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빛에 번져 가는 양좌동 마을
기념관에 놓인 동안(洞案)의 표지에 양동(良洞)은 양좌동(良佐洞)이었다. 양동도 옛 같지 않다. 지붕이며 담장은 값비싼 기와로 때 빼고 광낸 셈이다. 한옥이다 초가라 하지만 아파트 형태를 닮아 일률적인 한식이다. 초가는 초가대로 기와집은 기와집대로 서로 닮아 엇비슷해 지고 있다. 조선시대 건축물을 보수 할 때 솜씨가 비슷한 목수들이 전국을 다니며 일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회마을도 영주 무섬마을도 이곳 양동마을도 외양은 그게 그게다.
양동 마을을 찾자 접빈의 법도는 없고 안내원들도 완장을 찬 듯 버겁다. 그 흔한 팜프렛 하나에도 인색하고 꼭 입을 열어야 그때서야 마지못해 생색을 낸다. 오는 객들 주고 없으면 그만일 텐데 무슨 심사로 찾아 온 손님조차 외면하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양동도 유네스코 문화재 지정 이후 사뭇 달라졌다. 초등학교 분위기도 낯설고 새로 지은 기념관도 전통의 모습과는 딴판이다. 개보수를 하면서 부분만 고쳐도 될 것을 주춧돌부터 깔아 치운다. 공사비를 부풀어야 떨어질게 많기 때문일 것이다. 그때 그 시대의 건물이 아니라 전국의 한식 건물을 대한민국 식으로 둔갑을 시켜 놓았다.
마을 들입에 자리한 심수정과 강학당(講學堂)으로 가는 길에 외국인 부부를 만났다. 인사를 건네고 어디서 왔는지 묻자 이스라엘에서 왔단다. 순간 이스라엘은 영어권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 입을 닫았다.
두 부부는 심수정으로 든다. 안내원도 없고 해설사도 없다. 그 흔한 영어 안내판도 없어졌으니 뭘 챙기고 돌아갈까? 이어 젊은 부부가 딸 하나 아들 둘을 데리고 심수정(心水亭 마음심心, 물수水, 정자정亭)으로 든다. 초등 2.3학년 될까 말까한 아이에게 현판의 가운데 자를 가리키며 무슨 한자 인자 물었더니 입술만 달싹댄다. 물 수자라 하였더니 고개를 끄덕이며 안다는 표정이다. 문화재를 탐방할 때는 수첩 하나 연필하나는 챙겼으면 했더니 모자는 무슨 소린지 멍한 표정이다. 허울 좋은 체험학습이요 정착이 되지 않은 가정교육이다. 문제는 그때마다 내 오랜 직업병이 번개처럼 도지는 것이 그게 늘 탈이다.
‘
‘心水亭(심수정)’ ‘마음은 물처럼’, ‘물 같은 마음으로’, 얼마나 멋진 가! 심수정 현판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 이만한 게 있겠는가! 대청마루에 삼관헌(三觀軒)현판도 걸렸다. 삼관은 뭘까? 심수정을 나와 시름시름 강학당으로 올라가니 일행은 벌써 돌아갈 차비다. 3시간을 봐다 모자랄 판에 겨우 10여분을 보내고선 주차장 행이다.
강학당은 여강 이씨 서당이고, 월성손씨 서당은 안락정이란다. 두 문중서당은 인재양성에 쌍벽으로 조선시대 문과, 무과, 사마에 급제한 이들이 116명이란다. 참으로 대단한 문중이요 집성촌의 위력이다. 학문을 닦아 입신양명하고 살았던 모습이 훤하지만 양반 댁의 종들은 오지랖에 물이 마를 날이 없었을 것이다. 참 좋은 세상, 우리나라 대한민국이다. 온 마을을 휘젓고 다니지만 노는 노름새나 말 한마디만 들어보면 그 사람의 출신을 안다. 삼가고 삼갈 일은 행동이요 말이다.
강학당 대청에 관선료(觀善寮), 명리제(明理齊)현판이 걸렸다. 관선료는 선을 바라보는 작은 창이란 뜻일 게다. 담 너머 향단과 관가정, 무첨당이 한눈에 든다. 관(觀)의 마음으로 살펴보고 챙겨보고 담아가는 이가 몇이나 될꼬?
이스라엘 부부는 강학당 명리제에서 글 읽는 소리를 듣고나 갈는지. 유네스코 지정 문화재를 찾아 온 그들 부부가 부럽고, 소상하게 알리지 못한 것이 내가 부끄럽다.
양동은 마을 뒤 설창산에서 물봉골 쪽으로는 여강이씨의 무첨당, 관가정, 향단이 자리하고 안골 좌우로는 월성 손씨의 종가인 서백당를 비롯하여 손씨 고택들이 형성되었다. 안골에 자리한 서백당(書百堂) 대문에 월성손씨 종가라는 간판만 객을 맞는다. 예를 표하고 들어가니 사랑채 마루에 ‘식와’(息窩)라는 현판이 눈을 끈다 ‘쉬어가라는 움집이라, 주인은 없고 객은 통행금지 표지에 머뭇되는데 마당에 비켜 선 향나무 한 그루가 양반 체통보다 더 거룩하게 객을 맞고 보낸다. 서백당의 좌장처럼 우람하고 묵직하고 듬직하다. 이집 어디쯤 조선의 5현으로 추앙받았던 회재의 태실은 어디쯤 일까? 종가는 무거운 침묵으로 흘러 헛담만 보고 나오니 아일랜드에서 온 일가족이 서백당으로 올라간다.
누대에 걸친 이 댁을 보면서 느헤미야 11장에 복을 받고 사는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백성들의 가계를 생각하게 된다. 아무개는 누구의 아들이요, 누구의 손자요, 누구의 증손이요, 누구의 현손이요, 누구의 오대손이며 누구의 육대손이며 누구의 칠대손이라고… 오늘을 사는 우리도 모름지기 윗대의 공덕으로 오늘을 살고 있음을 알았으면 한다. 조상들의 유덕을 기리며 사는 모습들을 보면서 누대에 걸쳐 전통을 이어가는 양동의 명문가들이 존경스럽다.
양동은 위상도 달라졌다. 눈에 띤 것은 동판으로 된 안내판이다. 아직도 두 문중이 집성촌을 이뤄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 오늘 심수정에서 만난 이스라엘 부부나 서백당을 찾아가는 아일랜드 가족들이 양동을 찾아 온 진정한 의미가 아닐까! 종일 그들의 장도를 빌면서 봄빛이 번져가는 양좌동 향기로 취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