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안 부결시켜야”...이재명 약속과 반대로 가는 친명
초읽기에 들어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두 번째 구속영장과 관련해 친명계를 중심으로 “체포 동의안을 부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 대표가 지난 6월 교섭단체 대표 연설부터 불체포특권 포기를 거듭 약속했지만 “소신껏 부결 표를 던지겠다”는 공개 선언에 이어 “투표 거부로 이재명을 지키자”는 제안도 나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19일 인천 계양구에서 열린‘제1회 계양 아라뱃길 워터 축제’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가 임박했다는 관측 속에서도 이 대표는 최근 지역구 활동 등을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뉴시스
민주당 민형배 의원은 20일 친명계 원외 모임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1차 전국 대회에서 “한동훈(법무장관)이 하는 간악한 짓을 보고 걱정이 되지 않나. 간단하게 물리치는 방법이 있다”며 “(체포 동의안) 투표를 거부하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회의장에 들어갔다가 투표가 시작되면 민주당 의원들이 일제히 빠져나오면 되는 것”이라며, 이런 전략을 민주당 의원들에게 제안하겠다고 했다.
무기명 표결 사안인 체포 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의 과반 찬성 때 가결된다. 민주당 의원 167명이 전원 불출석하면 ‘재적 과반 출석’이 성립하지 않는다. 당내에서도 “실효성 없는 전략”이라는 지적이 나오지만, 이 대표를 엄호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다시 힘을 받는 분위기다. 민주당은 ‘8월 비회기 중 영장 심사’를 요구하고 있지만, 검찰은 정기국회가 시작된 뒤 9월 초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친명계 박찬대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정당한 영장 청구라고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아주 당당하게 부결 표를 던질 것”이라며 “이런 의원이 저 한 사람뿐이겠느냐”고 했다. 친명계 중진 정성호 의원도 “의원들이 당내 갈등을 유발하지 말고 각자 소신껏 (체포 동의안 표결을) 하라는 의미”라고 했다. 정 의원은 ‘구속 시 당대표 사퇴 가능성’에 대해서도 “구속됐다고 사퇴하면 더 큰 혼란이 있다”고 했다. 한 친명계 지도부 인사는 “검찰 수사가 억지스럽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며 “비명계도 반드시 가결해야 한다는 여론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이 대표는 주말에 지역구 행사를 찾아 축사를 하고 최근 자신이 발의한 ‘하천법’ 관련 메시지를 냈다. 자신의 거취를 둘러싼 당 안팎의 고민이 커지고 있지만 아무 일 없다는 듯 ‘지역구 국회의원’다운 행보를 보인 것이다. 그는 이날 페이스북에 최근 전남 장성 남창계곡에서 일어난 어린이 급류 휩쓸림 사고와 관련해 “공유재산인 계곡을 독점하려는 욕심으로 벌어진 사고”라며 “반대를 무릅쓰고 경기도에서 청정 계곡 도민 환원 사업을 추진하고 불법 시설물을 모두 철거한 이유도 이 때문이었다”고 했다. 계곡 식당 업체들의 자릿세·바가지 등을 규제한 이른바 ‘계곡 정리 사업’은 이 대표가 경기지사 시절 큰 치적으로 내세우는 사업 중 하나다. 이와 관련해 이 대표는 지난 8일 하천 내 불법행위 관리 등을 명시한 내용의 하천법·소하천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관련 기사
이재명, 구속돼도 당대표직 유지?...‘옥중 공천’ 띄우는 친명
검찰, 이재명 ‘백현동’ 조사 한차례로 끝낼듯... 모순된 진술 등 분석
이재명 “비회기 중 영장청구하라”…한동훈 “희한한 특별대접 요구 많아”
이 대표는 전날에는 인천 계양구 장기동 황어광장에서 열린 ‘제1회 계양 아라뱃길 워터 축제’를 찾아 개회사를 했다. 이 대표가 계양 지역구 행사를 찾은 것은 이례적이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지난해 약속한 대로 당연히 계양에 뿌리를 내린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한 비명계 중진 의원은 “‘옥중 공천’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끝까지 버틴다는 전략 아니겠나”라며 “당의 운명과는 관계없이 이 대표는 ‘마이 웨이’ 전략이 확고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대표 측은 자신감이 반영된 ‘마이 웨이’라고 설명한다. 이 대표에 대한 검찰 수사는 ‘무도한 폭력과 억압’인 만큼, 이에 휘둘릴 게 아니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