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와 자존감
자존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는 인지적이고 감정적인 개념으로 능력, 성취, 그리고 자기 가치에 대한 판단 등 여러 영역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개념으로 정의됩니다. 국내 청소년의 자존감 발달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신체적 매력, 부모-자녀 애착관계, 학교에 대한 애착, 그리고 학업성취는 자존감 발달 패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ADHD 증상은 학교생활뿐 아니라 여러 생활 영역에서의 적응을 방해하므로 흔히 자존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ADHD를 겪는 모든 사람이 자존감이 낮진 않습니다. 선행연구에서 ADHD 환자와 비임상군의 자존감을 비교분석 했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찾지 못한 케이스도 많았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요인이 ADHD 청소년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먼저 낮은 자존감을 보고하는 ADHD 청소년은 장기간 여러 생활 영역에서 성취나 경쟁에서 반복되는 실패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패를 반복하다 보면 타인의 부정적인 피드백에 익숙해지고, 자신에 대한 정보를 형성하는 과정도 자연스럽게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부정적인 자기도식을 형성하게 되어 자존감이 저하되는 것이죠. 이러한 현상은 ADHD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도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ADHD 아동은 사회적 관계를 맺는데 열성적이며 사교적인 경향이 강합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 해줄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대인관계에서 더 많이 거절을 경험합니다. 분노 조절이나 충동성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는 안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 및 유지해 본 경험이 부족할 수 있고, 불안과 주의력 문제를 주로 겪는 아이는 종종 이를 감추기 위해 상황에 부적절한 익살스러운 행동을 해서 친구들을 웃기는데 힘을 쏟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행동 패턴이 지속되면 팀 활동에서 가장 선택을 늦게 받거나, 학교 소풍 때 아무도 옆자리에 앉지 않고, 점심시간에 운동장에서 혼자 노는 등의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험이 발달과정에서 쌓여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자존감은 저하로 이어져 사회적 관계에서 방어적이고 소극적으로 대처하게끔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ADHD 증상에도 자존감이 저하되지 않은 청소년도 있습니다. ADHD 소아청소년은 증상으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를 겪고 있음에도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긍정적 착각 편향(positive illusory bias)”라고 합니다. 이러한 인지적 오류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활용될 수도 있지만, 자신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나타나는 현상일 수도 있습니다. 즉, ADHD 소아청소년과 비임상군 소아청소년의 자존감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을 순 있지만, 이는 ADHD 소아청소년의 방어기제 또는 자기감찰 및 평가 능력 손상으로 인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죠.
ADHD를 겪고 있는 자녀의 자존감을 높이는 건강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전문가의 정확한 평가
먼저 자녀가 겪고 있는 증상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유형의 증상에 치중되어 있는지, 어느 정도 심각한지, 약물치료가 필요한지 등 개입에 필요한 정보들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검사 및 진단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2. 전문적 개입
약물 치료, 상담 등 필요한 전문적 개입을 받으며 심리치료, 부모의 지지 등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전문적인 개입, 심리치료, 그리고 지지체계가 모두 갖춰지지 않으면 예후가 좋아질 확률이 떨어지게 됩니다. 소아청소년의 경우에는 치료 순응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좋은 예후를 위해선 더더욱 이 세 가지 요인이 모두 갖춰져야 합니다.
3. 사회성 프로그램 참여
대인관계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한 거절이나 잦은 성취 실패 경험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거나 고립된 ADHD 소아청소년이 많습니다. 이처럼 사회적 경험이 부족하여 사회적 기술이 적절한 수준으로 발달 되지 못했을 가능성 또한 높습니다. 때문에 사회성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고 연습하며 적용해 보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가지는 게 자존감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4. 부모 교육을 기반으로 한 지지
부모는 자녀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자녀가 겪는 증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으므로 부모 교육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 교육을 통해 부모는 부주의, 충동성, 공격성 등 자녀가 보이는 행동을 ADHD와 연결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녀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자녀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지하고 도와야 할 것입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한 가지 물건에 집착/교우 관계가 원만하지 않은 학생
[상담 후기] >> 개별 및 사회성 치료 초등 저학년 후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김청송. (2020).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싸이앤북스, 2nd ed.
정익중. (2007).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8(3), 127-166.
Diener MB, Milich R. Effects of positive feedback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boy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test of the self-protective hypothesis. J Clin Child Psychol 1997; 26: 256-65.
Hoza B, Pelham WE, Dobbs J, et al. Do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have positive illusory self-concepts? J Abnorm Psychol 2002; 111: 268-78.
Mazzone, L., Postorino, V., Reale, L., Guarnera, M., Mannino, V., Armando, M., ... & Vicari, S. (2013). Self-esteem evalu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ffering from ADHD. Clinical practice and epidemiology in mental health: CP & EMH, 9, 96.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주경
첫댓글 ★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홈페이지
http://www.kccp.kr.
★ 상담 후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702
★ 무료온라인상담하기
https://www.kccp.kr/bbs/board.php?bo_table=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