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어 루(䱾)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별 이름 루(婁)자를 했습니다. 별 이름 루(婁)자는 여자의 머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화려하게 장식한 여자의 머리를 그린 그림인 별 이름 루(婁)자에 칠 복(攵)자를 해서 머리털을 세는 표시를 했습니다. 셀 수(數)자는 여자의 머리털을 세는 글자입니다. 나이가 들어서 머리털의 색깔이 하얗게 변하는 것도 ‘머리가 센다’고 합니다. 셈을 센다는 말과 머리털이 센다는 말이 같습니다.
䱾
물고기 이름 참(䱿)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벨 참(斬)자를 했습니다. 벨 참(斬)자는 사람이 치면 죽을 수도 있는 수레 거(車)자에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두 글자가 모두 베거나 다쳐서 사람이 죽일 수 있는 도구들입니다.
+
= 䱿
물고기 이름 지(䲀)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잡을 집(執)자를 했습니다. 잡을 집(執)자는 죄인을 잡아 도망가지 못하도록 차꼬를 채운 모양을 한 다행 행(幸)자에 둥글 환(丸)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둥글 환(丸)자는 둥글다는 뜻이 아니라, 물건이나 사람을 잡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잡을 지(摯), 폐백 지(贄), 쇠가 달린 채찍 지(䥍), 맹금 지(鷙), 말 무거울 지(騺)자들은 잡을 집(執)자가 들어 있어서 ‘지’로 읽습니다.
+
= 䲀
다랑어 위(䲁)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벼슬 위(尉)자를 했습니다. 벼슬 위(尉)자는 지킬 위(尉)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지킬 위(尉)자는 주검 시(尸)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를 하고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여기서 주검 시(尸)자는 빌 가(叚)자의 왼쪽 부분이며 마디 촌(寸)자는 빌 가(叚)자의 오른쪽 부분입니다. 그리고 보일 시(示)자는 여기서는 불 화(火)자의 변형입니다. 벼슬 위(尉)자의 옛글자는 빌 가(叚)자에 불 화(火)자를 해서 빌 가(叚)자를 불태우는 형상입니다. 벼슬을 하면 빌리는 일이 없게 된다는 뜻입니다. 또는 임금님의 말씀이라는 뜻으로도 봅니다. 벼슬을 하게 되면 경제적으로 생활이 나아지게 된다는 말입니다.
+
= 䲁
물고기 이름 선(䲂)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돌 선(旋)자를 했습니다. 돌 선(旋)자는 의부(義符)로 모 방(方)자에 성부(聲符)로 ‘𠂉’자 아래에 발 소(疋)자를 했습니다. 서성거리며 주위를 맴도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모 방(方)자에 ‘𠂉’자를 한 글자는 깃발을 뜻하는 글자들입니다. 기 기(旗), 기 패(斾). 깃발 유(斿). 기 기(旂), 기 전(旃), 깃대 장식 모(旄), 기 패(旆), 깃발이 휘날릴 피(旇)자 이외에도 많습니다. 이는 모 방(方)자에 ‘𠂉’자를 한 글자가 깃발이 휘날리는 모양을 그린 글자이기 때문입니다. 돌 선(旋)자는 깃발을 가운데 세워 두고 깃발을 빙빙 도는 일종의 나라 안위를 위한 제천(祭天) 행사의 모습 같기도 합니다. 불교 의식에서 보는 탑돌이 같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 䲂
물고기 이름 초(䲃)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집 소(巢)자를 했습니다. 집 소(巢)자는 나무 위의 새집인 둥지를 뜻합니다. 개미허리 천(巛)자는 새집에서 새알을 만져보면 따뜻함을 표시한 것이고, 여기서 과실 과(果)자는 나무에 달린 과실을 뜻하지 아니하고, 손을 두 개 그려서 새 둥지에서 새알을 두 손으로 움키는 그림을 그렸습니다. 노곤할 초(剿), 노곤할 초(勦), 두드릴 초(摷), 망보는 수레 초(轈)자들은 집 소(巢)자가 들어 있어서 ‘초’로 읽습니다.
