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핑요법
 |
 |
 |
교통사고 등으로 인하여 목을 뒤로 젖히지 못할 때는 위 그림과 같이 경추기립근 테이핑을 한다.(Y자형) ☞ 가로로(-자형) 테이핑을 하는 경우는 경추부의 손상이 의심될 때 붙이면 통증이 감소되며 목을 앞 뒤로 굽혔다 폈다하기가 편하게 된다. 경추디스크인 경우에도 위 그림과 같이 하면 경추관절 기동력이 증가될 수 있다. |
자고 일어나 목이 뻣뻣하며 펴지도 돌리지도 못할 때의 테이핑 ☞ 등 뒤에서 어깨를 가볍게 잡고 약간 당기듯이 취할 때 목주위의 측면에서 통증이 나타날 때 위와같이 견갑거근테이핑하게 되면 목이 부드러워진다. 이 근육은 견갑골과 경추에 붙어 있다. |
 |
 |
 |
목이 부드럽지 못할 때의 테이핑 ☞ 목을 앞으로, 뒤로, 옆으로, 회전에 작용하는 근육으로 사각근이라 하며, 전사각근, 중사각근, 후사각근이 있으며, 경추와 늑골 1,2에 붙어 있다. 목이 부드럽지 못할 때 붙이게 되면 시원한 느낌이 나타난다. |
목(경부)의 굽힘이 힘들 때의 테이핑 ☞ 목(경부)의 굽힘과 측굴이 힘들 때 위와 같이 테이핑하게 되면 목(경부)의 부드러움이 나타난다. |
목(경부)의 굽힘과 측굴이 힘들 떄의 테이핑 ☞ 귀 뒷부분에서부터 쇄골앞까지 테이핑하고 다른하나는 경추 7번을 향하여 붙이면 된다. 테이프의 폭은 2.5cm를 사용하여도 효과가 있다. |
 |
 |
 |
잇몸수술 등으로 입을 벌린 상태의 오랜 지속으로 인하여 부종과 통증을 유발시 테이핑방법 |
목을 앞으로 굽힐 때 마지막 단계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의 테이핑 ☞ 침을 삼켜도 목의 통증과 바닥까지 허리를 굽힐 때 목과 허리의 통증이 나타날 때 테이핑을 한다. |
목을 앞으로 굽힐 때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의 테이핑 ☞ 경부앞쪽의 대부분의 근육들을 지나게 된다. 앞으로 목을 굽히기가 불편한 경우는 매우 효과가 탁월하다. |
 |
 |
 |
목을 굽히거나 이명, 현기증, 귀울림시의 테이핑 ☞ 경추 1~3번의 통증과 설골아래쪽으로 통증이 나타날 때 양쪽으로 붙인다. 통증의 초기에는 유양돌기 상부만하고 중기때에는 흉쇄유돌근 전체를 하며 말기 때에는 흉골병에만 테이핑하여도 된다. |
목의 좌우 회전시 좌측 목의 통증시 테이핑 ☞ 좌측은 중사각근 테이핑을 하고 우측은 흉쇄우돌근 테이핑을 한다. |
목의 좌우 회전시 우측 목의 통증시 테이핑 ☞ 우측은 중사각근 테이핑을 하고 좌측은 흉쇄우돌근 테이핑을 한다. |
 ① 어떤 동작에서 통증이 나타나는지를 묻습니다. ② 처음 테스트 할 때의 각도를 미리 확인해두고 통증이 발현되는 동작을 되풀이하지 않습니다. ③ 작용근의 접촉 테스트는 정확히 하고 접촉한 부위에 테이핑합니다. ④ 흉쇄유돌근은 일시적이기는 하나, 현기증이 날 수 있으므로 강하게 누르거나 문지르지 않습니다. ⑤ 급성 환자는 가능한 관절운동테스트를 하지 않고 가볍게 접촉하여 편안한 부위가 있으면 그곳에 테이핑합니다. ⑥ 잔존하는 증상을 끝까지 없애려고 하면 악화시킬수 있으므로 처음보다 개선되면 다음날로 미룹니다.

