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소리 봉(䩼)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만날 봉(逢)자를 했습니다. 만날 봉(逢)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변에 끌 봉(夆)자를 했습니다. 끌 봉(夆)자는 의부(義符)로 뒤져서 올 치(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예쁠 봉(丰)자를 했습니다.
+
= 䩼
동개 우(䩽)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지경 구(區)자를 했습니다. 지경 구(區)자는 감출 혜(匸)지 안에 경계를 나누어 소유를 표시한 입 구(口)자를 세 개하여, 자기가 소유한 땅의 경계선을 그린 글자입니다. 동개는 활과 화살을 넣어 어깨에 메는 통입니다.
+
= 䩽
석곡 자(䩾)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여러 서(庶)자를 했습니다. 여러 서(庶)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사람을 표시하는 글자를 하고 좌우(左右)로 점 주(丶)자를 해서 사람이 여럿임을 표시했습니다. 여러 서(庶)자는 사람이 여러 명 집에 모여 있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러 서(庶)자에서 점 4개는 없을 무(無)자에서 점 4개와 같은 이치로 사람의 다리를 뜻합니다. 석곡(石斛)은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사탕수수 자(蔗), 쥐며느리 자(蟅)자는 여러 서(庶)자가 들어 있어서 ‘자;로 읽습니다.
+
= 䩾
무늬 있는 가죽 궤(鞼)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䝿)자는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는 손을 그려서 대상을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재물을 두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귀(貴)한 것은 내가 잡아당긴 나의 재물입니다. 천한 것((賤)은 그저 쌓여 있는 남의 재물입니다. 같은 재물이라도 내 것이면 귀(貴)하고 남의 것이면 천(賤)합니다. 무너질 궤(潰), 먹일 궤(饋), 심란할 궤(憒), 성시 바깥문 궤(闠)자들은 귀(貴)자가 들어 있어서 ‘궤’로 읽습니다.
鞼
신 교(鞽)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교(喬)자를 했습니다. 높을 교(喬)자는 높을 고(高)자처럼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또는 창(矛)을 높이 들어 올렸을 때 창끝처럼 높은 곳을 가리키는 글자로 사용했습니다.
+
= 鞽
신 화(鞾)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꽃 화(華)자를 했습니다. 꽃 화(華)자는 나무나 풀에 꽃이 핀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꽃 화(華)자는 풀 초(艸)자 아래에 꽃이 핀 모양을 그리고, 글자 맨 아래에는 나무 목(木)자의 변형을 해서 꽃은 풀과 나무에 모두 피는 것임을 표시했습니다.
鞾
재갈 기(鞿)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기미 기(幾)자를 했습니다. 기미 기(幾)자는 작은 것을 표시하는 작을 요(幺)자 두 개에 지킬 수(戍)자를 했습니다. 지킬 수(戍)자는 사람 인(人)자에 창 과(戈)자를 해서 사람이 창을 들고 지키는 모양을 가지고 만든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기미 기(幾)자는 변방을 지킬 때 일어나는 아주 작은 적군의 기미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
= 鞿
북 분(䩿)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클 분(賁)자를 했습니다. 클 분(賁)자는 열 십(十)자를 세 개하고 그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열 십(十)자는 세 개 한 것은 그만큼 많다는 뜻입니다. 크다는 뜻이지요. 클 분(賁)자는 재물이 많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䩿
수레 안갑 관(䪀)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와 마음 심(心)자에 성부(聲符)로 벼슬 관(官)자를 했습니다. 마음 심(心)자는 심장의 모양을 그려서 마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의 생명이 심장에 달린 것처럼 마음도 심장에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음 심(心)가 획이 4개인 것처럼 심장의 방도 4개가 있습니다. 벼슬 관(官)자는 집 면(宀)자 아래에 갓 밑에 받쳐 쓰는 탕건을 그린 써 이(㠯)자를 했습니다. 옛날에는 남자들은 모자를 가지고 그 신분을 구별했습니다. 양반이라면 써야하는 모자가 갓이고 그 아래 받쳐 쓰는 모자가 탕건입니다. 벼슬이 오르면 모자가 달라집니다.
+
+
= 䪀
굴레 복(䪁)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번거로울 복(菐)자를 했습니다. 번거로울 복(菐)자는 풀 무성할 착(丵)자에 큰 대(大)자를 했습니다. 풀을 뽑는 그림을 그려서 풀을 뽑는 일이 매우 번거로운 일임을 나타냈습니다. 번거로울 복(菐)자에서 아래에 큰 대(大)자는 손을 두 개 그린 글자입니다.
