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로윈데이
핼로윈데이 또는 할로윈데이는 10월 31일에 행해지는 전통 행사이다. 이 날에는 죽은 영혼이 다시 살아나며 정령이나 마녀등이 출몰한다고 믿고, 그것에게 몸을 뺏기지 않기 위해 사람들은 유령이나 흡혈귀, 해골, 마녀, 괴물 등의 복장을 하고 축제를 즐긴다고 한다.
HalloweenDay - 유래와 의미
"핼로윈데이" 그 유래에 대해서는 다들 비슷 비슷하면서도 약간씩 다른 자료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
핼로윈(halloween)의 어원은 카톨릭 교회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즉 만성절(성인의 날, All Hallows Day)인 11월 1일은 모든 성인들을 기리며 종교적 행사를 갖는 카톨릭 교회의 전통적인 기념일인데, 이 날을 기념하는 전야제(All Hallows Eve)가 오랜 세월 변화하면서 전해져 내려 온 것이 바로 핼로윈의 어원상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pro_ad_display_adzone id=”42731″]
[pro_ad_display_adzone id=”42733″]
핼로윈은 미국으로 이주한 아일랜드인들이 들여온 풍습에서 유래되었으나, 아일랜드나 영국 등지보다는 미국에서 비로소 크게 성행하였으며, 최근에는 많은 나라에서 하나의 놀이나 축제처럼 간주되고 기념되고 있다. 핼로윈은 무서운 죽음, 신화의 괴물 등의 기분 나쁜 것들을 테마로 한다. 핼로윈에 관련하는 것들은 흔히, 유령, 마녀,박쥐, 검은 고양이, 고블린, 좀비, 악마, 거기에드라큘라나 프랑켄슈타인과 같은 문학 작품상의 등장 인물이 일반적으로 포함된다. 핼로윈 기간에는 이런것으로 집을 장식하는 가정도 있다.
핼로윈의 유래를 좀 더 살펴보면 기원 전 5세기경 켈트족이 거주하던 지금의 아일랜드 지방과 영국 및 북부 유럽의 지역은 겨울이 길어 10월 31일을 여름의 마지막으로 보고 11월 1일을 새로운 해의 첫날로 기념했었다. 수확의 계절이 끝나고 어둡고 추운 겨울이 시작 되는 이 10월 31일을 당시 사람들은 태양의 힘이 약해져 산 자와 죽은 자의 경계가 불분명해진다고 믿었으며, 온갖 정령이나 마녀가 나올 뿐 아니라 죽은 사람들의 혼령이 다시 땅으로 내려와 농사를 망치게 하고 사고를 일으키고 또 살아 있는 사람들의 몸을 빌려 거처를 마련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온 마을 사람들은 이 날 육체를 점령 당하지 않기 위해 난방을 중단하고 몸을 차갑게 해서 혼령으로부터 몸을 보호했다. 그리고 귀신처럼 분장을 하고 시끄럽게 마을을 돌아다님으로써 기거할 육체를 찾아 헤매는 혼령들을 놀라 달아나게 했다.
켈트족은 이미 혼령에게 몸을 점령 당했다고 생각되는 사람을 장작 더미에 올려 놓고 화형에 처하여 귀신이 산 자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본보기를 보여 주기도 했다. 그 후 기원후 1세기 경 로마인이 켈트족의 풍습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로마인은 사람을 불에 태우는 행위는 하지 않았고 대신 인형을 만들어 불에 태우곤 했다. 이 풍습이 세월이 흐르면서 점차 변해 귀신이 몸에 들어온다는 의식은 약해지고 도깨비, 귀신, 마녀와같은 복장을 하고 모이는 축제 형식으로 발전 되었다. 이 풍습이 이민자들에 의해 북미로 전해졌으며 오늘날 어린이들의 축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핼로윈의 대표색은 검은색과 주황색이며,주황색 호박은 가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재코랜턴(Jack-o-lantern, 호박에 유령의 모습을 조각한 등불)은 아일랜드 전설에서 기원을 찾는다. 난폭하고 나쁜 짓만 일삼던 잭이라는 사람이 사탄을 꾀어 나무에 올라가게 하고는 나무 둥지에 십자가를 새겨 넣어 악마를 나무에 꼼짝 못하게 묶어 놓았다. 그 후 잭이 죽어 생전의 나쁜 행실로 천당에 가지 못하고 악마를 속였다는 죄로 지옥에도 가지 못하게 됐다. 대신 악마는 잭에게 작은 불씨 하나를 주어 어둡고 추운 겨울을 견디게 했는데 잭은 그 불씨를 오래 간직하기 위해 호박의 속을 꺼내고 그 안에 불씨를 간직했다는 전설이 있다.
트릭 혹은 트릿(Trick-or-treat)풍습은 켈트족의 풍습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추정되며 11월 2일 ‘영혼의 날(All soulsday)’ 행사로 유럽 사람들이 마을을 돌며 사각형의 ‘영혼 케이크(Soul cake)를 구했던 데서 그 유래를 찾고 있다. 영혼 케이크를더 많이 받을수록 더 많은 영혼을 구원해 줄 수 있다고 당시 사람들은 믿고 있었다.
오늘날에는 유령, 마녀, 괴물 등을 가장한 아이들이 집집마다 돌며 Trick or treat! (맛있는 것을 주지 않으면, 장난칠 거야)라고 말한 뒤, 사탕을 주지 않으면 비누 등으로 유리창에 낙서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사탕을 나눠주는 것을 즐거워하며 미리 준비해 놓기 때문에 그런 일들은 별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렇게 한 다음 아이들이 모여 받은 사탕을 추려내어 파티를 열기도 한다. 그리고 물을 채운 대야에 사과를 넣고 손을 대지 않고 입으로 사과를 건져내는 놀이를 한다.
오늘날 비 기독교도와 악마주의자들이 핼로윈을 그들의 최고 기념일로 채택하고 있어 기독교 단체에서는 핼로윈을 금기시 하고 있는데 그 기원이 악마주의자들의 풍습에 있는 것은 아니다. 켈트족의 새로운 한해를 축하하는 의식과 중세 유럽의 영혼 구원을 위한 기도 의식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번 핼로윈 때는 집에 오는 아이들 사진도 찍고, 불꽃놀이 구경 삼아 밤길을 한번 돌아다녀봐야겠습니다.
#HALLOWEEN #핼로윈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