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 면(面,靣)자는 얼굴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특히 얼굴 전체의 윤곽과 눈, 코를 그린 곳이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面
머리가 튀어나온 모양 함(䩂)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이제 금(今)자를 했습니다. 이제 금(今)자는 모을 집(亼)자 아래에 ‘ㄱ’자를 하여 지금까지 시간이 모여 쌓였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이제’라는 시점은 과거가 쌓인 지금의 시간입니다. 머금을 함(唅), 대 이름 함(笒), 혀 함(肣)자들은 이제 금(今)자가 들어 있어서 ‘함’으로 읽습니다.
+
= 䩂
얼굴 모양 시(䩃)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견줄 비(比)자를 했습니다. 견 줄 비(比)자는 등을 돌리고 앉아 있는 북녘 북(北)자와는 달리 두 사람이 한 방향을 보고 나란히 있는 모습입니다. 서로 견주기에 좋은 자세입니다. 여기서 견줄 비(比)자는 이 차(此)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섶 시(柴), 시료 시(祡)자는 이 차(此)자가 들어 있어서 ‘시’로 읽습니다.
+
= 䩃
부끄러워할 전(䩄,靦)자는 얼굴 면(面)자에 볼 견(見)자를 했습니다. 얼굴이 남에게 구경거리가 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는 글자입니다. “쪽 팔린다.”는 말은 얼굴이 알려져서 부끄럽다는 말입니다. 볼 견(見)자는 눈 목(目)자 아래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해서, 눈을 높이 들어 잘 보는 사람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靦
얼굴 부스럼 포(靤)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쌀 포(包)자를 했습니다. 쌀 포(包)자는 팔을 그린 쌀 포(勹)자에 벌레 모양을 한 뱀 사(巳)자를 했습니다. 팔로 벌레를 감싼 모양을 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여기서 벌레를 그린 뱀 사(巳)자는 모든 생명체의 배태시(胚胎時) 최초의 모습입니다.
+
= 靤
너그러울 전(䩅)자는 얼굴 면(面)자에 가죽 피(皮)자를 했습니다. 너그럽다는 말은 얼굴 가죽에 관한 말이라는 뜻입니다. “얼굴 가죽이 두껍다.”라면 너그러운 사람일 수 있을 것입니다. 너그러울 전(䩅)자는 ‘얼굴 가죽’이라는 뜻입니다. 가죽 피(皮)자는 손을 나타내는 또 우(又)자를 해서 손으로 잡아 벗기면 벗겨지는 살가죽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䩅
늙을 잔(䩆)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잠깐 사(乍)자를 했습니다. 잠깐 사(乍)자의 갑골 문자를 보면 비수 비(匕)자 안에 에운 그림(∨)을 그려서 물건에 비수 비(匕)로 흠을 내서 표시를 한 모양을 그렸습니다. 무엇을 만들 때 칼을 사용해서 깎고 다듬는 것을 표시했습니다. 또는 비수 비(匕)자를 망할 망(亡)자로 보아 죽은 사람을 잠시 받쳐놓아서 잠깐 살아 있는 사람처럼 한다는 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쥐어짤 잔(拃)자도 잠깐 사(乍)자가 들어 있어서 ‘잔’으로 읽습니다.
+
= 䩆
얼굴이 추할 점(䩇)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차지할 점(占)자를 했습니다. 차지할 점(占)자는 점 복(卜)자 아래에 입 구(口)를 했습니다. 여기서 점 복(卜)자는 차지한 땅에 내 것이라는 표시로 깃발을 꽂아 표시를 해놓은 모습이고, 입 구(口)자는 차지한 영토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䩇
보조개 엽(靥yè,靨)자는 얼굴 면(面)자에 싫을 염(厭)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싫을 염(厭)자는 싫다는 뜻보다 매력이 있다는 뜻입니다. 보조개는 남녀(男女) 간에 하나의 매력입니다. 싫을 염(厭)자는 지붕을 뜻하는 기슭 엄(厂)자 아래에 날 일(日)자 아래에 달 월(月)자를 하고 옆에 개 견(犬)자를 해서 날이면 날마다 달이면 달마다, 아무리 좋은 개고기를 먹는다고 해도 염증이 날 것은 뻔한 일입니다. 좋은 것도 한두 번이지 반복하면 쉽게 물리는 법입니다.