+
= 䪁
굴레 극(䪂)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가시 극(棘)자를 했습니다. 가시 자(朿)자를 좌우(左右)로 두 개 나란히 하면 가시 극(棘)자가 되고, 상하(上下)로 놓으면 대추나무 조(棗)자가 됩니다. 가시 자(朿)자는 나무에 가시가 돋은 가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가시 자(朿)자는 가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䪂
술그릇 돈(䪃)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도타울 돈(敦)자를 했습니다. 도타울 돈(敦)자는 칠 복(攴,攵)자에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칠 복(攵)자는 제사 지낼 짐승을 잡는데 필요한 행동입니다. 누릴 향(享)자는 신전에서 양을 잡아 제사를 올리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신에게 잘 대접해서 인간의 평화와 번영을 누린다는 말이지요.
+
= 䪃
빛날 황(䪄)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를 했습니다. 누를 황(黃)자는 흙의 누런 색깔을 옷이 불에 누른 색깔과 같은 색으로 비유하여 표시한 글자입니다. 노란 진흙 근(堇)자와 누를 황(黃)자는 비슷합니다. 모두 누런 흙의 색깔을 나타냅니다. 누를 황(黃)자에서 가운데 있는 밭 전(田)자는 밭, 바로 흙을 뜻합니다.
+
= 䪄
언치 천(韀,韉)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법 치(廌)자나 천거할 천(薦)를 했습니다. 천거할 천(薦)자는 풀 초(艸,艹)자에 법 치(廌)자를 했습니다. 법 치(廌)자는 외뿔 양 치(廌)자로도 읽습니다. 외뿔 양 치(廌)자는 외뿔 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천거할 천(薦)자도 법 치(廌)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
= 韀
고삐 강(韁)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지경 강(畺)자를 했습니다. 지경 강(畺)자는 경계선을 표시하는 한 일(一)자를 하고, 밭 전(田)자를 하고, 또 한 일(一)자는 하고 밭 전(田)자를 해서 밭과 밭 사이의 땅 경계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
= 韁
말다래 첨(韂)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이를 첨(詹)자를 했습니다. 이를 첨(詹)자는 우러러볼 첨(厃)자에 어진 사람 인(儿)자를 하고 말씀 언(言)자를 했습니다. 이를 첨(詹)자는 그 수준이 높은 데에 도달했음을 나타냈습니다. 말다래는 흙이 튀지 아니하도록 말의 안장 양쪽에 늘어뜨려 놓은 기구입니다.
+
= 韂
종족 이름 달(韃)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통달할 달(達)자를 했습니다.통달할 달(达dá,達)자는 의부(義符)로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성부(聲符)로 다행 행(幸)자를 했습니다. 다행 행(幸)자는 죄인을 잡아 차꼬를 채워 잡아놓은 모양입니다. 잡아 차꼬를 찬 죄인을 걷게 했으니 통달하게 된 것이겠지요. 통달할 달(達)자는 초능력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韃
활 전대 촉(䪅)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나라 이름 촉(蜀)자를 했습니다. 나라이름 촉(蜀)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쌀 포(勹)자를 하고, 벌레 충(虫)자를 해서 벌레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의 변형입니다. 중국 촉 지방에는 벌레가 많은 듯합니다.산간 지방이기 때문입니다.
+
= 䪅
부드러울 체(䪆)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풍성할 풍(豊)자를 했습니다. 풍성할 풍(豊,豐)자는 제기 두(豆)자 위에 그릇을 표시한 입 벌릴 감(凵)자를 하고 입 벌릴 감(凵)자를 반으로 나누고 예쁠 봉(丰)자를 두 개 해서 그릇을 가득 채웠습니다. 풍성할 풍(豊,豐)자는 이렇게 추수한 곡식이 많아 제사를 풍성하게 차렸다는 뜻을 나타낸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䪆
칼 끈 획(韄)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자 확(蒦)자를 했습니다. 자 확(蒦)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새 한 마리 척(隻)자를 했습니다. 새 한 마리 척(隻)자는 새 추(隹)자에 또 우(又)자를 했습니다. 두리번거릴 확(矍)자도 새 한 마리 척(隻)자가 들어 있어서‘확’으로 읽습니다. 자 확(蒦)자는 풀밭(艸,艹) 위를 새 한 마리(隻)가 깡충깡충, 일정한 거리를 반복해서 뛰어가는 모양을 자로 재는 것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韄
말뱃대끈 현(韅)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드러날 현(㬎)자를 했습니다. 드러날 현(㬎)자는 날 일(日)자 아래에 실 사(糸)자를 두 개 해서 밝은 날에 실처럼 가늘고 작은 것이 잘 보임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韅
수레 안에 까는 자리 박(䪇)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양하 박(蒪)자를 했습니다. 양하 박(蒪)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펼 부(尃)자를 했습니다. 클 보(甫)자는 보따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는 클 보(甫)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보따리를 푸는 모양을 나타냈고,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싸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펼 부(尃)자와 오로지 전(專)자는 보따리를 풀고 싸는 글자들입니다. 넓을 박(博), 잡을 박(搏), 묶을 박(縛), 불에 말릴 박(煿), 박공 박(牔), 짐승 이름 박(猼), 양하 박(蒪), 박초 박(䗚), 종 박(鎛)자들은 펼 부(尃)자가 들어 있어서 ‘박’으로 읽습니다. 양하(蘘荷_는 생강과에 딸린 숙근초(宿根草)입니다. 파초(芭蕉) 박(蒪)자로 전주(轉注)되었습니다. 엷을 박(薄)자는 물 수(水氵)자 변에 양하 박(蒪)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물 수(水氵)자는 물에 비친 그림자를 나타낸 글자입니다.
