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뉴질랜드 PVC 랩 시장동향 | |||||||||||||||||||||||||||||||||||||||||||||||||||||||||||||||||||||||||||||||||||||||||||||||||||||||||||||||||||||||||||||||||||||||||||||||||||||||||||||||||||||||||||||||||||||
---|---|---|---|---|---|---|---|---|---|---|---|---|---|---|---|---|---|---|---|---|---|---|---|---|---|---|---|---|---|---|---|---|---|---|---|---|---|---|---|---|---|---|---|---|---|---|---|---|---|---|---|---|---|---|---|---|---|---|---|---|---|---|---|---|---|---|---|---|---|---|---|---|---|---|---|---|---|---|---|---|---|---|---|---|---|---|---|---|---|---|---|---|---|---|---|---|---|---|---|---|---|---|---|---|---|---|---|---|---|---|---|---|---|---|---|---|---|---|---|---|---|---|---|---|---|---|---|---|---|---|---|---|---|---|---|---|---|---|---|---|---|---|---|---|---|---|---|---|---|---|---|---|---|---|---|---|---|---|---|---|---|---|---|---|---|---|---|---|---|---|---|---|---|---|---|---|---|---|---|---|---|---|
게시일 | 2015-02-04 | 국가 | 뉴질랜드 | 작성자 | 최종진(오클랜드무역관) | |||||||||||||||||||||||||||||||||||||||||||||||||||||||||||||||||||||||||||||||||||||||||||||||||||||||||||||||||||||||||||||||||||||||||||||||||||||||||||||||||||||||||||||||||
품목 | 전중량의 100분의 6 이상의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 | |||||||||||||||||||||||||||||||||||||||||||||||||||||||||||||||||||||||||||||||||||||||||||||||||||||||||||||||||||||||||||||||||||||||||||||||||||||||||||||||||||||||||||||||||||||
품목코드 | 392043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시장규모 - 뉴질랜드 플라스틱 산업협회에 의하면 해당품목을 포함한 플라스틱 산업의 매출액은 2012년 기준 약 40억 뉴질랜드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됨. 이중 포장재(PVC 랩 포함)가 전체 매출대비 59%를 차지하고 있어 플라스틱 포장용기 품목의 시장규모는 약 24억 뉴질랜드달러로 추산 - 뉴질랜드에서 포장용 랩을 자체 생산하는 업체로는 호주 계열의 대기업인 Amcor와 Elldex 등이 있으며 Amcor사는 뉴질랜드에 4군데 생산 공장이 있음. Elldex사는 남섬 크라이스트처치에 작은 공장이 있으며 소량 주문 생산 및 수입·유통함.
(단위: NZ$ 억, %)
주 : 시장규모에 대한 정확한 통계가 없어 뉴질랜드 플라스틱 산업협회를 통해 받은 내용을 근거로 추정치 작성 자료원 : 뉴질랜드 플라스틱 산업협회
□ 시장전망
○ 수요 증대 예상 요인 -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중산층 증가와 중국산 식품 불신풍조로 뉴질랜드산 유제품을 포함한 식품 수입이 대폭 증가하고 있어 이와 관련한 포장재 수입이 증가 추세에 있음. - 뉴질랜드 제조업체가 있으나 수입품에 비해 가격 및 품질경쟁력이 떨어짐.
□ 주요 소비자 및 구매 패턴
○ 주요 소비자 계층 - 유제품, 육가공 등 식품 가공 및 제조업체 - 기타 제조업체 - 테이크어웨이 전문점 등 요식업체 - 일반 소비자(가정주부)
○ 소비자 구매 동기 - 특별한 구매동기보다는 필요에 의해 구매.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에 비중을 둠.
□ 수입동향
○ 개관 - 뉴질랜드의 PVC 랩의 수입은 2014년 3분기 기준 625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9% 성장률을 보임. - 호주산 제품이 전체 수입시장의 63%로 시장을 장악하는 것으로 확인돼 특정국가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데, 이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동일한 식품안전규격을 공유하고 있어 뉴질랜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인증 장벽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됨. - 한국산 제품은 2014년 기준 약 22만 달러가 수입돼 3.60%의 낮은 점유율을 기록했으나 전년동기 대비 약 46%배 증가했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한국수입통계 포함)
국가명/품목명 주요 수입국 현황 (HS Code : 392043 기준) (단위 : US천$, %)
주: 2014년 통계는 1~9월까지이며 증감률은 전년동기대비 자료원: World Trade Altas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규제 내용(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 - 2014년 12월 기준, 해당제품에 대한 수입규제사항은 없음.
○ 필수 인증 - 식품 포장재의 경우, 미국 FDA 인증을 받은 원자재(플라스틱 필름)로 제조돼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음. - 뉴질랜드 식품안전청
플라스틱 원자재 인증 예시 출처 : 뉴질랜드 식품안전청
□ 관세율
○ 조세율
주) AAN: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호주 자료원 : 뉴질랜드 관세청
○ 통관 시 유의사항 - 특이사항 없음
□ 주요 유통채널(온라인 시장, 현지 딜러망, 대형유통업체 등)
○ 업소용 품목의 경우 패키징전문 유통업체와 기업 간의 BtoB로 진행되며 소매용 제품의 경우 일반 슈퍼마켓매장으로 통해 유통되고 있음. 현지 시장이 협소한 관계로 대형 유통업체가 독점하는 경우가 많음.
자료원 : 구글 이미지
3. 경쟁동향
□ 경쟁제품(현지 업체 및 해외업체, 시장점유율 등)
주요 경쟁제품 현황
□ 한국제품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브랜드
○ 한국제품 현지 인지도: 없음
○ 선호 브랜드: 없음.
4. 마케팅 활동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현지 전시회 정보
□ 현지 바이어 특성 및 구매 시 고려사항
○ 바이어 특성: 가격과 품질 경쟁력을 중시하는 편이며, 원자재의 공급의 지속성과 정확한 납기에 큰 중점을 두고 있음.
○ 현지 바이어 구매상담 시 우선 고려사항 (가격, 품질, A/S, 공급자와의 신뢰관계, 친밀도 등) - 납기, 가격, 품질, A/S
□ 마케팅 방안 및 타깃고객층
○ 식품 제조업체 및 요식업체가 주 고객층이며 타깃 층으로 이들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 방안이 절실히 요구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