통 증 |
테이핑 작용근육 |
비 고 |
굴 곡 (Flexion) |
1. 흉쇄유돌근(s.c.m) 2. 설골근 3. 복직근 4. 사각근 |
목(경부)을 앞으로 굽히는 동작시 통증 |
신 전 (Extention) |
1. 판상근(splenius capitis cervicis) 2. 반극근 3. 상승모근(목과 어깨의 접경부) 4. 견갑거근(ROM 말기) 5. 능형근(Rhomboid) 6. 사각근 |
목(경부)을 뒤로 젖히는 동작시 통증 |
좌우회전 (Rotation) |
1. 사각근 2. 두반극근 3. 견갑거근 4. 흉쇄유돌근 5. 승모근 |
얼굴의 반대쪽의 사각근 검사시 압통 or 긴장확인 |
측 굴 (Side bending) |
1. 중, 후 사각근 2. 흉쇄유돌근 3. 두판상근 4. 승모근 상부섬유 |
목(경부)을 옆으로 기우릴 때의 통증 |
목이 뻣뻣해질 때 |
1. 견갑거근 2. 판상근 3. 사각근(중, 후) 4. 흉쇄유돌근 |
목(경부)이 뻣뻣한 경우의 통증 견갑거근·목이 붓는 경우 |
 |
 |
어깨주변의 갑작스런 통증(견경완 증후군) 테이핑 ☞ 어깨주변에 명확한 통증근육이 밝혀지지 않은 갑작스런 통증일 경우에는 사진과 같이 팔을 옆으로 벌린 상태에서 5cm의 폭으로 사진과 같이 손목에서부터 팔꿈치를 지나 어깨 부분에서 두 갈래로 나누어져 위에 것은 경추 제 7번을 향하고 밑에 것은 흉추 제 7번과 8번을 향하여 사진처럼 테이핑한다. |
팔을 많이 사용하여서 생긴 팔과 어깨의 통증(타이피스트 증후군) 테이핑 ☞ 손목에서부터 시작하여 팔꿈치를 지나 어깨(삼각근)에서 하나는 경추 7번을 향하고 다른하나는 흉추 7번 또는 8번을 향하여 붙인다. 이 때 전완(팔목에서 팔꿈치부분)의 과사용으로 팔이 나른한 경우에 사진과 같이 테이핑한다. |
 |
 |
팔을 뒤로 외전(펴는 동작)할 때 어깨와 등주변의 통증시 테이핑 ☞ 4.5십견 증상일 때 사진과 같이 테이핑하게 되면, 팔의 가동력이 호전되고 어깨의 통증도 소실된다. |
오십견(팔, 어깨)의 통증시 테이핑 ☞ 등쪽이 묵직하게 느끼고 팔이 120。이상 거상이 어려울 때 삼각근과 능형근을 추가로 테이핑한 사진이다. 오십견의 테이핑은 약 1개월 정도하게 되면 상당히 호전되어 근육의 재생으로 활동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
 |
 |
팔을 머리 위로 올린채 자거나, 망치질, 칼질, 머리위로 물건 올리는 동작시 통증테이핑 ☞ 심한 경우는 견갑거근테이핑(5)과 사각근 테이핑(3)을 추가로 하면 통증이 소실된다. |
오래 서 있거나, 앉아 있을 때 구부정한 자세로 장시간 있을 경우 등으로 가만히 있어도 등 뒤가 뻐근한 경우의 테이핑 ☞ 견갑골과 흉추 1-7의 무거운 감이나 통증을 호소할때 테이핑한다. |
 |
 |
오른쪽 어깨가 내려간 사진 |
오른쪽 어깨가 올라간 사진 |
 |
 |
처진 어깨를 올리고자 할 때의 테이핑 ☞ 사진상에서 좌측으로 고개가 기울어지는 분 |
올라간 어깨를 내리고자 할 때의 테이핑 ☞ 사진상에서 우측으로 고개가 기울어지는 분 |
 |
 |
내장기 이상에서 오는 어깨의 통증시 테이핑 ☞ 목의 접경부에서 시작하여 흉추 7, 8번에서 크로스(X)가 되도록하여 반대편 늑골 12하연까지 테이핑한다. |
팔을 뒤로 돌려 등을 긁으려 하거나, 목욕탕에서 등을 문지를 때 삼각근 전면에 통증이 나타날 때의 테이핑 |
