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지난해 문화예술계에서 검열해야 할 9천473명의 명단을 작성해 문화체육관광부로 내려 보낸 문건이 공개돼, '예술인 블랙리스트' 파문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문화정책에 밝은 예술계 한 인사는 11일 <한국일보>와 만나 “지난해 5월 흔히 말하는 ‘블랙리스트’가 청와대에서 내려왔고 우리 입장에서는 이에 따라 행동할 수 밖에 없다고 하는 문체부 공무원들의 푸념을 들었다”면서 “실제 이 문건을 직접 보기도 했거니와 너무 어처구니가 없어 사진으로 찍어두었다”고 말했다.
이 명단은 블랙리스트 인사들을 크게 네 부류로 나누고 있다.
지난해 5월 1일 ‘세월호 정부 시행령 폐기 촉구 선언’에 서명한 문화인 594명, 2014년 6월‘세월호 시국선언’에 참여한 문학인 754명,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지지선언’에 참여한 예술인 6,517명, 2014년 서울시장 선거 때 ‘박원순 후보 지지 선언’에 참여한 1,608명이다.
이 인사는 “표지 뒤에는 9,473명의 구체적 명단이 리스트로 붙어 있었고, 이 때문에 이 문건은 A4용지로 100장이 넘어가는 두꺼운 분량이었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문화예술계에 파다했던 ‘블랙리스트 1만명설’은 이 자료가 입소문을 탄 것으로 보인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사람이 누구인지는 당시 시국ㆍ지지선언자 명단을 인터넷 등에서 확인하면 금세 알 수 있다.
실제로 이 자료가 작성된 시점 이후 예술계 곳곳에서 검열 논란이 일기 시작했다. 대본 공모 지원, 우수작품 제작지원 사업에 선정된 박근형 연출의 작품 ‘모든 군인은 불쌍하다’가 지원금 포기 종용을 받았다는 폭로가 나왔고, 이윤택 연출가의 희곡 ‘꽃을 바치는 시간’이 심사 1위를 받고서도 지원작 선정에서 탈락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예술계 한 관계자는 “박근형이나 이윤택 같은 분들은 그래도 예술계 쪽에선 대표선수쯤 되니까 이슈가 됐지만 그렇지 못한 기관이나 단체, 개인들은 아예 찍소리 못하고 납작 엎드려 있었다고 보면 된다”면서 “공모든 뭐든 매 단계마다 보고하고 허락 받아야 하는데다 누가, 무엇 때문에, 왜 되고 안 되는지 알 도리가 없으니 산하 기관, 단체들의 피로감이 극에 달해 있다”고 말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12일 <한국일보> 보도와 관련, "그건 문체부에서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다"며 모르쇠로 일관했다.
첫댓글 개망민국~~
개같은 것은 우리나라가 아니라 친일독재세력과 무지와 탐욕 속에 알게 모르게
그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일부 국민들이지요...
아직도 이런 제도가 있는가 참 이상하다...
제도" 가 아니라 쥐닭도 ~
진정 블랙리스트에 오를만한 자격을 가진 작가들이 저렇게 많았다면 이나라가 이지경 이꼴이 되었을까 의문입니다.
박원신 시장의 주장처럼 탄핵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