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생존21 - 지진,재난,전염병,전쟁,사고로부터의 생존
 
 
 
카페 게시글
경제,대공황 미 국가부채 1월에 ‘법정한도’···유예 안 하면 6월 중 ‘디폴트’ 전망
시즈(경산) 추천 0 조회 324 25.01.16 09:16 댓글 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1.16 10:10

    첫댓글 미국은 현재까지 국가 부채와 관련된 디폴트(default, 채무불이행)를 공식적으로 선언한 사례는 없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몇 차례 디폴트 위기 상황이 있었고, 논란이 된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주요 사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1790년 - 초기 국가 채무 재조정

    미국 건국 초기에, 독립 전쟁으로 인해 쌓인 막대한 부채를 상환하지 못할 위기에 처했습니다.

    알렉산더 해밀턴 재무장관이 부채를 재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연방정부가 주정부의 부채를 인수하고 이를 재구성함으로써 디폴트를 피했습니다.


    2. 1933년 - 금본위제 포기

    대공황 시기에, 미국 정부는 **금본위제(gold standard)**를 포기하고 금 보유자의 금을 의무적으로 정부에 판매하도록 요구했습니다.

    당시 미국 정부는 일부 채권의 상환을 금이 아닌 법정 화폐로 진행했는데, 이는 일종의 기술적 디폴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대법원은 1935년에 이를 합법으로 인정했습니다.


    3. 1979년 - 기술적 디폴트

    미국 정부는 1979년에 채무 상환 지연 사태를 겪었습니다. 당시 관리 시스템의 오류와 우편 문제로 인해 일부 단기 국채 상환이 지연되었습니다.

  • 25.01.16 10:10

    라고 chat gpt답변이네요

  • 25.01.16 10:19

    우리나라가 위험하다구생각합니다..
    여러공공기금의 고갈..
    한은마통등등..
    사무라이본드..
    예전키코사태와 비슷하다는데..
    https://leusaelife-career.tistory.com/m/140
    ..
    이외에도 많을듯..

    120년전 국채보상운동이 생각나는 아침입니다..

  • 25.01.16 10:33

    공감합니다

  • 25.01.16 11:44

    이건 미국 정부에서 거의 연례행사입니다. 물론 언젠가는 크게 터지겠지요.

  • 25.01.16 13:15

    한은 금리 동결 발표 했네요

  • 25.01.16 16:38

    도람푸가 부채한도 없애자고 떼쓰고 있죠. 그도 그럴것이 부채한도가 정쟁 도구로 쓰일뿐 사실 아무런 의미가 없어요. 어차피 미국 부채는 기하급수로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라..

  • 25.01.16 20:52

    2030년이면 100조달러 도달할겁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