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사진 게시판 2015년 중국 오픈에서 경기중인 선수들의 라켓사진
소르 추천 1 조회 4,736 15.08.21 02:02 댓글 2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5.08.21 02:51

    첫댓글 감사합니다. 근데 카스미 선수 클리퍼는 wrb인가요 아님 일반인가요

  • 작성자 15.08.21 02:52

    WRB입니다.. ^^

  • 15.08.21 09:55

    그렇군요 소르님 감사합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작성자 15.08.21 15:56

    네 그런듯합니다.. ^^

  • 15.08.21 09:12

    아 참 이런 자료고, 그런데4~6부 치시는 분들은...임팩트 없으면, 힘든 라켓이 좀 있어서. 따라 하기에는 코치들의 조언이 필요한 조합이 좀 있네요

  • 15.08.21 09:25

    클리퍼 cr 많이들 사용하는군요...역시 명품인가 봅니다.

  • 작성자 15.08.21 16:02

    저도 적잖게 놀랐습니다...역시 명품 클리퍼입니다.. ^^

  • 15.08.21 14:16

    판젠동은 그립만이라도 스티가를 쓰더니..

  • 작성자 15.08.21 16:03

    마스터 그립보다 비스카리아 그립이 더 편했을 것이라고 보고 다시 바꾼 것 아닐까 싶습니다. 판전동 선수가 비스카리아를 쓴다는 것은 다 알려졌으니까요. ^^

  • 15.08.21 15:59

    이너포스 zlc에 관심이 가네요. 잘쓰시는분도 드문거 같고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 작성자 15.08.21 16:08

    생각보다 알려지진 않았지만, 상당히 좋은 감각을 갖고 있더라고요. 생체에서는 상당히 많이 쓰네요.
    은퇴전 장이닝 선수가 장이닝 ZLC 모델로 이너포스 ZLC를 썼으며, 프랑스의 아드리앙 마뜨네 선수가 이너포스 ZLC를 쓰는걸로 유명합니다. ^^

  • 15.08.21 16:10

    장이닝선수 동영상보고 정말 감탄했었죠. 와우~! 이너포스레이어alc 로 이너포스 시리즈 맛을 보니 더더욱 이너포스zlc가 끌리네요.

  • 작성자 15.08.21 16:17

    레이어 ALC는 굉장히 좋은 모델이고, ZLC와는 특성이 다르니 굳이 다른 걸로 안쓰셔도 될거같아요.. ^^

  • 15.08.21 23:39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 15.10.02 18:53

    하이볼크님 감사합니다. 답댓글이 많이 늦었네요. 즐탁열탁하시고 항상 행복하세요. ^^

  • 15.09.22 10:5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훌륭하시네요

  • 작성자 15.10.02 18:53

    곰메실버원님 안녕하세요. 답댓글이 늦었네요.. ㅠ 곰메님의 훌륭한 정보도 기대할게요. 댓글 감사합니다. ^^

  • 15.10.25 21:24

    마롱은 w968이라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남자 월드컵 대회나 polish open 대회에서는 어느 라켓을 쓰는지 알고 계시나요?

  • 작성자 15.10.25 23:57

    라이더코리아님께서 W968이라고 언급하신건 월드컵대회때(10월 21일 경에 금일 홍쌍희 직원이 보냈다고 함)입니다. 현 게시물의 일자는 8월 21일이라 상당한 시기가 지난 것이겠죠? 월드컵 이전 대회에서도 썼을 수도 있겠지만, 저는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지라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네요. ^^

  • 15.10.27 12:18

    이너포스 ZLC 좋은 블레이드입니다. 안정감이 참 좋은 블레이드죠. 하지만 FL그립은 남자 치고는 손이 작은 저에게도 손안에서 노는 느낌이 들 정도로 얇습니다. 뭔가 허전한 느낌...두툼한 그립을 좋아하신다면 그립 테잎을 사용하실 것을 권합니다.

  • 15.11.19 19:23

    도움이 되네요. 잘보고 갑니다.

  • 16.01.03 19:16

    주위링 선수의 블레이드는 인텐시티 NCT로 보입니다. 사진이 흐려서 명확히지는 않지만 영어로 쓰인 인텐시티 위에 스펠링 수가 적은 것으로 보아서 "CARBON" 이 "NCT" 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