 |
전거근 테이핑 |
▽ 100m 기록 달리기라든지, 팔굽혀펴기, 심한기침, 호흡기질환, 고도의 분노, 히스테리증상 때 가슴과 견갑골하각 젖가슴, 손바닥과 약지손가락 및 새끼 손가락까지 통증이 확산될 수도 있는 근육으로 이 때의 테이핑 방법 |
 |
 | |
옆으로 웅크리고 자고 난 후 팔 안쪽에서 통증, 가슴 쪽의 통증 또는 상체를 숙여 오랫동안 있을 때의 통증시 테이핑 |
 |
삼각근 앞쪽에 강하게 느껴지는 통증시 테이핑 |
 ① 외전, 신전, 내전 등 동통이 발현되는 동작을 정확히 체크하고 각도를 확인해 둡니다. ② 아픈곳에만 테이프를 붙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통 부위에 집착하지 않고 접촉 or 압박
테스트를 정확히 합니다. ③ 가동력은 통증이 발현되는 곳까지 하되, 무리하게 테스트하지 않습니다. ④ 먼저 안정시 동통부위를 해결한 다음 운동통을 접근해 갑니다. ⑤ 관절운동을 체크한 다음 경미한 것부터 접근해 갑니다. ⑥ 접촉 테스트는 원위부부터 시작해 어깨근으로 넘어갑니다. ⑦ 관절제한운동이 없고 밤에만 통증이 있는 경우는 경견완증후군 테이프를 2-3일 반복하고
경과를 관찰합니다.

통 증 |
테이핑 작용근육 |
비 고 |
굴 곡 |
삼각근, 대흉근, 오구완근, 이두박근 |
① 팔을 올릴 때 통증 ② 강한 수축시 통증 |
신 전 |
전삼각근, 대원근, 소원근, 광배근, 상완삼두근, 대·소 능형근 |
소원근 : 상완의 회전상태(특히120。)에서 굴곡시 최대로 움직임 대·소능형근 : 견관절의 가동력 끝에서 작용하는 근육 |
수평내전 |
대흉근, 삼각근 전섬유 |
대흉근 : ① 상완을 내회전시킴. ② 어깨가 내려오게 하거나 어깨관절에서 굴곡을 보조함 ③ 협심증으로 오진하기 쉬움 삼각근 전섬유 : 반대편 목 뒤로 손이 돌아가게 함 |
수평외전 |
삼각근, 대원근, 소원근, 극하근 |
극하근 : ① 어깨 앞 깊숙한 곳에서 격렬한 방사통 ② 허리 뒤로 손이 돌아가지 않음 ③ 견갑대의 피로를 유발함 |
외 전 |
삼각근,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상완이두근, 장두, 소원근 |
극상근 : 밤중의 통증. 머리를 빗거나 칫솔질, 면도 등을 할 때의 통증 |
내 회 전 |
대흉근, 삼각근 전섬유,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 |
① 팔을 수평으로 하여 가슴쪽으로 옮기는 동작 ② 팔짱을 끼는 동작 |
외 회 전 |
삼각근 후섬유, 극하근, 소원근 |
투수가 공을 던지기 위해 팔을 뒤로 뻗는 동작 |
견갑거상 |
승모근(상부섬유), 견갑거근, 대·소 능형근 |
예 : ① 무거운 가방을 장시간 어깨에 멜 경우 ② 장시간 공을 칠 경우 ③ 의자의 팔걸이가 너무 높거나 지팡이가 높을 경우 ④ 소파 팔걸이에서 낮잠을 잘 경우 |
견갑하강 |
전거근, 대·소 능형근, 광배근, 승모근하부 |
※ 안정을 목적으로 하므로 테이프를 많이 늘리지 않도록 하고 옷을 입을 때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또한 어깨 동작 중 소리(Snapping click)가 날 때는 능형근, 극상근, 상완이두근
![]()
이 관련되어 있다.