+
+
= 䪇
가죽 허리 띠 견(䪈)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보낼 견(遣)자를 했습니다. 보낼 견(遣)자는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𠳋’자를 했습니다. ‘𠳋’자는 ‘𠀐’자 아래에 써 이(㠯)자를 했습니다. ‘𠀐’자는 귀할 귀(貴)자에서는 손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귀할 귀(貴)자에서는 조개 패(貝)자, 즉 재물(財物)을 손으로 잡아 내 것으로 만든다는 말입니다. 써 이(㠯)자는 조개 패(貝)자와는 다릅니다. 써 이(㠯)자는 물체를 뜻합니다. ‘𠳋’자는 물건을 손으로 잡는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보낼 견(遣)자는 물건을 손으로 잡아 보낸다(辵,辶)는 뜻의 글자입니다. 물건을 배달해서 보냈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
= 䪈
그네 천(韆)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옮길 천(遷)자를 했습니다. 옮길 천(遷)자는 쉬엄쉬엄 갈 착(辶)자에 오를 선(䙴)자를 했습니다. 오를 선(䙴)자는 제사상에 오른다는 표시입니다.오를 선(䙴)자의 옛글자를 보면 손을 네 개나 그렸습니다. 높은 곳에 오르려니 손으로 부여잡아 힘이 든다는 뜻도 됩니다.
+
= 韆
전동 독(韇)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팔 매(賣)자를 했습니다. 팔 매(賣)자는 의부(義符)로 선비 사(士)자에 성부(聲符)로 살 매(買)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선비 사(士)자는 선비의 뜻이 아니라, 날 출(出)자의 변형입니다. 팔 매(賣)자는 내다 판다는 뜻으로 날 출(出)자를 하고, 살 매(買)자는 돈을 그물질해 온다는 뜻으로 살 매(買)자를 했습니다. 읽을 독(讀), 송아지 독(犢), 편지 독(牘), 도랑 독(凟), 궤 독(匵), 더럽힐 독(嬻), 함 독(櫝), 낙태할 독(殰), 매끄러울 독(皾), 원망할 독(讟),알곯을 독(贕), 도장 상자 독(鑟), 활집 독(韥), 무례하고 방자할 독(䢱)자들은 팔 매(賣)자가 들어 있어서 ‘독’으로 읽습니다.
韇
버선 말(韈)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업신여길 멸(蔑)자를 했습니다. 업신여길 멸(蔑)자는 풀 초(艸,艹)자에 그물 망(罒)자를 하고 지킬 수(戍)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그물 망(罒)자는 그물이 아니라, 눈 목(目)자의 변형(變形)입니다. 풀 숲 속에 몸을 감추고 변방을 지키는 군사의 눈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비록 숨어 있지마는 그 기개(氣槪)만은 적군을 업신여기는 눈초리를 한다는 뜻입니다. 업신여길 멸(蔑)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
= 韈
당노 렵(䪉)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목 갈기 렵(巤)자를 했습니다. 목 갈기 렵(巤)자는 개미허리 천(巛)자 아래에 쥐 서(鼠)자를 해서 쥐의 털을 표시한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쥐 서(鼠)자는 쥐의 모양을 상형(象形)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개미허리 천(巛)자는 말의 목 갈기 털을 그린 글자입니다. 목 갈기라면 쥐의 털이 아니라, 개미허리 천(巛)자처럼 생긴 말의 목 갈기를 뜻합니다.당노는 말의 허리에 치레로 다는 물건입니다.
