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blog/013E6A4150B9820C03)
2. 대림절(待臨節)
(라틴어: adventus 영어: advent)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념하는 예수성탄 전 4주간을 말한다. 옛날에는 장림절(將臨節)이라고 하였다. 서방 교회에서는 대림절의 첫날은 성 안드레아 축일(11월 30일)에서 가장 가까운 일요일이었으나 동방 교회에서는 좀 더 빠른 11월 중순부터 이 절기가 시작된다. 대림주일(主日), 즉 대림절이 시작되는 일요일은 교회력(敎會曆), 즉 전례주년이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로마에서 대림절은 교회력의 구성부분으로서 이미 그레고리오 대교황(재위 : 590~604) 시대에 나타난다. 로마에서나, 로마전례를 채택한 지방에서는 대림절을 5주간 내지 4주간으로 한하고 있다. 로마에서는 12월의 4계(季)의 단식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가장 훌륭한 대림절의 전례문으로 꾸며져 있었다. 4계의 수 · 금요일에는 성탄을 준비하는 신비가 특히 강조되었다.
대림절은 사순절과 같이 엄숙하게 지켜지기는 하지만 사순절보다는 덜 엄격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더 이상 단식을 하지 않는다. 축제를 지내는 관습도 지양되었으며 사제는 자줏빛 제의(祭衣)를 입는다. ≪로마전례서≫에 따르면 '하늘 높은 곳에는 천주께 영광'이라는 문구로 시작되는 대영광송이 미사에서 생략됨으로써 이 절기의 근엄한 성격을 나타낸다. 이 기간은 성탄뿐만 아니라 또한 그리스도의 재림(再臨)을 준비하는 때이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이사야서와 세례자 요한의 경고, 등이 독서로 채택되고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https://t1.daumcdn.net/cfile/blog/1738F04150B982100B)
(1) 대림 제 1주일:
'주님이 영광과 권능을 가지고 재림 하신다'는 내용이 핵심입니다. 재림은 언제 올지 모르기에 늘 깨어있으라는 경고와 경각심이 성서말씀의 중심입니다. 가해(마태 24,37-44), 나해(마르 13,33-37), 다해(루카 21,25-28). 즉 오시는 주님과 기다리는 우리들의 자세가 묵상 주제가 되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0C464150B982103D)
(2) 대림 제 2주일:
'약속과 경고와 기쁜 기다림'이 주제입니다. 세례자 요한을 통해서 회개를 강조하시고, 구세주가 오신다는 경고합니다. 가해(마태 3,1-12), 나해(마르 1,1-8), 다해(루카 3,1-6). 본기도의 내용은 우리에게 중요한 묵상 주제를 줍니다. "세상일에 얽매이지 않고 기꺼이 성자를 맞이하려는 저희를 천상 지혜로 비추어 주시어, 성자를 닮게 하소서".
![](https://t1.daumcdn.net/cfile/blog/173DB64150B9821004)
(3) 대림 제 3주일:
'메시아의 현존에서 오는 기쁨' 주일이라 하겠습니다. '다'해의 제2독서(필립 4,4) 말씀을 통해 잘 드러납니다. "주님과 함께 항상 기뻐하십시오. 거듭 말합니다. 기뻐하십시오". 가해(마르 11,2-11a), 나해(요한 1,6-8.19-28b), 다해(루카 3,10-18). 일반적인 세상에서 느끼는 기쁨과 영원한 생명을 주시러 오시는 메시아를 믿고 기다리는 기쁨의 차이가 무엇인지 묵상하는 좋은 시기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3F764150B9821102)
(4) 대림 제 4주일:
'주님의 강생 신비와 마리아의 역할'을 들려주는 주일입니다. '가해의 복음'(마태 1,18-24)에서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마리아가 아들을 낳을 터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예수는 자기 백성을 죄에서 구원할 것이다". 나해(루카 1.26-38)는 주님 강생의 신비를, 다해(루카 1.39-48)는 나해의 복음에 이어서 엘리사벳을 방문하는 장면이 나오면서 복되신 마리아에 대한 엘리사벳의 찬가와 성모 마리아의 찬가가 나옵니다. 구원사업의 협조자이며, 신앙인의 모델인 마리아가 어떻게 주님의 강생과 구원의 신비에 협조했는지를 묵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