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자치시도 공통 분모를 갖는 강원·제주·세종·전북 4개 특별자치시도가 지방이 주도하고 중앙이 지원하는 특별자치의 방향을 국가발전 전략으로 연계하기 위한 공동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2024 강원자치분권 글로벌 포럼(2024 Gangwon Decentralization Global Forum·GDGF) 둘째 날인 지난 6월 28일, ‘강원특별자치도 1년 평가와 과제, 그리고 특별자치시도 발전과제’를 주제로 한 2세션에서는 강원·제주·세종·전북 4개 특별자치시도 간 연대협력 강화 방안이 폭넓게 논의됐다.
특히, 이날 포럼에서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정책과 비전 및 강원특별자치도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선 김순은(46회) 강원특별자치도 전문가자문단 자문위원장은 미래산업 글로벌 도시를 비전으로 한 강원특별자치도가 지방시대 아이콘으로서의 역할 구축과 2원화 모형의 자치경찰 시도,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통합방안, 인구 감소에 따른 시·군 통합 및 군·군 통합 등 지방행정체제 개편을 검토해야한다고 자문했다.
2세션 좌장을 맡은 현진권 강원연구원장은 “분권의 핵심은 정부와 정부간 권한을 배분하는 것이다. 중앙정부와 강원정부 간 권한의 배분”이라며 “분권시대에 용어 자체가 수평적이 돼야한다. 국회에서 만든 법률이 있듯이, 강원도에서 만든 법률 역시 조례가 아닌 강원도 법률로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경민현(49회) 강원도민일보 사장은 2세션 포럼 개회사를 통해 “특별자치시도 공통분모를 갖는 강원·제주·세종·전북이 특별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명실상부 대한민국 자치분권의 대표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며 “대한민국 자치분권 운동의 태동이었던 ‘2002 춘천 선언’이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강원자치분권 글로벌 포럼까지 이어진만큼 올해 2회 포럼에서도 4개 특별자치시도간 연대협력, 자치분권 해외 선진국가와의 글로벌 연대 협력이 더욱 강화되는 자리가 됐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