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svsTCHfiAx0&t=30s
충무공 이순신 자 호 휘 차이,
세종 고종 묘호 시호 뜻 존호 능호
자(字) 휘(諱) 호(號) 시호(諡號) 존호(尊號)
묘호(廟號) 능호(陵號)의 정의와 차이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에서
자, 휘, 호, 시호, 존호, 묘호, 능호는
이름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들 용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계속 사용되어 온 중요한 개념이며,
각각 다른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자, 휘, 호, 시호, 존호, 묘호, 능호의
정의와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권에서는
누군가의 이름을 부르는 것을 꺼려서
호를 많이 이용했습니다.
특히 부자지간이나 사제지간이 아니면
이름을 부르는 것은 실례였고,
당연히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이름을 부르지,
아랫사람이 윗사람 이름을
직접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금기시되다시피 했습니다.
어쩔 수 없이 이름을 말해야 할 때
여러분들도 익히 아는 밈...
"길자 동자십니다."와 같이 말했습니다.
친구사이에서는
더더욱 이름을 부르지 않았습니다.
어렸을 때는 아명으로 서로 불렀는데,
아명이 따로 존재했다는 것도 신기합니다.
이 관습은 아무래도
영아 사망률이 높았던 문제와
관련이 있는 듯합니다.
어쩌다가 로또 당첨되듯이
왕이 됐던 조선후기 왕인
고종의 아명은 "개똥"이었습니다.
고종의 본명은 "이명복"이었는데도
어렸을 때는 개똥으로 불렸습니다.
자(字)
자(字)는 성인 남자의
한자 이름을 의미합니다.
한자는 중국에서 비롯된 문자 체계로,
한글의 글자 하나하나를 나타내는 요소입니다.
한반도에서는 남자가 20세가 되었을 때
자를 받는 성인식으로서의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자는 이름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이름과 관련된 한자로 짓는 것이 관례입니다.
자는 마치 이름의 아바타처럼 작용하며
개인의 신분과 성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자는 한자 모양을 봐서도 알겠지만,
조선시대에는 성년이 된 남자만 받았습니다.
조선시대 남자는 20살이 되면
상투를 틀고 자(字)를 받습니다.
여자는 15세에 비녀를 받고
계례를 올리면서
성인식을 치렀습니다.
여자에게는 자(字)가 없습니다.
고종의 자는 "재황"입니다.
아명은 명복이었고,
왕이 되기 전에 잠깐 "재황"이라는
자를 사용했습니다.
왕이 될 때 이름인 "휘"를 받습니다.
제갈공명의 공명(孔明)도 자입니다.
제갈공명의 이름은 양(亮)입니다.
양도 밝다는 뜻이고,
공명의 명에도 밝다는 뜻이 내포됐습니다.
자는 보통 이렇게 뜻이 비슷하게
짓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휘(諱)
휘(諱)는 임금의 본명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왕의 아들이 태어날 때에는
이미 왕위 계승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이름과 휘가 일치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왕자가 태어날 때에는
휘를 받은 적이 없습니다.
왕이 된 후 개명을 통해
휘를 정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휘는 임금의 신분과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스승이나 아버지의 이름도
함부로 입에 담을 수 없던
유교탈레반의 나라 조선에서는
당연히 임금의 이름은
절대 입에 올려서는 안 될 이름이며,
글로도 써서는 안 되는 금기였습니다.
그래서 왕의 휘를 정할 때는
뜻이 중요하지만,
웬만하면 잘 쓰지 않는
글자를 찾아 썼습니다.
이를 피휘(避諱)라고 합니다.
혹은 기휘(忌諱)라고 합니다.
둘 다 꺼린다는 뜻입니다.
그러함에도 쓰지 못 하게 하는 조치는
국휘(國諱)라고 합니다.
그래도 써야 하면,
휘자를 쓰되 사람들이 읽지 못 하게
획을 일부 생략합니다.
이를 피휘결획(避諱缺劃) 혹은
피휘궐획(避諱闕劃)이라고 합니다.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듕귁도 그랬고, 고려도 그랬습니다.
앞서 언급한 고종의 휘는
형(㷩), 희(熙)이었습니다.
이 양반은 왕도하고
황제도 해서 휘가 두 개입니다.
호(號)
호(號)는 별명을 의미합니다.
호는 개인의 성격, 특징,
좋아하는 것, 거주지, 관직 등과
관련하여 친구나 스승이
지어주는 별명입니다.
호는 별명답게 자유롭게 작명되며,
성격을 표현하거나
특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자기 별명을 자기가 지으면
자호(自號)라고 합니다.
자를 얘기할 때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예를 들지 않아서
섭섭했던 분들 많으실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순신 장군의 호를
충무공으로 잘못 아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무공(忠武公)은 시호입니다.
뒤에 설명드리겠지만,
살아생전 자신의 시호를
아는 사람은 없습니다.
