登龍門(등용문)
용문은 황하 강 상류에 있는 급류로 잉어가 거기에 올라가서 용이 된다는 전설이 있음. 立身出世(입신출세)에 연결되는 어려운 관문. 여러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험의 비유. 자기 몸의 영달이요 주요 시험에 합격 또는 유력자를 만남이라,
龍門(용문)은 黃河(황하) 상류 山西省(산서성)과 陝西省(섬서성) 경계의 협곡 빠른 여울로 물고기가 위로 못 올라간다.
여기에서 물고기가 물을 헤치고 오르면 용으로 된다(登龍門 : 등용문).
따라서 용문에 오른다는 것은 극한의 난관을 돌파하고 약진의 기회를 얻는다는 말인데, 중국에서는 進士(진사) 시험에 합격하는 것이 立身出世(입신출세)의 제일보라는 뜻으로 登龍門(등용문)이라 하였다.
後漢書(후한서) 李應傳(이응전)에서 나오는 말로, 後漢(후한) 말 桓帝(환제) 때 李應(이응) 字(자)는 元禮(원례)라는 사람은 蜀郡(촉군) 太守(태수)를 거쳐 하남윤으로 승진하나 宦官(환관)의 미움으로 투옥 당했다.
그러나 그 후 유력자의 추천으로 사예교위(현재의 경찰청장)가 되어 악랄한 환관 세력과 맞서 싸운다.
그러자 그의 명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태학의 청년 학생과 신하 뭇 백성의 경모의 대상이 되니, 천하의 본보기는 李元禮(이원례)라 평했으며 신진 관료들도 그의 추천을 받는 것을 최고의 명예로 알고 그의 추천은 登龍門(등용문)이라 하였다.
朝鮮(조선) 후기에 일반 서민들은 집안의 장식이나 행운을 빌기 위해 민화를 많이 걸어 두었습니다.
특히 잉어가 거친 물살을 거슬러 오르는 모습이나 여의주를 향하여 힘차게 뛰어 오르는 모습을 담은 민화는 젊은 선비들이 주고받았던 그림으로, 이는 登龍門(등용문)을 통과하여 입신출세를 비유하고 있다.
성완용/법고창신
첫댓글 龍門(용문)은 黃河(황하) 상류 山西省(산서성)과 陝西省(섬서성) 경계의 협곡 빠른 여울로 물고기가 위로 못 올라간다.
여기에서 물고기가 물을 헤치고 오르면 용으로 된다(登龍門 : 등용문).
여러 관문을 통과하여 크게 출세하게 됨. 또는 그 관문.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험의 비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