+
= 䲃
민어 민(䲄)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재빠를 민(敏)자를 했습니다. 재빠를 민(敏)자는 재빠른 것은 손으로 하는 일이니, 손이 하는 일을 표시하는 칠 복(攴,攵)자에 재빠르려면 반복해서 훈련을 해야 하니, 매양 매(每)자를 했습니다. 매양 매(每)자는 ‘𠂉’ 글자에 어미 모(母)자를 했습니다. 어머니가 집안에서 늘 자녀를 돌보는 일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䲄
복어 규(䲅)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법 규(規)자를 했습니다. 법 규 (規 )자는 볼 견 (見 )자에 남편 부 (夫 )자를 했습니다. 그러나 전서 (篆書 )를 보면 남편 부 (夫 )자는 화살 시 (矢 )자의 변형 (變形 )임을 알 수 있습니다. 화살은 길이 단위의 기준이었습니다. 법 규 (規 )자는 사람이 사는 기준입니다. 가정에서는 남편이 삶의 기준이었습니다.
+
= 䲅
삼치 마(䲈)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삼 마(麻)자를 했습니다. 삼 마(麻)자는 집 엄(广)자 아래에 ‘𣏟’자를 했습니다. ‘𣏟’자는 삼베를 만드는 삼베 나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䲈
자라 별(鱉)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해질 폐(敝)자를 했습니다. 해질 폐(敝)자는 해어진 옷 폐(㡀)자에 칠 복(攵)자를 해서 옷이 다 떨어지도록 두들겨 팬 글자입니다. 언뜻 볼 별(瞥), 보습날 별(鐅,䥕), 자라 별(鼈), 발끈할 별(嫳), 너울거릴 별(徶), 털 별(襒), 악할 별(憋), 개미 별(蟞), 금계 별(䨆)자들은 해질 폐(敝)자가 들어 있어서 ‘별’로 읽습니다.
+
= 鱉
실뱅어 율(鱊)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송곳질할 율(矞)자를 했습니다. 송곳질할 율(矞)자는 창 모(矛)자 아래에 빛날 경(冏)자를 했습니다. 빛날 경(冏)자를 한 것은 송곳으로(矛) 뚫은 구멍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뚫어서 구멍이 생기니 빛이 들어와서 밝게 빛난다는 뜻으로 빛날 경(冏)자를 한 것입니다.
+
= 鱊
가자미 허(鱋)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빌 허(虛)자를 했습니다. 빌 허(虗,虚,虛)자는 호랑이(虍)가 사는 언덕(丘,丠)입니다. 빌 허(虚xū)자는 간체자(簡體字)입니다. 호랑이가 사는 언덕에는 다른 동물은 모두 숨거나 사라져 버립니다. 빈 언덕이 되는 것이지요. 언덕을 표시한 글자를 보면 사람의 엉덩이를 그린 글자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鱋
물고기 이름 상(鱌)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코끼리 상(象)자를 했습니다. 코끼리 상(象)자는 코끼리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
= 鱌
헤엄칠 발(鱍)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쏠 발(發)자를 했습니다. 쏠 발(發)자는 풀이 자라는 모습을 그린 등질 발(癶)자 아래에 탄력이 있는 무기인 활 궁(弓)자를 하고, 창 수(殳)자를 했습니다. 모두 탄력이 있고 튀어 나오는 표시를 한 글자들입니다. 봄이 되어 싹이 나오고 물이 솟아 나오지요. 영어로는 스프링(spring)입니다. 쏠 발(發)자는 튀어 피어나는 뜻의 글자입니다.
+
= 鱍
뱅어 교(鱎)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교(喬)자를 했습니다. 높을 교(喬)자는 높을 고(高)자처럼 높은 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또는 창(矛)을 높이 들어 올렸을 때 창끝처럼 높은 곳을 가리키는 글자로 사용했습니다.
+
= 鱎
철갑상어 심(鱏)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미칠 담(覃)자를 했습니다. 미칠 담(覃)자는 덮을 아(襾)자 아래에 날 일(日)자를 하고 열 십(十)자로 떠받쳐 놓은 글자입니다. 여기서 덮을 아(襾)자는 소금 로(鹵)자의 모사(模寫)입니다. 햇빛으로 소금이 솔아서 바닷물이 소금이 된 것을 표시했습니다. 버섯 심(蕈), 볼 심(瞫), 심어 심(鱏)자들은 미칠 담(覃), 날밑 심(鐔)자가 들어 있어서 ‘심’으로 읽습니다.
