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내격(內格)
내격을 정격(正格)이라고 하며
모두 여덟 가지이니 팔정격(八正格)이라고도 부른다.
명리의 본질은 오행의 중화로서
그 중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체용을 분리하고
사길신과 사흉신
순용과 역용
일주기세의 강약
그리고 조후 등 모든 면을 감안하여 분석한 후
그 희기를 분별하는 것이지만
숙련이 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다.
본 기본단계에서는
억부적인 강약의 판단과
그에 따른 희신의 도출을 중점적으로 학습하기로 한다.
즉 팔자에 나타나는 일주의 기가
강하면 억제해 주어야 하고 기가 약하면 부조해 주는 것이니
즉 명에서 가장 강한 오행의 통변성으로 격을 정하고
그 강한 오행과 일주와의 관계를 살펴
신강으로 판단되면 식신이나 재성 혹은 관성 중에서
신약으로 판단되면 인성이나 비겁 중에서
희신(喜神)을 가려내는 것이다.
내격 여덟 가지는 다음과 같다.
1)식신격(食神格)
2)상관격(傷官格)
3)편재격(偏財格)
4)정재격(正財格)
5)편관격(偏官格)
6)정관격(正官格)
7)편인격(偏印格)
8)정인격(正印格)
9)록인격(祿刃格)
자평진전에서는 내격을
정관격 재격 인수격 식신격 편관격
상관격 양인격 건록월겁격까지 모두 8종으로 분류하였는데
편정인은 인수격으로 편정재는 재격으로 동일시하였으며
양인의 특수성이 있으므로 양인격을 넣었고
월지가 비견겁재이면 록겁격으로 분류한 것이다.
그리고 외격은 잡격이라 하여 모조리 하나로 보았다.
그러나 여기서 학습하는 내격의 분류는
억부를 위주로 하기 때문에
사실 월지 통변성의 의미를 크게 의식할 필요는 없으나
굳이 구분한다면
편정인이나 편정재도 각각 나누어 8가지로 분류하면서
다음에 양인 비견 겁재를 통합하여 록인격으로 첨가했다.
다만 록인격은
명의 구성에 따라 내격의 희기를 취할 수도 있고
별도의 희기를 취할 수도 있으므로 내격에 포함시켰다.
거듭 말하거니와
억부법에서는 격을 정하는 일이 의미가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서
내격에 속하는 몇 가지의 명례를 가지고
격국용신적 및 억부용신적인 희기를 비교 판단해보자.
월령 식신격 격국용신적 분석
시 일 월 년 자평진전(子平眞詮) 사각로(謝閣老)의 명(命)
庚 戊 壬 己 식신득령(食神得令) 재성투간(財星透干)
申 子 申 未 일주불약(日主不弱) 식신생재청격(食神生財淸格)
식재강즉(食財强則) 희방신운(*喜幇身運 인비운을 기뻐함)
관살운불미(官殺運不美)
월령 식신격 억부용신적 분석
시 일 월 년 자평진전(子平眞詮) 사각로(謝閣老)의 명(命)
庚 戊 壬 己 경금최강(庚金最强) 임수차강(壬水次强)
申 子 申 未 식재우왕즉(食財尤旺則) 신약(身弱)
고(故) 화토남방(火土南方) 인비희용(印比喜用)
이처럼 해석하는 관점이 달라도 희신이 동일한 경우도 있다.
월령 편관격 격국용신적 분석
시 일 월 년 자평진전(子平眞詮) 하참정(何參政)의 命
辛 壬 戊 丙 칠살용인격 (七殺用印格)
丑 戌 戌 寅 인능호살(印能護殺) 본비소의(本非所宜)
이살인유정(而殺印有情) 편위귀격(便爲貴格)
부이재향(*不利財鄕 재성운은좋지못하고)
상관위미(*傷官爲美 상관운도 아름답지 못하고)
인수신왕(印綬身旺) 구위복지(俱爲福地)
구위복지(俱爲福地*모두다 복이 된다.)
월령 편관격 억부용신적 분석
시 일 월 년 자평진전(子平眞詮) 하참정(何參政)의 命
辛 壬 戊 丙 무살최강(戊殺最强) 병재차강(丙財次强)
丑 戌 戌 寅 재살강왕즉(財殺强旺則) 신약(身弱)
고(故) 금수서북(金水西北) 인비희용(印比喜用)
이처럼 해석하는 관점에 따라 희신이 다른 경우도 있다.
