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소금 섭취량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저염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저염제품 출시가 잇따르고 있다. 식품기업들이 건강에 최우선을 두는 웰빙 소비자를 타깃으로 정조준하고 있는 것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식품기업들이 그동안 제품 구색을 맞추고 환자용 식단을 위해 저염제품을 제공해 왔으나 최근 들어 건강을 챙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저염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최근 ‘해찬들 4선 된장’을 내놓았다. 이 제품은 소금 대신 대두를 더 넣어 기존 제품과 맛은 같지만 염분 함량을 크게 줄였다. 특히 시장에서 제일 잘 나가는 3개 된장 제품 대비 염분 함량이 25%이상 적어 저염 제품으로 통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해찬들 4선 된장은 지난 7월에 나온 ‘더 건강한 햄’의 저염 제품에 이어 새롭게 선보이는 것”이라며 “소비자 블라인드테스트 결과 기존 제품보다 더 낫다는 판정을 받았을 만큼 맛도 뛰어나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백화점과 단위슈퍼에서 판매되고 있고 대형마트 입점은 10월 초중순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염제품의 가격은 기존 제품 대비 10~15%가량 비싼 편이다.
대상도 올들어 염분 함량을 기존 제품 대비 각각 12%, 20% 낮춘 ‘재래식안심생된장’과 ‘우리팜델리’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대상은 올 추석 선물세트세트부터 캔햄 제품을 모두 우리팜델리로 교체하는 등 마케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정부에서도 식품 기업의 저염제품 개발을 독려하면서 저염화 바람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일례로 식약청은 기존 장류 제품의 경우 올해 말까지 염도를 낮추도록 권고하고 염도를 극소화한 신제품 출시를 장려키로 했다.
또 농심ㆍ삼양ㆍ야쿠르트 등 라면 업체들 역시 단계적으로 제품에 들어있는 나트륨 함량을 줄여나가기로 하고 저염라면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고찰>112외A09나윤경
어릴때에는 건강을 먼저 생각하기보다는 맛있는음식을 골고루 먹어야 된다는 생각만을 가지고 부모님이 주시는 음식을 먹으면서 자라왔지만 어느정도 성장하고 음식을 전공하는 나로써 음식을 직접 해먹기 위해 장을 볼때면 건강을 생각해서 한번 더 생각하고 제품을 고르게 되는 습관이 생겼다. 뉴스에서도 신문에서도 가끔 보이는 기사로는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량이 세게 최대인 것이 나오면 짠 음식을 먹는것을 줄여야 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만든다. 그래서 소금이나 간장, 고추장, 된장 등을 좀더 국에 풀어먹어야 되는 상황이 오면 나는 피하는 편이다. 하지만 전반적인 한국인의 입맛으로 볼때는 자극적인 음식을 입맛에 기본적으로 깔려있기때문에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려고 하는 사람이 많지 않게된다. 그러므로 나도 한번쯤은 위와같은 생각을 해본적이 있었다. 우리가 먹는 장들을 처음부터 만들때 나트륨양을 적게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렇게 조금씩 줄여나가다보면 한국인의 나트륨섭취량이 줄어들지 않을까, 또 한국인의 입맛을 조금씩 고쳐나갈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소금량이 적어지면서 으식의 맛에는 조금씩 변화가 있겠지만 그래도 다른 감미료로 대체를 시키고 나트륨 함량을 낮출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런 제품이 장류를 포함한 다른 햄이나 가공품들의 나트륨함량을 전체적으로 줄여서 계속해서 출시되면서 앞으로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함량을 줄이고 한국인들이 좀더 건강한 입맛을 되찾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