靨
부끄러워할 전(靦)자는 얼굴 면(面)자에 볼 견(見)자를 했습니다. 얼굴이 남에게 구경거리가 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하는 글자입니다. “쪽 팔린다.”는 말은 얼굴이 알려져서 부끄럽다는 말입니다. 볼 견(見)자는 눈 목(目)자 아래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해서, 눈을 높이 들어 잘 보는 사람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靦
얼굴이 퉁퉁할 회(䩈)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매양 매(每)자를 했습니다. 매양 매(每)자는 의부(義符)로 ‘𠂉’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어미 모(母)자를 했습니다. 어미 모(母)자는 어머니의 특징인 젖을 먹여 자녀를 기르는 것을 나타내서 젖을 그린 글자입니다. 어미 모(母)자나 말 무(毋)자는 모두 여자 여(女)자에 획을 더한 글자들입니다. 말 무(毋)자는 아직 자녀를 먹여 기를 젖이 발달한 어머니가 되기 전 여자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그믐 회(晦), 가르칠 회(誨), 말릴 회(烸)자들은 매양 매(每)자가 들어 있어서 ‘회’로 읽습니다.
+
= 䩈
뺨 보(䩉)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클 보(甫)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고,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싸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䩉
눈매가 예쁜 모양 원(䩊)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굽을 완(宛)자를 했습니다. 굽을 완(宛)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몸을 웅크리고 있는 모양의 글자를 했습니다. 저녁 석(夕)자와 병부 절(㔾)자는 몸을 웅크린 모양을 표시한 글자들입니다. 작은 구멍 뻔할 원(惌), 해 질 원(晼). 밭 면적 단위 원(畹), 대그릇 원(箢), 갓끈 원(綩), 위로할 원(䛷), 구부릴 원(踠), 저울 바탕 원(鋺)자들은 굽을 완(宛)자가 들어 있어서 ‘원’으로 읽습니다.
+
= 䩊
겉이 푸른 모양 마(䩋)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삼 마(麻)자를 했습니다. 삼 마(麻)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𣏟’자를 했습니다. ‘𣏟’자는 삼베를 만드는 삼베 나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삼 마(麻)자에 집 엄(广)자가 들어 있는 것은 사람들이 가공하는 식물이라는 뜻입니다.
+
= 䩋
세수할 회(靧)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䝿)자는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는 손을 그려서 대상을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재물을 두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귀(貴)한 것은 내가 잡아당긴 나의 재물입니다. 천한 것((賤)은 그저 쌓여 있는 남의 재물입니다. 같은 재물이라도 내 것이면 귀(貴)하고 남의 것이면 천(賤)합니다. 그칠 회(䜋), 토끝 회(繢)자는 귀할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회’로 읽습니다. 토끝은 피륙의 필(疋) 끝에 글씨나 그림이 박힌 부분입니다.
+
= 靧
여윌 초(䩌)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그을릴 초(焦)자를 했습니다. 그을 릴 초(焦)자는 새 추(隹)자 아래에 불 화(火,灬)자를 해서 새를 불에 굽는 모양을 했습니다. 그을릴 초(焦)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䩌
창백할 료(䩍)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횃불 료(尞)자를 했습니다. 횃불 료(尞)자는 횃불이 빛나는 것, 불빛을 그린데에다가 밝다는 뜻으로 날 일(日)자를 더하여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불 화(火)자가 두 개 있고 가운데 밝다는 뜻으로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
= 䩍
보조개 엽(靨)자는 얼굴 면(面)자에 싫을 염(厭)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싫을 염(厭)자는 싫다는 뜻보다 매력이 있다는 뜻입니다. 보조개는 남녀(男女) 간에 하나의 매력입니다. 싫을 염(厭)자는 지붕을 뜻하는 기슭 엄(厂)자 아래에 날 일(日)자 아래에 달 월(月)자를 하고 옆에 개 견(犬)자를 해서 날이면 날마다 달이면 달마다, 아무리 좋은 개고기를 먹는다고 해도 염증이 날 것은 뻔한 일입니다. 좋은 것도 한두 번이지 반복하면 쉽게 물리는 법입니다.
靨
얼굴이 작을 멸(䩏)자는 의부(義符)로 얼굴 면(面)자에 성부(聲符)로 업신여길 멸(蔑)자를 했습니다. 업신여길 멸(蔑)자는 풀 초(艸,艹)자에 그물 망(罒)자를 하고 지킬 수(戍)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그물이 아니라, 눈 목(目)자의 변형(變形)입니다. 풀 숲 속에 몸을 감추고 변방을 지키는 군사의 눈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비록 숨어 있지마는 그 기개만은 적군을 업신여기는 눈초리를 한다는 뜻입니다. 업신여길 멸(蔑)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