鱏
말린 고기 숙(鱐)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엄숙할 숙(肅)자를 했습니다. 엄숙할 숙(肃,肅,䏋)자는 붓 사(肀)자 아래에 ‘𣶒’자를 했습니다. 붓 사(肀)자를 상앗대로 본다면 ‘𣶒’자는 물을 가두어 놓은 못이 됩니다. 엄숙할 숙(肅)자는 물 위에서 배를 저어가는 그림입니다. 배를 저을 때 마음은 두렵기도 하고 긴장도 되겠지요. 못 연(淵)자에서도 ‘𣶒’자가 물이 담겨져 있는 연못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엄숙할 숙(肅)자는 못에서 배를 저을 때의 엄숙하고 조심스러운 마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엄숙할 숙(肃)자는 엄숙할 숙(肅)자의 약자(略字)입니다. 엄숙할 숙(䏋)자는 붓 사(肀)자 아래에 마음 심(心)자를 하고 뱀 사(巳)자를 했습니다. 엄숙할 숙(䏋)자는 못에서 배를 저을 때의 엄숙하고 조심스러운 마음을 나타낸 글자에다가 그런 마음과 뱀을 만났을 때 엄숙하고 조심스러운 마음까지 합한 글자입니다.
+
= 鱐
전어 황(鱑)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를 했습니다. 누를 황(黃)자는 흙의 누런 색깔을 옷이 불에 누른 색깔과 같은 색으로 비유하여 표시한 글자입니다. 노란 진흙 근(堇)자와 누를 황(黃)자는 비슷합니다. 모두 누런 흙의 색깔을 나타냅니다. 누를 황(黃)자에서 가운데 있는 밭 전(田)자는 밭, 바로 흙을 뜻합니다.
+
= 鱑
송어 준(鱒)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높을 존(尊)자를 했습니다. 높을 존(尊)자는 여덟 팔(八)자 아래에 술병 유(酉)자를 하고 글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높을 존(尊)자는 사람들이 술을 바쳐서 술을 받아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또 높을 존(尊)자는 두목 추(酋)자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해서 두목처럼 떠받드는 사람임을 나타냈습니다. 웅크릴 준(蹲), 술통 준(樽), 모일 준(僔), 무성한 모양 준(䔿), 술통 준(墫), 춤출 준(壿), 가파를 준(嶟), 누를 준(撙), 술두루미 준(罇), 수군거릴 준(譐), 수군거릴 준(譐), 창고달 준(鐏), 송어 준(鱒), 꿩 준(鷷), 창고달 준(鐏)자들은 높을 존(尊)자가 들어 있어서 ‘준’으로 읽습니다.
鱒
드렁허리 선(鱓)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홑 단(單)자는 혼자 끌 수 있는 간단한 수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바퀴도 두 개만 있고 집 싣는 곳도 간단합니다. 손수레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봉선 선(禪), 백리목 선(樿), 고울 선(嬋), 제터 선(墠)자들은 홑 단(單)자가 들어 있어서 ‘선’으로 읽습니다.
鱓
드렁허리 선(鱔)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착할 선(善)자를 했습니다. 착할 선(善)자는 양 양(羊)자에 입 구(口)자를 했습니다. 양 양(羊)자는 희생 양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신에게 제물로 바치는 짐승이 동서양(東西洋)이 주로 양(羊)이었습니다. 양을 제사에 제물로 바친 것은 구하기가 쉽고, 크기도 그리 크지 않으며, 짐승이 순해서 제물로 바치기에도 좋았을 것입니다. 착할 선(善)자에 입 구(口)를 한 것은 생명의 표시를 한 것입니다. 입을 통해서 생명 유지가 되고, 입을 통해서 삶이 영위됩니다. 입은 살아 있는 표시입니다. 착할 선(善)자는 희생 제물을 표시하면서 입 구(口)자를 더해서 생명을 강조한 것은 생명이 가장 귀한 것이기에 그 귀한 것을 제물로 바친다는 막중한 뜻이 있습니다. 착할 선(善)자는 양 양(羊)자와 입 구(口)자 말고도 점 주(丶)자가 두 개 더 있습니다. 이는 양 양(羊)자를 두 개 더 쓴 글자를 간략하게 약(約)한 글자입니다. 본래 착할 선(善)자는 양 양(羊)자가 세 개였습니다.