![]() |
3) 견관절 외전 3상에 관여하는 근육들 ① 1st phase (팔을 60。까지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날 때)
|
·사각근(Scalenus) ·극하근(Infraspinatus) ·상완이두근(Biceps Brachii) |
·극상근(Supraspinatus) ·소원근(Teres Minor)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 |
② 2st phase (팔을 120。까지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날 때)
|
·사각근(Scalenus) ·승모근(Trapezius) ·소흉근(Pectoralis) |
·전방거상(Serratus Anterior) ·상방(superior) ·대흉근(Pectoralis Major) |
③ 3rd phase (팔을 180。까지 올릴 때 통증이 나타날 때)
|
·사각근(Scalenus) ·견갑(Scapulae) ·견갑하근(Subscapularis) |
·기근(Levator) ·능형근(Rhornboid) ·척추기립근(Erector spine) |
1st phase(1상) |
2nd phase(2상) |
3rd phase(3상) |
 |
 |
 |
 |
 |
 |
엄지손가락 배굴(펼 때)시 통증 테이핑 |
새끼손가락을 삐었을 시 테이핑 |
손등을 위로하고 굽힐 때의 전완 통증시 테이핑 |
 |
 |
 |
골프 엘보(앞)
골프 엘보(뒤) ☞ 손목과 전완의 장측요측면에 깊숙이 통증이 방사되며 스키폴대나 골프채 등 장시간 사용이라든지 빨대를 비틀어 짤 때 손목과 주관절에서 골절이 일어난 후 손을 흔들고, 비틀고, 당길 때 통증이 일어나는 증상을 골프엘보라 하며 그림과 같이 테이핑한다. |
손목을 저굴(굽히는 동작)시 통증테이핑 |
 |
 |
 |
테니스 엘보(오른손)
테니스 엘보(왼손) ☞ 테니스 경기시 Back Stroke에서 헛스윙할 때나 빡빡한 문의 손잡이 돌리기, 다림질, 병뚜껑돌려열기, 장시간 악수하기(선거운동시) 등으로 외측상과와 합곡부에 통증이 나타나며 팔꿈치를 편 상태에서 무거운 가방을 들거나 테니스경기에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시 테니스엘보라 하며 사진과 같이 테이핑을 한다. |
손목을 배굴(펴는 동작)시 통증테이핑 |
 |
 |
팔을 펼때의 통증시 테이핑 ☞ 테니스엘보가 심한 경우나 누르는 동작 칼사용(요리)등사기 장거리운전, 뜨개질, 이미용업 등에서 어깨와 상완의 통증을 호소할 때 사진과 같이 테이핑한다. |
팔꿈치를 굽히고, 전완을 회외(바깥쪽으로 돌리는 동작)시킬 때 통즈이 나타날 때 ☞ · 강한 테니스 서브시 통증 · 농구에서 Lay-up Shots를 하는 동작시 어깨통증 · 상완을 내회전시키고 견관절 굴곡시 통증이 나타날 때 · 테니스에서 백핸드 스트로크 또는 탑스핀을 위해 전완(팔목과 팔꿈치 사이의 근육들)을 회전시킬때 |
 |
 |
 |
팔을 굽힐 때 전완의 통증시 테이핑 |
팔을 굽힐(굴곡) 때 주관절(팔꿈치 앞 뒤)통증시 테이핑 |
팔을 펼(신전) 때의 주관절 통증시 테이핑 |
 |
|
기관지 천식으로 인한 가슴 통증시 테이핑 |
|
 ① 신전할 때와 굴곡할 때의 동작을 체크합니다. ② 상완(팔꿈치에서 어깨까지)과 전완(손목에서 팔꿈치까지)의 통증을 구분합니다. ③ 손의 외전과 내전 동작 때의 패턴을 구분합니다. ④ 엄지는 3개의 근육으로 신전과 굴곡을 구분합니다. ⑤ 요골근과 측골근을 체크한 다음 신전과 굴곡, 회외와 회내의 패턴을 구분하여 테이핑합니다.

통 증 |
테이핑 작용근육 |
비 고 |
굴 곡 (Flexion) |
상완근(삼두근), 삼각근(중·후면), 요 측 수근신근, 척측 수근신근, 중지신 근, 회의근 |
팔을 굽혔다 펼 때의 통증 |
신 전 (Extension) |
상완근(이두근), 삼각근(전·중면), 요측 수근굴근, 척측 수근굴근, 회내근 |
팔을 굽힐 때의 통증 |
|
첫댓글 우와 사진첨부로 이렇게 올려주시는 속이 시원하네요, 저도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의사께 여쭈어 보려고했는데, 덕분에 도움 잘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