격국용신적인 분석은
이법(理法)을 총괄하여 그릇의 크기를 알 수 있는 반면
단순히 강약만을 논하는 억부용신법에서는
오행의 과부족에서 오는 조화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월령 정관격
시 일 월 년 사주정설(四柱精說) 中國 재상지명(宰相之命)
戊 乙 壬 甲 정관격(正官格) 신약(身弱)
寅 巳 申 申 인수용신(印綬用神) 수목희용(水木喜用)
관인상생(官印相生) 용신강즉(用神强則) 吉命이라고 하면서
癸酉運은 酉金이 日主를 극할 것 같으나 壬水가 통관시켰고
甲戌運은 戌土가 壬水를 극해할 것 같으나 申金이 유통시켜
대과없이 지내고 乙亥運 이후 用神이 왕성해져 재상까지 지낼
수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시 일 월 년 억부용신적(抑扶用神的) 분석(分析)
戊 乙 壬 甲 임수최강(壬水最强) 갑목차강(甲木次强)
寅 巳 申 申 인비신강(印比身强) 故 무토용신(戊土用神)
화토희용(火土喜用)이처럼 억부적인 측면에서 살펴봐도
正官格(정관격)도 身弱(신약)도 印綬用神(인수용신)도 아닐뿐더러
시 일 월 년 격국용신적(格局用神的) 분석(分析)
戊 乙 壬 甲 정관격(正官格)에 인수(印綬)가 득기(得氣)하였으니
寅 巳 申 申 관인상생격(官印相生格)인데 재성(財星)이
생관보필(生官輔弼)하니 정관용재격(正官用財格)을 겸한다.
인수신왕운(印綬身旺運)이 좋고 식상운(食傷運)은 꺼린다.
이처럼 격국용신적인 견지에서의 분석도 아니다.
이와 같이 일부서적들의 命運해설을 보면
격국용신법도 억부용신법도 아닌
애매모호한 잡탕해설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격국용신이나 억부법에 대한
확고한 명리지식을 습득하지 못하고
일본서적 등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과정에서 나온
그런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록인격(祿刃格)의 경우는
명에서 가장 강한 근기(根基)가 되는 월령의 기가
비견이나 겁재가 되어 일주인 본인과 동기(同氣)가 되므로
일주가 극강(極强)해 지기 쉬운데
그러나 전왕법에 의할 만큼 극강하지 않다면
억부법에 따라 극강한 일주를 설극(洩剋)하는 식재관 중에서
용신을 구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만
팔자의 구성에 따라 억부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내격으로 딱 잘라 분류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내격 록인격
시 일 월 년 오월병화(五月丙火) 록인격(祿刃格)
辛 丙 丙 壬 오술묘술(午戌卯戌) 지합화기(*支合火氣 卯戌 午戌 합화)
卯 戌 午 辰 인비투간(比肩透干) 일주극강(日主極强)
년간임수(年干壬水) 진토착근(辰土着根)
용신가능(用神可能) 금수재관희용(金水財官喜用) 내격(內格)
이와 같이 신강에 관성이 착근하여 투출하면 당연히 내격이 된다.
따라서 월지가 록인이라 하더라도
보통은 내격의 억부법에 의하여 희신을 가리면 그만인데
문제는 천간에 일주와 식상만 투출해 있을 경우이다.
이때 다시 천간이나 지지에
재성이 있느냐 없느냐의 여부에 따라
희신을 취용하는 방법이 달라지고 격국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내격 록인격
시 일 월 년 월지비견(月支比肩) 록인격(祿刃格) 일주자강(日主自强)
甲 甲 丙 甲 병식역강(丙食亦强) 재성(財星) 유진토즉(有辰土則)
子 寅 寅 辰 일주갑목(日主甲木) 火土洩氣(화토설기)
식신생재(食神生財) 내격(內格)
此命도 身强에 火土食財를 기뻐하는 보통의 內格이 되지만
그런데 甲辰年 출생이 아니고 甲寅年 출생이라면
辰土재성이 없으니 격국도 희신도 달라진다는 것이니
별격 록인격
시 일 월 년 적천수(滴天髓) 포여명(鮑黎明) 편(編)
甲 甲 丙 甲 성패론(成敗論) 길명예(吉命例) 비견다근즉(比肩多根則)
子 寅 寅 寅 종왕격(從旺格) 수목화희신(水木火喜神)이라고 하는데
인월갑목(寅月甲木) 병식역강즉(丙食亦强則) 길명분명(吉命分明)하지만
비경우(此境遇) 건록격(建祿格) 목화희용(木火喜用) 별격(別格)이 된다.
그러므로
신강의 록인격에서 일주와 식상만이 투간하였을 때
내격과 외격을 구분하는 결정적인 요인은
재성의 유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주와 식상만이 통근하여 투간되었으면
비겁과 식상을 기뻐하는 별격이 되지만
이때 재성도 투간하여 있다면 당연히 식상생재가 되는 것이고
또 재성이 투간되지 않고 지지에 있다면
그 재성은 합충 등에 의하여 기능이 상실된 경우가 아닌 한
투간된 것과 동일하게 취급하여
식상과 재성을 기뻐하는 식상생재 내격이 되는 것이다.
-일석- 광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