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를 맑게 하는 자료 리서치
경동맥 협착증
뇌졸중이 한국인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터져서 발생하는 출혈성 뇌졸중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성 뇌졸중(뇌경색)이 있습니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출혈성 뇌졸중이 더 많았으나 현재는 허혈성 뇌졸중이 전체 뇌졸중의 약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동맥 협착증이란?
경동맥이란 흉곽 내 대동맥에서 목을 지나 안면과 두개골 내로 들어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된 혈관으로 목의 좌우에 있으며 그림과 같이 총경동맥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내경동맥과 두피와 얼굴에 혈액을 공급하는 외경동맥으로 나뉘어집니다.
경동맥 협착증은 대부분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합니다.
오래된 파이프에 찌꺼기가 끼여 파이프 안이 지저분하고 좁아지는 것처럼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에 주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칼슘 등이 침착해 동맥경화성 병변이 생겨 경동맥 내강이 좁아지거나 완전히 막히는 경우, 또는 동맥경화성 병변에서 작은 혈관벽 부스러기(색전)가 떨어져 나와 혈류를 타고 뇌동맥으로 흘러 들어가서 뇌경색을 유발합니다.

증상
경동맥 협착증이 있더라도 뇌경색이 생기지 않았다면 아무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만일 증상이 나타난다면 일시적 시력소실, 어지럼증, 한쪽 팔∙다리의 마비, 언어장애 등의 안구 혹은 신경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상기 증상이 발생했다가 수분 혹은 수시간 이내에 저절로 소실되는 ‘일과성 허혈 발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혈관조영술
경동맥 협착증의 치료 목적은 뇌경색의 예방입니다. 치료의 대상은 뇌경색 혹은 안구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는 경동맥 협착이 50% 이상이면 치료를 권합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경동맥 협착이 70% 이상이면 치료를 권합니다. 치료 방법은 약물 요법, 경동맥내막 절제술 또는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이 이용되고 있는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약물요법
고지혈증 치료제, 항 혈소판제제 (아스피린) 등이 이용됩니다.
고지혈증 치료제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이미 생성된 경동맥 병변을 안정화시키며, 뇌졸중의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항 혈소판제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경동맥 내막절제술
중증의 내경동맥 협착증의 경우에는 내과적 치료보다는 수술이나 중재적 시술을 시행하는 것이 뇌졸중 예방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이미 확립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예방법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를 갖고 있는 사람은 동맥 경화증 위험인자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금연 및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럴 땐 의사에게
만일 한쪽 눈의 일시적인 시력소실, 혹은 한쪽 팔∙다리의 일시적 마비 증상, 언어장애 등의 증상이 있으면 신속히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건강검진상 우연히 경동맥 협착증이 발견된 경우 증상이 없더라도 전문의와 상의하여 뇌경색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광명의학적 팁
외과적인 수술 외에 자연요법으로는 식이요법 정신적인 이완요법 등이 중요하고,
인후 목사혈법으로도 어떤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항상 자연요법들은 기존 의학의 주도하에 부수적으로 있거나 무식하거나 군더더기 처럼 보일지 모르나
스스로 시행하여 그 효과를 얻게 되면 가장 무리없은 조치임을 알게도 된다.
승제혈
두개골로 감싸인 머리의 두정부에는 백회라는 혈이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백회가 있는 그 두개골 속에는 뇌경막이 두개골과 붙어있지만, 이 경막은 두개골 정상부에는 이중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정맥이 모이는 공간, 즉 상시장정맥동을 형성한다.
이 정맥동은 뇌를 순환하는 혈액들이 최종단계로 정맥들이 위로 모이는 곳으로 뇌의 기혈순환에 대단히 중요하다.
그래서 두정부는 직립인간에 있어서 생각해볼만한 여지가 있다.
