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우리말에는 일상 속에 녹아 있는 한자말이 참 많습니다.
그럼에도 한자 공부에 소홀한 것이 요즘의 사회 분위기여서
젊은이들 사이에서 의미를 오해하는 경우가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런 탓에 언중 사이에서 본래의 뜻과 달리 엉뚱하게 쓰이는 한자말도 적지 않은데요.
‘옥석구분’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사람을 쓸 때는 옥석구분을 잘해야 한다” 따위처럼
‘좋고 나쁨을 가린다’는 의미로 옥석구분을 쓰는 일이 흔합니다.
하지만 사자성어 옥석구분에는 그런 의미가 없습니다.
모든 국어사전과 백과사전에 올라 있는 옥석구분의 한자 표기는 ‘玉石俱焚’입니다.
〈서경〉 ‘하서편’에 나오는 ‘玉石俱焚’은 “옥이나 돌이 모두 불에 탄다”는 뜻으로,
옳은 사람이나 그른 사람이 구별 없이 모두 재앙을 받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옥과 돌을 가린다”는 의미라면 ‘玉石區分’이 돼야 하는데,
어느 사전에도 그런 사자성어는 없습니다.
따라서 “좋고 나쁨을 잘 구분해야 한다”는 의미의 표현을 하려면
‘옥석을 잘 구분해야 한다’거나 ‘옥석을 가려야 한다’ 등으로 풀어 써야지,
‘옥석구분을 잘해야 한다’ 따위처럼 사자성어로 써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타산지석’도 잘못 쓰는 일이 많은 사자성어입니다.
〈시경〉 ‘소아편’에 나오는 타산지석(他山之石)은
“다른 산에서 나는 보잘것없는 돌이라도 자기의 옥(玉)을 가는 데에 쓸모가 있다”는 뜻을 가집니다.
따라서 ‘부장님을 타산지석 삼아 저희도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라고 하면,
이는 부장님을 본받겠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장님을 우습게 본다는 소리가 되고 맙니다.
‘본보기’나 ‘귀감(거울로 삼아 본받을 만한 모범)’으로 써야 할 말을 타산지석으로 잘못 쓴 것이지요.
‘인구에 회자되다’ 따위로 많이 쓰이는 ‘회자(膾炙)’ 역시
잘못 쓰는 사례가 많은 한자말입니다.
‘회자’의 회(膾)는 “고기나 생선의 회”를 뜻하고, 자(炙)는 “구운 생선”을 의미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도 회자를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입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권력형 비리로 아직도 회자되는…’ 따위는 아주 이상현 표현인 것입니다.
“시비하거나 헐뜯는 말”은 회자가 아니라 ‘구설(口舌)’이 맞습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많은 정치지망생들이 정당을 기웃대고
조금이라도 더 주목을 받으려고 거친 말을 입에 담습니다.
걸핏하면 마음대로 주장하고 행동하는 이들 중에서 옥석을 가리는
유권자의 냉정한 주시와 헤아리는 지혜가 필요할 때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