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를 흉내 낸 말을 의성어, 모양이나 움직임을 흉내 낸 말을 의태어라 합니다.
국어사전의 뜻풀이에 ‘-는 소리’라고 되어 있으면 의성어,
‘-ㄴ/는 모양’이라고 되어 있으면 의태어에 해당하지요.
의성어와 의태어는 분명히 구분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가령 ‘침을 꿀꺽 삼켰다’라고 할 때 ‘꿀꺽’을 의성어로 볼지 의태어로 볼지
딱 잘라 판단하기 어렵잖아요.
국어사전에서는 그런 낱말들의 뜻풀이를 다음과 같이 처리해놓았다.
찰랑: 가득 찬 물 따위가 잔물결을 이루며 넘칠 듯 흔들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의성어로 볼 수도 있고 의태어로 볼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의성어와 의태어를 굳이 구분하지 않고 둘을 묶어 ‘의성의태어’라는 용어를 쓰는 게 일반적입니다.
우리말로 ‘흉내말’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합니다.
다른 나라의 언어에 비해 우리말은 의성의태어가 매우 발달했습니다.
그런 특성은 어떤 대상을 직접 보거나 소리를 듣지 않아도 충분히 실감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표현을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말에 의성의태어가 많은 까닭은
모음과 자음의 변화를 통해 형태가 다양한 계열어를 만들어내기 때문인데요
‘가뭇가뭇’에서 모음을 바꾸면 ‘거뭇거뭇’이 되고,
‘거뭇거뭇’에서 자음을 바꾸면 ‘꺼뭇꺼뭇’이 되는 식입니다.
‘빈둥빈둥’이 ‘반둥반둥’과 ‘밴둥밴둥’, ‘번둥번둥’을 불러오고,
나아가 ‘삔둥삔둥’, ‘빤둥빤둥’, ‘뺀둥뺀둥’, ‘뻔둥뻔둥’, ‘핀둥핀둥’, ‘판둥판둥’, ‘팬둥팬둥’, ‘펀둥펀둥’까지
가지를 쳐나가는 걸 보면 경이로운 느낌이 들지 않나요?
이처럼 어감의 미묘한 차이를 드러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우리말이 지닌 의성의태어의 장점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제대로 알고 익혀서 사용하는 하룻길 걸으세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