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코일의 인덕턴스 값을 조절하는 방식의 역률 보상장치도 구할수 있나요?
[질문 요약]
무접점 자동전압조정 장치 [avr] 의 원리를 추측/검색 하면, 슬라이닥스 의
수많은 접점 부분을 반도체 [사이리스터 ?] 를 이용해, '단권 변압기' 방식으로
전압을 고속으로 조정하는 걸로 이해가 되는대요.
이 '단권 변압기' avr 의 입력 부분 을 전원에 연결해서 가변용량(?) 교류 리엑터
로 활용해서 콘덴서 대신 인덕턴스 값을 조절하는, '역률 보상장치'도 구할수 있나요?
[기술적으로는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추측되기에, 어딘가
오프라인 시장에서는 충분히 돌아다니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사용목적]
가전제품 작동용 순수 정현파 인버터 에 복권 변압기를 장착 할려고 하는데요.
이때 문제는 변압기 가 교류 리엑터 역할을 해서 전력을 역전송(?) 해서
인버터 의 최고전압 까지 전압이 튀다가(?) 인버터 'h bridge'(?) 에 연결된
콘덴서 쪽으로 흡수되는 식으로 파형이 엉망진창 될걸로 추측되서
[덤으로 인버터 고장이 발생될수도 ...] 함부로 연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콘덴서 연결/제거 방식은 아주 미세하게(?) 조절하는게 어려울 걸로
추측되니까 {avr기술 응용형 가변용량 인덕턴스 조절형 역률 보상장치} 같은걸
검색해 보고 있습니다.
[장치 의 {옵션, 구입} 형태]
전원전압 파형을 외곡없이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전압 입력 포트'(?)
기능이 지원되고, '진상'형 으로 작동이 되도록 설정하는게 가능한 방식
이면서, 온라인 쇼핑몰 을 통해서 구할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질문에서 의도하는 장치가 작동하는 형태]
'지상' 부하가 많아지면 '장치'의 '인덕턴스' 값을 많이 상승(?) 시키고
[장치 의 코일 전류 감소],
'진상' 부하가 많아지면 '장치' 내부에 달려있는 콘덴서 를 제거
[질문에서 는 없어도 되는 기능] 하고 ['0v on ssr'(?) 을 이용]
이때 과 '진상 보상'(?) 에 의한 ('장치' 내부의 활성화[전류 값 기준] 된
'가변용량 리엑터'(?) 에 의해서 )'지상' 역률이 발생되면,
'가변용량 리엑터' 의 인덕턴스 값 을 조절해서 '미세 보정'(?) 하는 식으로,
'장치'가 작동.
[일반 상용화(?) 제품 하고 약간 차이점]
'역률 무조정 상태'[무부하(?)] 에서는, '장치' 내부에 있는 콘덴서가
항상 전부 연결된 상태로 '가변용량 리엑터' 의 인덕턴스 값 을 조절 해서
역률 이 0에서 '아주조금' 의 값으로 '진상' 형태 로 동작이 가능하다는
[역률 이 거의 0으로 조절될때 의 특성(?)은 사용자가 설정 하게 만듬.]
특성이 있습니다.
첫댓글 '가전제품 용 인버터'[순수 정현파 인버터 ; 1상 방식 ;] 에 변압기 를 장착할 용도 입니다.
[그냥 장착하면 {1/120}초 마다 규칙적으로 교류 전원 최고 전압 으로 튈 가능성이 있어요.]
컥 우리나라 말같긴한데..
전자 분야 전문 용어를 썼는데요 리액터는 바꾸려면 코어 철심을 변화를 시키면 가능하고요
정현파(사인파 )_ 꼭 만들고 싶으면 공진회로 구성을 하면 됩니다
인용 ; 꼭 만들고 싶으면 공진회로 구성을 하면 됩니다
답변 ;
'변압기'를 '리엑터' 로 생각하고 그에맡게 '콘덴서'를 달면 되는거 저도 알고 있습니다.
[조절하는것 그 자체 는 어떻게 할줄 앎니다. ; '정확히' 조절하는게 문제 입니다. ;]
인용 ; 리액터는 바꾸려면 코어 철심을 변화를 시키면 가능하고요
답변 ; 질문하기 전부터 인덕턴스 조절하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 입니다.
질문하기 전부터 리엑터 의 인덕턴스 조절하는 방법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 입니다.
[리엑터 의 인덕턴스 조절 방법을 몰라서 질문하는게 '아닙'니다.]
정확히 '그 방법'을 설명하자면. ;
'슬라이닥스' 의 '출력'을 '전원'['역률' 을 개선할 해당 회로.] 에 연결 해서,
['입력' 부분 의 전원코드 는, 조립용 멀티탭에 꽃아둘 생각임.]
