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십이신살 보는표 | ||||||||||||
殺年/日 | 겁살 (劫煞) | 재살 (災煞) | 천살 (天煞) | 지살 (地煞) | 도화 (桃花) | 월살 (月煞) | 망신 (亡身) | 장성 (將星) | 반안 (攀鞍) | 역마 (驛馬) | 육해 (六害) | 화개 (華蓋) |
12운성 | 절(絶) | 태(胎) | 양(養) | 생(生) | 욕(浴) | 대(帶) | 록(祿) | 왕(旺) | 쇠(衰) | 병(病) | 사(死) | 묘(墓) |
巳酉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자(子) | 축(丑) |
亥卯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申子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해(亥)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寅午戌 | 해(亥) | 자(子) | 축(丑) | 인(寅) | 묘(卯) | 진(辰) | 사(巳) | 오(午) | 미(未) | 신(申) | 유(酉) | 술(戌) |
12운성 표를 자세히 살펴 보면 신자진(申子辰)삼합운동이 일정한 구조로 반복이 되는 물상임을 확인할 수가 있다
甲은 신자진삼합 운동이 절(絶), 욕(浴), 쇠(衰)지의 구조이다
乙은 신자진삼합 운동이 태(胎), 병(病), 관대(冠帶)의 구조이다
丙,戊는 신자진삼합 운동이 병(病), 태(胎), 관대(冠帶)의 구조이다
丁,己는 신자진삼합 운동이 욕(浴), 절(絶), 쇠(衰)의 구조이다
庚은 신자진삼합 운동이 록(祿), 사(死), 양(養)의 구조이다
辛은 신자진삼합 운동이 왕(旺), 생(生), 묘(墓)의 구조이다
壬은 신자진삼합 운동이 생(生), 왕(旺), 묘(墓)의 구조이다
癸는 신자진삼합 운동이 사(死), 양(養), 록(祿)의 구조이다
신자진(申子辰)뿐만 아니라 인오술(寅午戌), 사유축(巳酉丑), 해묘미(亥卯未) 삼합 운동도 모두 결과적으로 아래 4가지 구조의 운동성을 가진다
① 절(絶)+욕(浴)+쇠(衰) 구조를 가진다
② 병(病)+태(胎)+대(帶) 구조를 가진다
③ 록(祿)+사(死)+양(養) 구조를 가진다
④ 생(生)+왕(旺)+묘(墓)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사람의 행동 패턴이 이 4가지 구조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 심리성향을 제대로 분석하다 보면 그 사람의 인생방향과 성패를 읽을 수가 있겠다
① 절(絶)+욕(浴)+쇠(衰) 물상구조
절(絶)은 겁살이요, 욕(浴)은 도화이며, 쇠(衰)는 반안살이다
겁살+도화+반안의 구조를 가지는 사주가 있다면 어떻게 판단할 수가 있겠는가
도화를 중심으로 살펴 보자
도화가 욕지이므로 용모가 단정하고 아름다와서 주변에 소문이 자자하다
만약에 겁살과 도화가 짝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되겠는가
도화가 겁탈을 당하는 것이다 자신의 용모 때문에 오히려 몸을 더럽히는 일을 당하거나 수모를 당한다
만약에 도화가 반안과 짝을 한다고 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갑자기 스타가 되어 모든 사람들이 알아 주는 연예인으로 나타날 수가 있겟다
이러한 반안의 구조는 단단하게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인기가 오래 유지되겠지만 짝을 하다가도 쉽게 떨어지는 구조라면 반짝 인기로 갑자기 우리 앞에서 사라지게 될 것이다 또는 절+욕의 구조로 변질되었다면 인기인으로 있다가 수모를 당하고 자취를 감추고 만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연예인과 같은 인기인에게 많고 정상적인 직장 생활이 어렵다
실용적으로 통변해 본다면 子辰반합(욕+쇠) 구조에서는 인기 상승을 누리다가 자진반합이 깨지고 신자(申子) 반합을(절+욕) 형성했을 때에 인기구도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② 병(病)+태(胎)+대(帶) 구조
병은 역마이며 태는 재살이며 관대는 월살이다
역마+재살+월살=병(病)+태(胎)+대(帶)
이러한 구조는 한마디로 제복을 입는 물상을 가진다
관대란 결혼 의복으로 제복을 의미한다
태는 재살이며 수옥살이고 월살은 달밤에 하는 일이다 그러므로 죄수복을 입은 죄수가 갇혀 있는 상을 떠 올리기도 하고 결혼하면 남자와 여자가 서로 묶이는 것이므로 갇히게 되는 물상으로도 볼 수 있고 재살로 갇힌 사람들이 있어야 제복을 입는 종교인이나 활인업을 하는 사람들이 필요한 것이니 병태대 물상은 이러한 현상들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고시공부를 할려고 고시원에 갇혀 있다가 합격하여 법관이 되어 제복을 입는다
종교인이 기도를 위해 이쪽 저쪽 돌아 다니다가 제복을 입고 한 곳에서 오래 머물기도 한다
군인이 통보를 받고 갇혀 있듯이 전방에서 군복무 하고 있다
모두 동일한 물상이다
태지의 속성은 자신이 엄마 뱃속에서 완전하게 자리 잡지 못하였다는 불안한 심리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태지가 병지와 짝하게 되면 불안한 심리를 극복하고자 이리 저리 돌아 다니게 된다