+
= 鱔
도끼 모양의 고기 번(鱕)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갈마들 번(番)자를 했습니다. 갈마들 번(番)자는 쌀 미(米)자 아래에 밭 전(田)자를 해서 농사짓는 순서를 잘 지켜야 함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갈마든다”는 말은 차례와 순서를 지켜서 차례차례 일이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
= 鱕
쏘가리 궐(鱖)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그 궐(厥)자를 했습니다. 그 궐(厥)자는 의부(義府)로 기슭 엄(厂)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상기 궐(欮)자를 했습니다. 상기 궐(欮)자는 거스를 역(屰)자에 하품 흠(欠)자를 했습니다. 사람이 거꾸로 물구나무를 서서 피가 얼굴로 모여 얼굴이 붉게 상기 된다는 말입니다.
+
= 鱖
비늘 린(鱗)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도깨비불 린(粦)자를 했습니다. 도깨비 불 린(粦)자는 쌀 미(米)자에 어그러질 천(舛)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쌀 미(米)자는 반짝반짝 빛나는 횃불을 그린 글자이고, 어그러질 천(舛)자는 발을 두 개 그려서 도망가는 모양을 나타냈습니다. 도깨비불은 한밤중에 밝게 빛나니까, 무서워서 사람이 보면 도망간다는 뜻입니다.
鱗
심어 심(鱘)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찾을 심(尋)자를 했습니다. 찾을 심(尋,寻xún)자는 돼지머리 계(彐)자 아래에 물건을 만드는 것을 업으로 하는 장인 공(工)자와 입 구(口)자를 하고 아래에 마디 촌(寸)자를 했습니다. 돼지머리 계(彐)자 돼지 머리를 뜻하는 글자가 아니라, 여기서는 손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마디 촌(寸)자도 결국 손을 의미하는 글자이니까, 손으로 찾는다는 뜻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만든 물건을 손과 말로 찾는다는 뜻을 가진 글자입니다. 찾을 심(尋)자는 본래 글자이고, 찾을 심(寻xún)자는 지금 중국에서 사용하는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심어는 철갑상어의 다른 이름입니다.
+
= 鱘
모 묘(鱙)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요임금 요(堯)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물고기 어(魚)자는 벼의 어린 싹인 모를 물에서 기른다는 뜻이고, 요임금 요(堯)자는 요임금의 성품처럼 백성을 아끼고 사랑한다는 뜻입니다. 벼의 어린 싹인 모는 바로 백성들이 먹을거리이기 때문입니다. 요임금 요(堯)자는 흙 토(土)자 3 개에 우뚝할 올(兀)자를 해서 별로 높지 않은 자리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요임금의 겸손하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잘 표시한 글자입니다. 예수님의 정신으로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백성들을 섬기는 정신과 자세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 정신은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의 황금률입니다. 지금 사람들은 지도자 되기는 좋아하면서 겸손한 마음은 없습니다. 지도자가 되었다가 쫓겨나거나 창피를 당하게 되어 지도자가 아니 된 것만 못하게 되는 것이 당연한 순리입니다.
= 鱙
서두어 희(鱚,鱚xǐ)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기쁠 희(喜)자를 했습니다. 기쁠 희(喜)자는 악기 이름 주(壴)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더 했습니다. 악기 이름 주(壴)자는 북 같은 악기를 받쳐놓고 박자를 맞추어 치는 악기 같습니다. 북을 쳐 흥을 돋우어 기분이 좋아 입을 벌리고 노래하거나 웃는다는 글자입니다. 서두어는 보리멸이라는 물고기입니다.