즉 총경동맥이 갑상연골 근처에서 갈라져 ~
뇌속을 공급하는 내경동맥과 안면 및 두피에 혈액을 공급하는 외경동맥들이 혈액을 공급하고 나서 모이는 곳이 머리 꼭대기에 있는 것이다.
직립의 연건은~
중력의 작용은 동맥이 생체적인 조합작용으로 어렵게 올라가지만 정맥혈은 바로 재흡수될 수 있어서 뇌의 발달과 유관해 보인다.
두정부 머리 침법으로 대표적인 것은 백회와 사신총을 들 수 있다.
주로 점자출혈로 사혈하거나, 다침한 후 전동식 부항으로 사혈해도 좋다.
한편 중국의 평형침에서는 승제혈을 말한다.
승제는 백회앞 1촌지점에서 자침하여 2촌정도 횡자하여 강자극을 준다.
자침법은 15도 경사지게 쾌속자로 펀피한뒤 보조수(검지)로 침첨을 꼭 누른뒤 골막 위를 지나면서 진침하게한다.
이곳에는 후두부에서 올라오는 대후두신경의 분지와 상 활차신경 분지가 만나는 곳이다.
침감의 특성은 머리 위에 무거운 떡을 올려놓는 듯한 침감이 있고 발침 후에도 30분정도 계속된다.
필자의 경험으로는 ~
단자법으로 바로 발침하기도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15분정도 유침해둔다.
기대효과는 끌어오려주는 작용이다. 원기와 기혈 순환을 머리까지 올려 머리에서 부터 다시 전신을 통제하는 통제력의 시스템에 귀속하는 효과가 있는것으로 살펴진다.
그래서 우너기를 회복하고 식기능을 향상하며 면역력을 증강시킨다.
해당병증은 면역저하증, 정기부족, 탈항, 자궁탈수, 질염, 치질, 위하수, 장염, 전립선염, 저혈압 , 그리고 만성 기관지염등 이다.
3. 골막과 자침법
뼈기 있는 부위를 자침시 일반적으로 뼈를 건드리지 않도록 한다. 뼈의 골막에는 신경세포가 있어 통증이 나타나고, 골막염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는 일부러 골막을 긁으면서 자침해내려가는 에외적인 경우가 있다.
참고로 골막에는 이중의 결합조직으로 된 막이며, 여기에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되어 있다. 골막안쪽으로 있는 뼈질에는 횡으로 연결된 구멍인 포르크만관과 종으로 뚫린 하버스씨관이 있어 혈액과 산소를 공급해준다.
* 참고로 갈비를 뜯을 때 질긴 뼈 막이 바로 골막이다.
이 골막은 뼈를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하며, 골절시 재생과 증식작용을 한다.
자침이나 타박시 통증도 바로 골막에 분포된 신경에 의한 것이다.
골막을 자극하는 두개골 자침예
머리는 두개골에 의해 완전히 봉합되어 있고 그 안에 정보를 통솔하는 뇌가 있다.
뇌를 자극하기 위한 두개골 위의 자극은 단순한 자법으로는 자극이 충분치 않으므로 골막을 긁어주는 자침법을 행하는 것이다.
예컨대 승제혈(백회 전방 1촌) 요통혈(상인당) 등은 강한 자극으로 골막에 분ㅍ된 신경을 자극하여 그 이면에 있는 뇌에 영향을 주자는 것이다.
이를 자력선과 고타법으로 적응할 수 있는 것이 광명침 딱따구리 고타침이 사용되기도 한다.
광명침 머리고타법
건강을 회복하려할 때 외부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것은 온전한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스스로 극복하거나 머리로부터 치유가 진행되어야 보다 온전합니다.
자연건강 광명의학에서 머리 고타법 등 의념을 이용한 치료법을 권고 드립니다.
머리 고타법
'머리의 혈액순환을 돕고 뇌의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것'은 모든 경우에 좋다.
아래 타점들을광명침(자석식 고타침 KM-5 , 광명무통사혈침 KM-1, 무통 체질침 KM-8)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고타해주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되뇌이면서 정신적 암시를 더해준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①백회 : 상시상 정맥동의 중심점. 백회 고타는 뇌 척수액 순환과 뇌 정맥혈의 재흡수가 빨라진다.
또 대뇌 좌우반구의 틈새를 통해 뇌간 깊숙이까지 두드리는 효과 파급.
전신통제력이 강화되고, 스트레스가 저하된다.
*뇌에 공급되는 혈액은 마침내 머리 꼭대기와 좌우 대뇌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공간 인 상시상정맥동에 모이게 된다.
②인당 : 대뇌 전두엽의 자극점. 정신적인 면에서 인당 차크라.
앞머리 전두골의 전두동 위에 있으므로 대뇌 전두엽과 공명되는 곳.
전두엽기능향상, 하부 요통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
③태양 : 접형골을 두드려 뇌저 부위와 안구 측면 및 아랫부분을 자극하여~
정신을 일깨우고 뇌 호흡을 촉진한다.-- 눈알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고타한다.
④승읍 : 안와 하공을 통해 나오는 신경과 혈관을 자극할 수 있고, 감각의 가장 예민한 시각에 대한 각성이 가능한 곳.-- 눈알을 상하로 움직이면서 고타한다.
⑤인중 : 기사회생 구급혈로서 상악신경과 전신을 감독 통솔하는 독맥 흐름의 시발(始發)를 격발함.
⑥승장 : 음성의 발성과 관련되며, 하악신경의 분지로 인중과 함께 대뇌 좌우반구의 신경 전달을 촉진하는 경혈학적 위치.
기타 머리 측면의 솔곡을 비롯한 현로 부백 등 언어 연합영역을 자극할 수 있음.

딱딱구리 번개침이 어떻게 머리를 맑게 할까?
새벽을 깨우는 딱따구리처럼 상쾌한 타격으로..
두뇌를 건강하게 전신을 일깨운다.


광명정체 두개골요법
www.kmhealth.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