+
= 䪉
말굴레 롱(䪊)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용 룡(龍)자를 했습니다. 용 룡(龍)자는 상상의 동물인 용(龍)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임금을 상징하고 비를 내리는 영험한 힘이 있습니다. 구멍 롱(竉), 비 올 롱(瀧), 흐릿할 롱(朧), 대그릇 롱(籠), 옥 소리 롱(瓏), 개미 롱(蠪,蠬), 크고 긴 골 롱(豅), 몸가짐이 단정치 못할 롱(䡁), 쇠그릇 롱(鑨), 고개 이름 롱(隴)자들은 용 룡(龍)자가 들어 있어서 ‘롱’으로 읽습니다.
+
= 䪊
줄 유(䪋)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끼칠 유(遺)자를 했습니다. 끼칠 유(遺)자는 쉬엄쉬엄 갈 착(辵,辶)자에 귀할 귀(貴)자를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는 재물을 뜻합니다. 재물은 많은 영향을 광범위하게 끼칩니다. 귀할 귀(貴,䝿)자는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가운데 중(中)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한 글자는 손을 그려서 대상을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습니다. 귀할 귀(貴)자의 전서(篆書)를 보면 재물을 두 손으로 잡아당기는 모양을 했음을 볼 수 있습니다. 귀(貴)한 것은 내가 잡아당긴 나의 재물입니다. 천한 것((賤)은 그저 쌓여 있는 남의 재물입니다. 같은 재물이라도 내 것이면 귀(貴)하고 남의 것이면 천(賤)합니다.
+
= 䪋
언치 천(韉)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법 치(廌)자나 천거할 천(薦)를 했습니다. 천거할 천(薦)자는 풀 초(艸,艹)자에 법 치(廌)자를 했습니다. 법 치(廌)자는 외뿔 양 치(廌)자로도 읽습니다. 외뿔 양 치(廌)자는 외뿔 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천거할 천(薦)자도 법 치(廌)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
= 韉
언치 참(䪌)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토끼 참(毚)자를 했습니다. 토끼 참(毚)자는 토끼를 두 마리 그려서 토끼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또는 종류가 다른 토끼로 보기도 합니다. 토끼 참(毚)자는 짐승 이름 착(㲋)자 아래에 토끼 토(兎)자를 한 글자입니다. 토끼의 한 종류라는 말입니다.
+
= 䪌
전동 란(䪍,韊)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가로막을 란(闌)자나 난초 란(蘭)자를 했습니다. 가로막을 란(䦨,闌)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동녘 동(東)자나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동녘 동(東)자는 동쪽의 뜻이 아니라, 가릴 간(柬)자의 모사(模寫)입니다. 막을 간(柬)자는 나무 목(木)자에 묶은 모양을 한 입 구(口)자를 하고 또 점 주(丶)자를 좌우(左右)에 해서 막았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난초 란(蘭), 가로막을 란(闌)자는 가릴 간(柬)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동개는 활과 화살을 넣어 어깨에 메는 통이고, 전동(箭筒)은 화살을 담아 두는 통인데, 전동 란(䪍)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자와 동개 란(韊)자는 조금 다릅니다. 두 글자는 모두 전동이나 동개를 가리킵니다.
+
= 䪍
말안장 꾸미개 쇠(䪎)자는 가죽 혁(革)자에 제비 휴(雟)자를 했습니다. 말안장 꾸미는 것을 날렵한 제비에 비유한 글자입니다. 제비 휴(雟)자는 산 산(山)자가 아니라, 왼손 좌(屮)자를 하고 새 추(隹)자 아래에 빛날 경(冏)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왼손 좌(屮)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글자이고, 빛날 경(冏)자는 들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사람 가까이서 들판을 날아다니며 사는 제비의 습관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䪎
전동 란(䪍,韊)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난초 란(蘭)자를 했습니다. 가로막을 란(䦨,闌)자는 의부(義符)로 문 문(門)자에 성부(聲符)로 동녘 동(東)자나 가릴 간(柬)자를 했습니다. 동녘 동(東)자는 동쪽의 뜻이 아니라, 가릴 간(柬)자의 모사(模寫)입니다. 막을 간(柬)자는 나무 목(木)자에 묶은 모양을 한 입 구(口)자를 하고 또 점 주(丶)자를 좌우(左右)에 해서 막았다는 표시를 했습니다. 난초 란(蘭), 가로막을 란(闌)자는 가릴 간(柬)자가 들어 있어서 ‘란’으로 읽습니다. 동개는 활과 화살을 넣어 어깨에 메는 통이고, 전동(箭筒)은 화살을 담아 두는 통인데, 전동 란(䪍)자는 의부(義符)로 가죽 혁(革)자에 성부(聲符)로 자와 동개 란(韊)자는 조금 다릅니다. 두 글자는 모두 전동이나 동개를 가리킵니다.
+
= 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