= 鱚
메태비 증(鱛)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일찍 증(曾)자를 했습니다. 일찍 증(曾)자는 시루에 떡을 찌는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떡을 찔 때 김이 오르는 것을 그렸습니다. 모일 회(會)자는 쪄다놓은 시루 앞에 죽 둘러 모여 앉아서 떡을 먹는 모양입니다. 시루에 쪄놓은 떡이 있으니 떡을 먹으러 시루 주변으로 모두 모인다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모이면 입을 사용합니다. 무엇을 먹는데도 사용하고 의견을 나누는 데도 사용합니다. 모일 회(會)자에서는 가로 왈(曰)자입니다. 모여서 입을 열어 대화를 하기 때문입니다. 메태비는 매퉁이라는 바다 물고기입니다.
= 鱛
붕어 사(䲉)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이 사(斯)자를 했습니다. 이 사(斯)자는 그 기(其)자에 도끼 근(斤)자를 했습니다. 일상생활에 늘 사용하는 키와 도끼를 합해서 이것이라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 䲉
물고기 새끼 타(䲊)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제사 고기 남을 타(隋)자를 했습니다. 제사고기 나머지 타(隋)자는 수나라 수(隋)자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제사고기 나머지 타(隋)자는 언덕에서 제사를 모시고 남은 고기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여기서 왼 좌(左)자는 고기가 남았다는 표시입니다. 무엇이나 왼쪽에 두는 것은 남았다는 말이지요. 이 글자를 보면 수(隋)나라는 제사를 매우 풍성하게 지냈던 것 같습니다.
䲊
물고기 이름 잠(䲋)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쇠퇴할 체(替tì)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쇠퇴할 체(替tì)자는 일찍이 참(朁)자의 모사(模寫)입니다. 일찍이 참 (朁 )자는 목멜 기 (旡 )자를 두 개하고 그 아래에 가로 왈 (曰 )자를 했습니다. 아침 일찍 일어나서는 입이 뻑뻑하여 바로 말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자맥질할 잠(潛), 누에 잠(蠶), 비녀 잠(簪), 꺼질 잠(熸), 못 잠(鐕), 정자 이름 잠(䣟,䣠), 달 잠(䤐)자들은 일찍이 참(朁)자가 들어 있어서 ‘잠’으로 읽습니다.
䲋
물고기 이름 관(䲌)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정성 관(款)자를 했습니다. 정성 관(款,歀)자는 의부(義符)로 하품 흠(欠)자에 성부(聲符)로 능금나무 내(柰)자나 선비 사(士)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를 했습니다. 선비 사(士)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를 한 글자는 제사를 지내는 선비가 정성을 기울인다는 글자라고 했습니다. 정성 관(歀)자는 나무 목(木)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를 했습니다. 이는 선비 사(士)자 아래에 보일 시(示)자를 모사(模寫)한 글자입니다.
+
= 䲌
쑤기미 등(䲍)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와 배 주(舟)자에 성부(聲符)로 오를 등(騰)자를 했습니다. 오를 등(騰)자에서 달 월(月)자는 배 주(舟)자의 모사(模寫)입니다.
+
= 䲍
썩을 내(䲎)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감히 감(敢)자를 했습니다. 물고기는 잘 썪습니다. 잘 썪는다는 표시를 감히 감(敢)자로 했습니다. 감히 감(敢)자는 귀 이(耳)자 위에 장인 공(工)자를 했지만 귀를 뜻하는 글자에 칠 복(攵)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칠 복(攵)자는 때린다는 듯으로 보아도 무방하지마는 귀를 잡아당기는 표시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사람을 얕보고 감히 따귀도 때리고 귀도 잡아당기고 입도 쥐어뜯고 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䲎
물고기 이름 로(䲏)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일할 로(勞)자를 했습니다. 일할 로(勞)자는 불 화(火)자 두 개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열나게 일을 하는 모양을 표시했습니다. 힘쓸 노(努)자는 종 노(奴)자 아래에 힘 력(力)자를 해서 종이기 때문에 억지로 힘을 써서 일을 하는 심리적 상태를 표시했습니다. 일하는 것이 힘쓰는 일이기도 하지만 억지로 하는 일은 힘을 써야 합니다. 하기 싫은 일을 힘을 들여서 하는 것에는 힘쓸 노(努)자를 쓰고 그저 힘이 드는 일에는 일할 로(勞)자를 씁니다. 공부에 노력(努力)한다는 노력(努力)은 노력(勞力)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노동(勞動)은 노동(努動)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
= 䲏
해묵은 은어 향(鱜)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시골 향(鄕)자를 했습니다. 시골 향(乡)자는 시골 향(鄕)자에서 곧 즉(卽)자를 뺀 글자입니다. 곧 즉(卽)자는 밥그릇을 앞에 둔 사람을 나타냈습니다. 시골이라는 곳은 식구들이 둘러앉아 밥을 함께 먹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내가 태어난 식구들이 모여 사는 곳이 시골입니다.
