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내용 | 세부내용 | 예 | 아니오 | 기타 |
분리수거함 | 사용 여부 | O |
|
|
위치 | 마을 회관 옆 | |||
분리수거 상태 | 좋음 | |||
폐형광등 전용수거함 | 사용 여부 | O |
|
|
분리수거 상태 | 좋음 | |||
영농폐기물 전용수거함 | 사용 여부 | O |
|
|
분리수거 상태 | 좋음 | |||
마을소각장 | 사용 여부 | O |
|
|
종량제봉투 | 타는 쓰레기(흰색) | O |
|
|
안 타는 쓰레기(노란색) |
| O |
| |
쓰레기 집하 | 장소 | 농협, 조실, 대동약방 앞 | ||
요일 및 시간 | 수요일 9~10시 | |||
회관 주변 청소상태 | 좋음 | |||
기타 메모사항 |
|
○ 설문내용
-마을환경교육 이후 달라진 점이 있나요? -설치된 분리배출함은 활용이 되고 있나요? -마을에서는 쓰레기가 얼마나 나오나요? (일주일 혹은 한 달 단위로) 인삼밭이 많은 마을이라 농약병 쓰레기가 많이 나온다. 숨은자원찾기 때 농약병만 2톤 나왔다.
-마을행사 시 일회용품을 사용하시나요? (사용하신다면 무엇을 얼마나 사용하시나요?) 나무젓가락과 종이컵은 가끔 쓰지만 접시 등 그릇은 전혀 쓰지 않는다. 종이컵은 씻어 말려 재활용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마을주민 대상 쓰레기 분리배출 관련한 추가/보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마을의 남자 어르신들이 제초제 뿌리고 난 병을 아무렇게나 버려두어 문제가 심각하다. 이와 관련한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쓰레기 배출 관련 주민들이 어려워하는 점은 어떤 건가요? 쓰레기 봉투 사는 비용 때문에 대부분 봉투를 사지 않고 소각하는 실정이다. 전기장판, 고무대야 등 큰 쓰레기는 스티커를 붙여야 하는데 그냥 태우거나 무단으로 버린다. 마을 큰길로 외지 차들이 많이 지나다니며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리고 간다. 지금은 마을돈으로 치우고 있는데 CCTV 설치를 고려 중이다.
-쓰레기 수거장소의 위치 및 수거차량 노선이 적합한가요?
-마을회의에서 쓰레기 처리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나요? -이장님이나 부녀회장님은 쓰레기 처리 관련해 얼마나 시간을 쓰시나요? 어려우신 점은? 숨은자원찾기 할 때 분리수거를 해오지 않아 부녀회가 일일이 분리하느라 힘들었다.
-마을회관에서 쓰레기소각을 하고 있나요? 종이, 휴지, 농사부산물을 등을 태우고 있다.
-마을 단위의 쓰레기집하장 설치를 지원한다면 유치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마을쓰레기 처리 관련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가요? (분리배출 관련 게시물 등 아이디어 제안) 집집마다 쓰레기 태우는 드럼통이 있고 무분별하게 태우고 있다. 쓰레기봉투 제공 등의 보상제도를 도입해 드럼통 치워야 한다. 농약병만 모을 수 있는 수거함을 군 보건소에 신청하면 받을 수 있다. 쓰레기봉투를 집집마다 무상으로 제공하면 쓰레기 태우는 일이 줄어들 것이다.
-마을쓰레기 처리 이외에 환경 및 건강과 관련해 하고 싶은 이야기는? (*) 석산마을에서 했던 환경교육을 이 마을에서도 받으실 의향이 있나요? 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