연맹 사무총장)DMZ의 자연 - 4월 10일 수요일, 세미나실
이유미(국립수목원장)영화 ‹뷰티풀데이즈› - 4월 12일 금요일, RTO
윤재호(영화감독), 김성경(북한대학원대 교수)냉전경관과 전략촌 - 4월 13일 토요일, 세미나실
정근식(서울대 교수)남북의 도시협력, 서울과 평양 - 4월 17일 수요일, 세미나실
이영성(서울대 교수)남북접경(MDL, DMZ, NLL)과 평화이니셔티브 - 4월 19일 금요일, 세미나실
도진순(창원대 교수)영화 ‹그날› - 4월 20일 토요일, RTO
정수은(영화감독), 김성경(북한대학원대 교수)서울역과 남북철도 연결 - 4월 24일 수요일, 세미나실
정재정(서울시립대 명예교수)남북군사충돌과 동아일보 · 로동신문의 보도 - 4월 26일 금요일, 세미나실
김일한(동국대 연구교수) 남영호(신한대 교수)한국현대사에서 남북정상회담의 의미 - 4월 27일 토요일, RTO
한홍구(성공회대 교수, 평화박물관장)소설 『세 여자』로 본 근대지식인의 초상 - 5월 1일 수요일, 세미나실
조선희(작가)(탈)분단의 말과 사물 - 5월 3일 금요일, RTO
신한대 탈분단경계문화연구원 주관‹천리마축구단›(2002)영화로 본 북한의 도시경관 - 5월 4일 토요일, RTO
서영애(기술사사무소 이수 소장), 황두진(건축가), 임동우(홍익대 교수), 안창모(경기대 교수)주최 | 문화체육관광부 |
주관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협력 | (재)광주비엔날레 |
후원 | 에르코(ERC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