갑자기 외국으로 도피성 유학을 가기도 하고 그렇치 않으면 병이 들어 병원에 누워 있게도 된다 물론 환자복을 입는다
병지는 역마라 돌아 다니지 않으면 괜히 몸이 아프다 또는 불안한 심리를 극복하고자 제복에 의지한다
관대의 속성은 몸은 성숙하였지만 갓 결혼한 사람으로 정신년령은 미숙하다 그래서 관대물상을 가진 사람들로서 행동거지의 미숙한 경우를 종종 보이는데, 높은 지위에 오르는 법관이나 종교인들에게는 이 미숙한 관대를 업그레이드 하는 다른 물상들이 복합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결론적으로
태지가 관대를 만나면 제복을 입는 일에 종사하게 되는데 간호사, 의사, 법관, 군인, 경찰등이 해당이 되겠다
태지가 역마를 만나면 또 돌아 다니는 업무를 가지게 된다. 무역업,등이다
실용적으로 통변해 본다면 子辰반합(병+태) 구조에서는 불안한 심리구조로 이리 저리 떠 돌아 다니다가 자진반합이 깨지고 신자(申子) 반합을(태+관대) 형성했을 때에 갑자기 제복을 입듯이 직책을 가지고 몰입할 수 있는 일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와 있는 대운이 병태대물상을 보이고 있고, 흉신이라서 관재와 수옥살의 갇히는 일들이 벌어질 수 있다면,이런 경우에는 십중팔구 감옥에 가지 않는다면 다쳐서 병원에 입원하는 결과가 발생할 수가 있다
③ 록(祿)+사(死)+양(養) 구조
건록(建祿)은 망신살이고 사지(死地)는 육해이며 양지(養地)는 천살이다
망신살+육해+천살=록(祿)+사(死)+양(養)
양(養)이란 뱃속에서 낙태(落胎)라는 태지(胎)의 불안을 씻고 확실하게 자리 잡음으로 무럭무럭 자라는 기질을 보이므로 이러한 구조를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낙천적이다
또한 건록(建祿)과 양(養)이 합작하면 안정적인 봉급생활이 가능하여 마음이 편하기도 하다 건록(建祿)이라 돈이 생긴다 유산을 상속 받거나 부동산 이득을 보게 된다 만약 록(祿)이 사(死)와 짝하면 망신살이 일어나 가지고 있는 것을 잃게 된다 항상 록왕할 때 실수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만약에 절지가 되어 외국으로 도피하였다 하더라도 양(養)의 성분 때문에 놀고 먹으면서 기회를 엿 본다
그러다가 사(死)와 양(養) 구조를 만나면, 죽었다 싶었는데 새롭게 배양이 되므로 새 직장이 구해 진다
운기로는 안정된 명(命)이고 부양할 가족이 있어 쉽게 이동하지 않는다
육해(六害)는 사지(死地)물상을 가지는 이유로 저승사자라고도 한다 그래서 절대적으로 잘 보여야 살아남게 되므로 윗사람에게 잘 보이면 먹을 것 생기고 잘못 보이면 고통을 당한다. 육해살에 해당이 되면 선배나 윗사람에게 의존해서 일처리 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육해살을 가진 사람이나 대운에서 육해에 해당이 되면 사지물상처럼 근신하여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새로운 사업을 일으키는 것은 바람직 하지 못하다
④ 생(生)+왕(旺)+묘(墓) 구조
생(生)은 지살이고 왕(旺)은 장성살이며 묘(墓)는 화개살이다
지살+장성살+화개살=생(生)+왕(旺)+묘(墓)
장성살은 본인의 뜻이 지상에 완전히 이루어 진 것으로 자기가 주도적으로 일을 진행하는데 능숙능란하다.
회사로 치면 부장급이다
자기가 처리해야만 될 일이 생기는데 주도적인 일의 추진과 성취를 통해 자기의 실력을 인정 받게 된다
그러나 너무 힘을 쓰면 피곤과 공사다망(公私多忙)으로 왕(旺)+묘(墓)의 합작구조가 되기도 하여 갑자기 잘 나가던 사업 내버려 두고 두문불출하게 된다
화개는 화려한 것을 덮는다는 뜻을 가지고 묘지물상을 나타내는 이유로 묵은 문제들을 정리, 정돈, 청산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더라도 다시 묘(墓)+생(生)합작이 되면 누군가가 찾아 와서 도와주게 되는 것도 이 물상의 특징이다
지살(地殺)이 곧 생(生)이므로 이 물상은 든든한 후원자가 늘 도와주게 되어 있다
( 신살관련 자료집 제공)
첫댓글 이러한 12신살의 물상법은 이미 검증을 거쳐 물상의 고수들께서 많이들 사용하시고 있습니다.
원리를 이해해야 하는데 처음에는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그때까지 숙달시켜야 하겠지요
보는 법은 다양한데 중요한 맥점은
① 절(絶)+욕(浴)+쇠(衰) 물상구조----이런 사람은 연예인들 인기를 먹고 사는 사람들에 많이 나타납니다 딱 보고 이게 해당하면 인기먹고 사는 직업을 가졌네~~하고 말하면 80%적중률 보입니다
② 병(病)+태(胎)+대(帶) 구조--------이런 사람은 관복을 입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딱 보고 이게 해당한다면 제복을 입고 근무하는 직업에 종사하시나요? 말하면 70%이상 적중. 의사,교도소에 갇힌 사람도 해당함
③ 록(祿)+사(死)+양(養) 구조-----이런 사람은 직장인 공무원들에게 나타납니다
④ 생(生)+왕(旺)+묘(墓) 구조----이런 사람은 사업가에 많이 나타납니다
이런 식으로 보고 숙달시키는데 이것만 해서는 안되고
다른 글자들을 또 보고(격국법+형충회합) 응용해야 더 정확한 물상이 도출이 되는 것은 당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