+
= 鱜
가오리 분(鱝)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클 분(賁)자를 했습니다. 클 분(賁)자는 열 십(十)자를 세 개하고 그 아래에 조개 패(貝)자를 했습니다. 열 십(十)자를 세 개 한 것은 그만큼 많다는 뜻입니다. 크다는 뜻이지요. 클 분(賁)자는 재물이 많음을 나타낸 글자입니다.
+
= 鱝
환어 환(鱞)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놀라서 볼 경(睘)자를 했습니다. 놀라서 볼 경(睘)자는 그물 망(罒)자 아래에 한 일(一)자를 하고 입 구(口)를 하고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벌리고 그 안에 글자를 넣었습니다. 이런 모양은 슬플 애(哀)자와 비슷하기도 합니다. 놀라서 볼 경(睘)자에서 그물 망(罒)자는 눈 목(目)자의 변형입니다. 그리고 입 구(口)자는 놀라서 입을 벌린 모습입니다. 슬플 애(哀)자처럼 옷 의(衣)자를 상하(上下)로 나누고 입 구(口)자를 한 글자는 놀라서 소리를 지르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슬퍼도 소리를 내고 놀라도 소리를 내게 되어 있지요. 고리 환(環), 뿔이 휜 모양 환(䚪), 둥글 환(圜), 기내 환(寰), 입을 환(擐), 소용돌이 칠 환(澴), 병들 환(癏), 엷은 비단 환(繯), 황형 환(轘), 거리 환(闤), 환어 환(鱞), 물새이름 환(䴉), 고리 환(鐶)자들은 놀라서 볼 경(睘)자가 들어 있어서 ‘환’으로 읽습니다.
鰥
참게 후(鱟)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𦥯’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𦥯’자는 참게의 다리를 그린 글자입니다.
+
= 鱟
회 회(鱠)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모일 회(會)자를 했습니다. 모일 회(會)자는 쪄다놓은 시루 앞에 죽 둘러 모여 앉아서 떡을 먹는 모양입니다. 시루에 쪄놓은 떡이 있으니 떡을 먹으러 시루 주변으로 모두 모인다는 말입니다. 사람들이 모이면 입을 사용합니다. 무엇을 먹는데도 사용하고 의견을 나누는 데도 사용합니다. 모일 회(會)자에서는 가로 왈(曰)자입니다. 모여서 입을 열어 대화를 하기 때문입니다.
+
= 鱠
오징어 적(鱡)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도적 적(賊)자를 했습니다. 도적 적(賊)자는 의부(義符)로 조개 패(貝)자에 성부(聲符)로 되 융(戎)자를 했습니다. 되는 오랑캐를 뜻합니다. 오랑캐 융(戎)자는 창 과(戈)자에 사람 인(人)자를 한 글자입니다. 창 과(戈)자는 창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되 융(戎)자와 지킬 수(戍)자는 구별합니다. 오랑캐 융(戎)자는 한 일(一)자를 했는데, 지킬 수(戍)자는 점 주(丶)자를 했습니다. 이룰 성(成)자는 사람 인(人)자의 표시로 ‘ㄱ’자를 했습니다. 융의(戎衣)는 오랑캐들이 입는 옷입니다.
+
= 鱡
비릴 소(鱢)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울 소(喿)자를 했습니다. 울 소(喿)자는 나무 목(木)자 위에 입 구(口)자를 세 개를 해서 새들이 나무에 올라앉아서 우는 모양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鱢
철갑상어 전(鱣)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믿음 단(亶)자를 했습니다. 믿음 단(亶)자는 윗부분에 의부(義符)로 창고 름(㐭)자를 했습니다. 창고 름(㐭)자는 지붕을 표시한 돼지 해 밑 두(亠)자에 물건을 쌓아 저장해 둔 표시를 한 돌 회(回)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돌 회(回)자는 제물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이 글자는 제단(祭壇)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그리고 글자의 아래에 성부(聲符)로 아침 단(旦)자를 했습니다.
