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향교.hwp
탐라천년팀 팸투어-제주향교
- 일시 “ 2020. 12. 5일(토) 15:30·17:30
- 장소 : 제주향교-용담1동 포제단-용연-용연 마애명-마애명 소공원-고시락당-동한두기-용화사
- 참석 : 송상호. 김학곤, 홍금희. 김원순
제주시 용담1동 지역에 오래전부터 도시민이나 관광객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온 장소를 모니터링 하여 12월 제주시 블로그에 남길 것이다. 함께 걸으며 제주시 인근 명소 이야기 나눈 시간 오래 남을 것이다.

팀 팸투어 제주향교 행단 앞에서

제주향교 정문 좌측 안내판


대성전이 2016년 보물로 승격 됐으니 비석을 새로 세워야 할 것이다.

누구를 막론하고 말에서 내려 걸어 지나가도록

제주향교 외삼문
들어갈때 오른쪽으로 나갈 때 안에서 볼 때 오른쪽
가운데로는 출입을 허용하지 않음.

명륜한문학원인데 지금은 경비용으로 사용 중

마당 서쪽에 자리잡은 명륜당
명륜당 : 강학공간 즉 요육하는 장소/현재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고 있음

마당 동쪽에는 충효관에서는 일부 사무실이고 일부 교육관이다.

과겨에 제주향교가 있던 배치현황
언젠가는 이대로 복원해야 한다.

제주향교 옛 모습

행단 옆에 은행나무

계성사로 오르는 길

행단에서부터 언덕이 시작됨은 대성전은 높은 곳으로
배산임수 격이다.

공자상으로 오르는 계단



명륜당은 제례 시 모든 준비를 하고 있다.
초하루 보름에 유림들이 이곳에 모여 제례를 준비하고 출발한다.

계성사 정면
계성사는 우리나라 234개 향교 중 전주향교와 제주향교 두 향교에만 보존되고 있다.

계성사는 오성인의 부친을 모신 곳이다.

오성인 : 공자, 증자, 안자, 자사자, 맹자의 아버지 위패를 모셔 잇는 곳

공자상은 우리나라 234개 향교 중 유일하게 제주향교에만 세워 있다.



에전에는 봄, 가을에 대제를 모시려면 14일씩 숙박을 했다.
그때 숙소로 사용하고 온갖 제기를 보관하는 장소였는데
지금은 창고 형태로 운영 중이다.


대성전/ 2016년 보물로 지정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내외문 양쪽으로

대성전 전경

대성전은 개방은 하고 있지만 일반인들도 향교 규칙을 철저하게 지켜주기를 바란다.
출입시 유의 사항은 사무실에 이야기 한 후 간단하게 설명듣고 움직이는 것이 좋겠다.
특히 대성전은 보물로 승격 되었기 대문에 들어가는 문과 나오는 문을 정확하게 알고
출입을 하고 허용하지 않는 문으로 다녀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