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황동버너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알려주세요^^ 패트로막스 핸드휠축에 흑연패킹을 사용하는 이유?
달봉이(윤태식 서울) 추천 0 조회 224 18.10.04 08:16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8.10.04 09:08

    첫댓글 장시간 렌턴작동시 열이전달될수있는 부분입니다 고무 타겠죠
    열에강하고 막을수있는것은 흑연이 정답입니다

  • 18.10.04 09:50

    명답입니다`~~ㅎㅎ

  • 18.10.04 09:52

    @유진카피(정용승) 네~ 잘지내고계시죠~

  • 18.10.04 11:51

    모두가 흑연을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콜맨은 흑연을 사용하다가 1970년대 후반부부터 생산되는 모델은 고무오링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또한 페트로막스 형태의 씨앙카랜턴에서도 고무오링을 사용하는 모델이 있습니다.

    민간에게 고무가 원활하게 생산된 것은 2차대전 이후입니다.
    그 이전에 설계된 랜턴에 대한 밀폐를 담당할수 있는 패킹은 흑연패킹이 좋았을겁니다.

    간혹 오래된 미국이나 유럽 랜턴을 정비하다보면 면으로 된 실이나 천으로 패킹을 한것을 보게됩니다.

  • 18.10.04 11:58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보면 움직이는 부분(밸브축)의 패킹은 고무보링보다는 흑연패킹의 신뢰성이 더 높습니다.
    물론 열에 대해서도 고무보다는 흑연패킹이 당연히 더 유리합니다.

    열을 받지 않고 움직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패킹은 고무오링의 신뢰성이 떨어지나 편이성이 높아 많이 사용합니다.
    (제 경우에는 페트로막스 형태의 체크밸브도 납보다는 고무오링을 씁니다.)

    열을 많이 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고열이면 석면이나 비석면 패킹이 거의 유일한 답일겁니다.
    일반적으로 열은 발생하는 고열이 아닌 경우에는 납링이 더 유리합니다.

    랜턴에서 석면이나 비석면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구조상 고열이 발생하는 부분에 대한 패킹이 없기에.

  • 작성자 18.10.04 13:13

    답변 감사합니다.
    하나더 배웠네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