돌아가신 뒤에 추존되는 이름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이름은
이순신(李舜臣)이지만
자는 여해(汝諧)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자(字)는
비교적 유명해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에 조금만 관심이 있어도
이순신 장군의 자 정도는
상식에 속합니다.
이 자는 이순신 장군의 어머님께서
『서경(書經)』에 나오는
순(舜) 임금의 “오직 너(汝)라야
세상이 화평케(諧) 되리라”는 말에서
뜻을 취해지어 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년(2022.11.24.) 류성룡의
『비망기입대통력』이
일본으로부터 환수되면서
이순신 장군의 자가
여해(汝諧)로 명확히 기록돼 있습니다.
하지만 이순신 장군의 호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합니다.
위키백과에는
이순신 장군의 호가
기계(器溪), 덕암(德巖)이라고 돼 있습니다.
혹자는 이순신 장군의 호가
덕곡(德谷)이라고 합니다.
또는 백암(白巖)이라고도 합니다.
호는 여러 개일 수도 있지만,
이 출처들이 조금 의심스럽습니다.
기계(器溪)와 백암(白巖)이라는
호의 언급은
이순신 장군을 열렬히 연구한
회정 김기환 선생의
1942년 출판한
『이순신세가』라는 책에서
처음 언급됐습니다.
이순신의 호.
어린 시절 서울에 살 때는
기계(器溪)라고 불렀고
아산으로 낙향해서는
백암(白巖)이라 불렀습니다.
그 이전의 기록에서는
나온 적이 없기 때문에,
김기환 선생의 창작일 가능성도
의심받는 호입니다.
덕곡(德谷)이라는 호는
소설 『임진왜란』 작가
김성한 씨의 주장 이외에는
근거가 없습니다.
1987년에 이르러서
경향신문의 유인석 기자가
충무공 이순신의 아호(雅號)가
덕암(德巖)이라고 밝힙니다.
『서원겸사기』(書院兼史記)란
필서본(筆書本)에
‘임진왜란록(壬辰倭亂錄)’
절의공신(節義功臣) 편에
중봉(重峯) 조헌,
천곡(泉谷) 송상현,
제봉(霽峯) 고경명 등과 함께
‘덕암(德巖) 이순신’이라고 기록 돼 있는 것으로
이순신 장군의 호는
덕암으로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시호(諡號)
시호(諡號)는 죽은 후에
사람들이 공적을 기리기 위해
붙이는 이름입니다.
주로 제왕이나 재상, 유현 등
일정한 업적을 남긴 인물에게 추증됩니다.
시호는 정 2품 이상의
셀레브리티들에게 부여되지만,
후대에는 일부 특정 인물에게도
부여되기도 했습니다.
시호는 일반적으로
존경과 찬양을 나타내며,
업적에 따라 길이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시호는 후대가 선대의 업적을 기리며
붙여주는 것입니다.
시호랑 묘호는 또 다릅니다.
흔히 사람들이
또 잘못 알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세종대왕의 세종이 시호라고
알고 있는 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세종은 묘호입니다.
세종대왕의 시호는
'장헌영 문예 무인 성명 효대 왕
(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입니다.
워낙에 업적이 많으신 분이니
업적만큼이나 시호도 길어졌습니다.
앞서 언급한 이순신 장군의 시호는
충무공입니다.
업적에 따라서 시호가 추존되기 때문에,
사실 한반도에 충무공은
10분도 넘게 있습니다.
존호(尊號)
존호(尊號)는
조정의 신하들이 추증하는 존호로서,
중국에서 내려주는 것은
엄격하게 시호라 합니다.
존호는 조정을 섬기는 신하들이 추천하고
임금의 승인을 받아 사용되었습니다.
주로 중국의 제왕이나 재상에게 사용되며,
업적과 도덕성을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묘호를 설명하면서
순종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묘호(廟號)
묘호(廟號)는
왕이 죽은 뒤에
종묘에 신위를 모실 때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종묘는 선조들의 묘소로서,
종친들이 그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됩니다.
묘호는 주로 왕의 존호를 따르며,
대표적인 예로는 조선 세조의 묘호인
태조(太祖)가 있습니다.
인릉, '순종, 연덕 현도 경인 순희 문안,
무 정헌 경성 효대 왕'이
순조의 풀네임 능호, 존호와 시호입니다.
묘호는 순종입니다.
"연덕 현도 경인 순희 문안"은
청나라에서 내려준 시호입니다.
"무 정헌 경성 효대 왕"은
신하들이 추존한 존호입니다.
휘호(徽號)
휘호(徽號)는 왕비가 죽은 뒤에
시호와 함께 추증한 존호입니다.
왕비의 공덕을 찬양하며,
주로 왕비의 지위와 공적을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정리
자, 휘, 호, 시호, 존호, 묘호, 능호는
한반도 역사와 문화에서
이름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각각의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