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른빛 주(黈)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임금 주(主)자를 했습니다. 임금 주(主)자는 등잔불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사람은 밝은 곳을 향하게 마련입니다. 향일성(向日性)이지요. 그래서 임금 주(主)자는 주인 주(主), 님 주(主)자 등으로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 = 黈
글방 횡(黉,黌)자는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에 의부(義符)로 ‘𦥯’자를 했습니다. 글방은 배우는 장소입니다. 배울 학(學)자는 ‘𦥯’자 아래에 아들 자(子)자를 했습니다. 기로 횡(橫), 종 횡(鐄), 쇠북소리 횡(嚝)자들은 누를 황(黃)자가 들어 있어서 ‘횡’으로 읽습니다.
+ = 黌
샛노랄 규(黊)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홀 규(圭)자를 했습니다. 홀 규(圭)자는 흙 토(土)자를 두 개 포개서 흙으로 홀을 만들었음을 나타냈습니다. 차차 더 좋은 재료로 홀을 만들어서 신분의 차이를 나타냈습니다.
黊
환할 광(黋)자는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에 의부(義符)로 빛 광(光)자를 했습니다. 넓을 광(廣), 위엄스러울 광(僙), 채울 광(撗), 씩씩할 광(黆)자들은 누를 황(黃)자가 들어 있어서 ‘광’으로 읽습니다.
+ = 黋
청황색 유(䵋)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있을 유(有)자를 했습니다. 있을 유(有)자는 왼손 좌(屮)자에 육 달 월(月,肉)자를 해서 먹을 고기가 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黋
적황색 혐(䵌)자는 누를 황(黃)자에 낄 협(夾)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낄 협(夾)자는 본래 누른색인데, 붉은 빛도 띠고 있다는 뜻입니다. 낄 협(夾)자는 사람(大)이 옆구리 양편에 사람(人)을 하나씩 둘을 옆에 끼고 있는 표시입니다. 낄 협(夾)자는 회의(會意) 글자입니다.
䵌
누른빛 돈(䵍)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누릴 향(享)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亯)자자는 지붕이나 뚜껑을 뜻하는 돼지해 밑 두(亠)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하고 날 일(日)자를 했습니다. 누릴 향(享)자에서 아들 자(子)자가 있는 부분에 날 일(日)자가 있습니다. 누릴 향(享)자는 제물을 많이 차려놓은 그림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따라서 누릴 향(亯)자도 제물을 많이 차려놓은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여기서 날 일(日)자냐? 아들 자(子)자냐? 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도타울 돈(敦), 도타울 돈(惇), 귀갑지지는 불 돈(焞), 활 돈(弴), 설렐 돈(蜳)자들은 누릴 향(享)자가 들어 있어서 ‘돈’으로 읽습니다.
+ = 䵍
흑황색 단(䵎)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시초 단(耑)자를 했습니다. 시초 단(耑)자는 산 산(山)자 아래에 말 이을 이(而)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산 산(山)자는 나무를 그린 글자이고, 말 이을 이(而)자는 물을 주고 발로 밟는 모양입니다. 시초 단(耑)자는 나무를 심는 모양입니다.
䵎
누른빛 로(䵏)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높이 날 료(翏)자를 했습니다. 높이 날 료(翏)자는 깃 우(羽)자에 숱 많을 진(㐱)자를 했습니다. 튼튼한 날개와 털을 많이 그려서 높이 난다는 뜻을 표시했습니다. 사모할 로(嫪)자도 높이 날 료(翏)자가 들어 있어서 ‘로’로 읽습니다.
+ = 䵏
누른빛 천(䵐)자는 의부(義符)로 누를 황(黃)자에 성부(聲符)로 홑 단(單)자를 했습니다. 수레 거(車)자나 홑 단(單)자는 서로 비슷한 상형(象形) 글자들입니다. 모두 수레 종류를 그린 글자입니다. 웃는 모양 천(囅), 해진 모양 천(幝), 밥 지을 천(燀), 띠 늘어질 천(繟), 망녕된 말 천(譂), 통 바퀴 수레 천(輲), 밝힐 천(閳,闡)자들은 홑 단(單)자가 들어 있어서 ‘천’으로 읽습니다. 를 했습니다.
+ = 䵐
글방 횡(黌)자는 성부(聲符)로 누를 황(黃)자에 의부(義符)로 ‘𦥯’자를 했습니다. 글방은 배우는 장소입니다. 배울 학(學)자는 ‘𦥯’자 아래에 아들 자(子)자를 했습니다. 기로 횡(橫), 종 횡(鐄), 쇠북소리 횡(嚝)자들은 누를 황(黃)자가 들어 있어서 ‘횡’으로 읽습니다.
+ = 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