鱣
동자개 감(鱤)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느낄 감(感)자를 했습니다. 느낄 감(感)자는 성부(聲符)로 다 함(咸)자 아래에 의부(義府)로 마음 심(心)자를 했습니다. 마음에 다 느끼는 것이 느낌입니다. 느낌은 인간 정서의 바탕입니다. 덜 감(減), 한할 감(憾), 덜 감(减), 가기 힘들 감(轗)자도 다 함(咸)자가 들어 있어서 ‘감’으로 읽습니다. 다 함(咸)자는 사람 인(人)자에 입 구(口)자와 창 과(戈)자를 했습니다. 생명 유지에 필요한 것만을 포함했습니다.
+
= 鱤
쏘가리 궤(鱥)자는 물고기 어(魚)자에 해 세(歲)자를 했습니다. 쏘가리는 민물고기 중에는 맛 잇는 고기입니다. 쏘가리탕은 우리들이 찾는 음식 중 하나입니다. 많이 찾는 음식이라는 뜻에서 해 세(歲)자를 했습니다. 해 세(歲,歳)자는 세월은 가는 것이기에, 발 지(止)자를 하고, 젊음도 가기에 젊을 소(少)자를 하고, 힘 있는 자도 가기에 창 과(戈)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젊을 소(少)자는 발 지(止)자의 변형으로 모두 간다는 뜻을 나타낸 글자들입니다. 모두 흘러간다는 세월의 법칙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지혜로운 임금 다윗의 반지에 새겨 넣은 글귀처럼 “이 또한 지나가리라.”가 바로 세월입니다. 세월이 약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과거는 흘러갔을 뿐입니다.
+
= 鱥
물고기 새끼 승(鱦)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맹꽁이 민(黽)자를 했습니다. 맹꽁이 민(黽)자는 맹꽁이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줄 승(繩), 파리 승(蠅), 경계할 승(憴)자들은 맹꽁이 민(黽)자가 들어 있어서 ‘승’으로 읽습니다.
+
= 鱦
가물치 례(鱧)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풍성할 풍(豊)자를 했습니다. 풍년 풍(豊)자의 아래 제기 두(豆)자는 제사지낼 때 음식을 받쳐 놓는 그릇을 그린 글자입니다. 풍년이 들어서 제사지낼 때 제기에 음식이 가득가득 담긴 걸 그린 글자입니다. 예도 례(禮), 단술 례(醴), 강 이름 례(澧), 굽 높은 그릇 례(豊)자들은 풍성할 풍(豊)자가 들어 있어서 ‘례’로 읽습니다.
鱧
도루묵 뢰(鱩)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우레 뢰(雷)자를 했습니다. 우레 뢰(雷,靁)자는 비 우(雨)자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밭 전(田)자는 농지(農地)를 구획 정리를 해서 잘 나누어 가진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밭 전(田)자는 우레 칠 때 번개를 그린 글자입니다. 우레 뢰(靁)자에서 밭 전(田)자를 세 개나 한 것은 번쩍이는 우레가 여럿이 반목해서 생긴다는 표시입니다.
+
= 鱩
늑어 서(鱪)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더울 서(暑)자를 했습니다. 더울 서(暑)자는 의부(義符)로 날 일(日)자를 하고, 성부(聲符)로 놈 자(者)자를 했습니다. 놈 자(者)자는 날마다 쌀을 먹는 사람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실마리 서(緖), 관청 서(署), 마 서(薯)자들은 놈 자(者)자가 들어 있어서 ‘서’로 읽습니다. 늑어는 준치의 일종입니다.
+
= 鱪
해묵은 은어 애(鱫)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사랑 애(愛)자를 했습니다. 사랑 애(愛)자는 글자 위에도 손 수(手) 맨 아래도 손 수(手)입니다. ‘手’ 사이에 덮을 멱(冖)자와 마음 심(心)자가 들어 있습니다. ‘冖’자는 물건을 그린 것이고, ‘心’자는 마음을 말한 것입니다. 글자의 위 아래로 손 수(手)자가 있는 것은 서로 주고받는 다는 뜻입니다. 물건(冖)과 마음(心)을 주고받는다는 뜻이지요. 사랑하면 마음도 오가지만 물건이 오가게 마련입니다. 사랑하는 사람 사이에는 하다못해 고운 단풍잎이라도 책갈피 넣었다가 선물을 하지요.