손잡이[래버 ?] 부분을 조절 하는 방법 입니다.
[님(?)이 말하는 '코어 철심을 변화' 보다 아주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하다고 판단됨.]
[인버터 에 연결된 회로에 수동으로 공진회로 구성을 하면 '안되는' 이유 추측]
'공진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콘덴서'/'리엑터' 의 구성을 '아주 정확히' 하지 않으면
인버터 와 그 전자제품 에 엄청난 '충격'을 '규칙적으로'[60Hz 경우 {1/120} 마다 진행됨.]
발생되는 걸로 추측되기 때문입니다.
아주 조금이라도 틀어져서 '진상'형이 되면 [콘덴서]
전압 파형이 '상승' 할때 처음에 충전됬다가, 전압 파형이 '하강' 할때 방전이 '안되는'
상태 그대로 전압 극성이 바뀐채로, 전압 파형이 '상승' 하는 초기에 '단락' 수준의 전류가
흐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걸로 추측이 되고.
아주 조금이라도 틀어져서 '지상'형이 되면 [리엑터]
전압 파형이 '상승' 할때( 과거에 전압 파형이 '하강' 할때 충전된 전력이 )'역 주입'[공급]
되면서, 전압이 끊임없이 상승 해서 [
(일반 동기모터 방식 회전형 발전기 와는 다르게 )인버터 구조상, '역 공급' 되는 전력은,
인버터 최고 출력전압 이상으로 상승해야, 인버터 내부로 흡수되는 걸로, 추측됩니다.
]
전압출력 파형이 '상승'하는 부분 중 처음 0v 에서, 갑작스런 교류 최고 전압이 가해지다가,
전압출력 파형이 '하강'하는 부분 쪽 에서 (리엑터에 의한 )갑작스런 전류소비 로 인해서
인버터 장치에 과전류가 흐르는,
규칙적인 악순환 이 발생되는 걸로 추측합니다.
가전제품 용 인버터 를 사용하는 사람중에 변압기 나 변압기 가 주된 역활을 하는
가전제품 을 인버터에 사용한다면, 누구나 겪을수 있는 꽤나 치명적인 문제 입니다.
정전 대비용 으로 인버터를 집 전체에 사용하는 식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집에 설치된 전자제품 중 '변압기'부품 의 '입력'쪽에 교류 전원이 '직접' 연결된 전자제품 으로 인해서,
[
'전자레인지', '소형 아답터'[smps 방식은 제외], '12 할로겐 전구'[전구 안정기 가 변압기 그 자체],
'냉장고', '청소기', '환풍장치', '세탁기', '보일러 계통 온수 순환모터', *** ;
]
{가전제품, 인버터} 에 규칙적인 전기적 충격이 가해져, 돌이킬수 없는 폐기처분 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모터 관련된 제품이 모터를 자체적인 '인버터'를 이용해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외합니다.]
슬라이닥스는 아날로그로 조절하는 기기 이구요 디지탈로 조절하는 기기도 있답니다
'디지탈로 조절하는 기기' 의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를 찾지 못해서, 여기 질문글을 작성했어요.
['슬라이닥스'의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 는 찾았습니다. [물건 몇가지 주문했더니 {구입, 배송} 이 잘 됩니다.]]
저도 잘 몰라서 그러는데, 이런 질문은 전기전자분야의 고수들이 많은 카페나 모임에서 할 질문이 아닐까요?
정전 대비용 으로 인버터를 집 전체에 사용하는 식으로 사용 할려는 누군가 저와같은 고민을 하고,
그에대한 해결방법을 아는 사람중에 누군가 여기 질문글에 답변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여기 '생존21c'카폐 에 질문 글을 작성했어요.
완제품을 구입하시겠다면 만드는 업체에다 연락해서 확인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만드는 업체' 에 대한 정보는 어떤식의 방법으로 수집이 가능한가요?
[{'만드는 업체' 에 대한 정보 수집 방법} 그 자체 를 모릅니다.]
TCR. Thyristor Controlled Reactor 소용량 찾아보세요.
알겠습니다.
정 안되면,
콘덴서를 장착하고, 과 보상된 콘덴서에 의한 '단락전류'의 제어는 '과포화 리엑터'
[출력쪽 병렬연결 ; 1상 방식 변압기 2개 이용 ;] 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근데 이 방법은 ('손실'이 무진장 많아서 )인버터 에서 부하를 사용하는 거에 상관하지 않고
교류 의 {1/2}주기 마다 계속 전력이 심하게 소비되는 문제 가 있어서 [콘덴서 도 손상이 큼]
좀더 '상식적인' 방법을 쓸려고 여기에 질문 하는걸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