+
= 鱫
물고기 이름 로(䲐)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포로 로(虜)자를 했습니다. 포로 로(虜)자는 호피 무늬 호(虍)자 아래에 말 무(毋)자를 하고 힘 력(力)자를 했습니다. 포로로 잡혔으니, 무섭기가 호랑이를 만난 듯할 것이며, 사로 잡혔으니 힘이 없어졌을 것입니다. 포로 로(虜)자는 포로가 되어 사로잡힌 사람의 심정(心情)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포로 로(虜), 머리뼈 로(顱)자도 호피 무늬 호(虍)자가 들어 있어서 ‘로’로 읽습니다. 농어 로(魲)자는 농어 로(鱸)자의 약자(略字)입니다.
䲐
물고기 새끼 의(䲑)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옳을 의(義)자를 했습니다. 옳을 의(義)자는 양 양(羊)자에 나 아(我)자를 했습니다. 내가 양의 희생 제물 정신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희생하는 것이 나의 본질임을 나타냈습니다. 옳을 의(義)자는 옳다는 뜻이 무엇인지 잘 설명해 주는 글자입니다. 모든 종교에서 가르치는 것도 희생정신입니다. 희생정신(犧牲精神)은 자비심(慈悲心)에서 나옵니다.
+
= 䲑
가물치 해(䲒)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풀 해(解)자를 했습니다. 풀 해(觧jiě,解)자는 뿔 각(角)자에 칼 도(刀)자를 하고 소 우(牛)자를 했습니다. 소를 잡아서 칼로 소의 살을 발라내어, 소를 해체하는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풀 해(觧jiě)자는 풀 해(解)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
= 䲒
자가사리 엄(䲓)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다 첨(僉)자를 했습니다. 다 첨(僉)자는 합할 집(亼)자 아래에 사람을 둘 나란히 그렸습니다. 누구나 다 먹을 것을 바라고 입을 벌리고 있다는 뜻입니다. 어미 새가 먹이를 물어왔을 때 새끼 새들이 입을 멀리고 다투어 소리를 내는 장면이 떠오릅니다. 먹는 것이야말로 가장 필요한 생명 유지의 수단입니다. 다 첨(佥qiān)자는 다 첨(僉)자의 간체자(簡體字)입니다. 입 벌름거릴 엄(噞), 하관 빨 엄(顩)자는 다 첨(僉)자가 들어 있어서 ‘엄’으로 읽습니다.
+
= 䲓
고래 강(䲔)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지경 강(畺)자를 했습니다. 지경 강(畺)자는 경계선을 표시하는 한 일(一)자를 하고, 밭 전(田)자를 하고, 또 한 일(一)자는 하고 밭 전(田)자를 해서 밭과 밭 사이의 땅 경계를 표시한 글자입니다.
+
= 䲔
수고래 보(䲕)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널리 보(普)자를 했습니다. 널리 보(普)자를 했습니다. 널리 보(普)자는 해처럼 널리 비추는 것은 없습니다. 넓은 범위를 비추는 해를 표시하는 날 일(日)자를 하고, 널리라고 하면 모두 아울러야 합니다. 아울러야 한다는 뜻에서 아우를 병(並)자를 했습니다. 아우를 병(並)자는 아우를 병(竝)자의 약자(略字)입니다.
+
= 䲕
동자개 상(鱨)자는 의부(義符)로 물고기 어(魚)자에 성부(聲符)로 맛볼 상(嘗)자를 했습니다. 혀를 내밀어 맛보는 형상을 한 글자가 달 감(甘)자입니다. 맛볼 상(嘗)자는 오히려 상(尙)자가 들어 있어서 ‘상’으로 읽습니다. 맛볼 상(甞)자와 맛볼 상(嘗)자는 동자(同字)입니다. 맛볼 상(嘗)자는 의부(義符)로 맛있을 지(旨)자에 성부(聲符)로 오히려 상(尙)자를 했습니다.
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