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살아갈 세상을 바꾸게 될 생명공학!
복제인간은 가능할까?
제목│복제인간은 가능할까?
글쓴이│박승준
그린이│이한울
발행일│2024년 3월 10일
판형│150*215mm
쪽수│124쪽
값│14,000원
분야│어린이/과학
ISBN│979-11-92595-38-2 73470
시리즈 소개
<리틀 히포크라테스>시리즈는 어린이들이 의학에 관심을 가지고 인체와 질병, 나아가 생명에 대해 생각해 보면서
의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갖도록 현직 의대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기획한 교양서입니다.
책 소개
우리가 살아갈 세상을 바꾸게 될 생명공학!
《복제인간은 가능할까?》는 ‘리틀 히포크라테스’시리즈의 첫 번째 책으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생명공학을 어린이 눈높이에서 설명한 책이다. 생명공학은 ‘생명’을 뜻하는 바이오와 ‘기술’을 뜻하는 테크놀로지를 합친 말로, 생명공학을 한 줄로 정리하면 ‘생명체의 구조나 기능을 이해하고 수정해 새로운 제품이나 기술을 개발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의학 분야에서 생명공학이 가지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유전자재조합이나 유전자편집 기술로 암이나 에이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같은 난치병을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제인간이나 맞춤 아기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사회적으로 충분한 토의와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NA 발견에서 유전자가위까지
자식이 부모를 닮는 이유는 부모에게서 유전자를 반반씩 물려받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모의 유전자 중 어느 부분을 물려받는지에 따라 생김새나 성격은 달라진다. 이러한 유전정보는 세포 안의 핵 속에 들어 있는 DNA에 담겨 있다. DNA는 두 가닥의 선이 꼬여 있는 모양인데, 1953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처음으로 밝혀냈다.
옷의 길이나 단추만 바꾸어도 새로운 옷이 되듯 유전자도 적절한 수정 과정을 거치면 기능을 개선하거나 특성을 바꿀 수 있다. 이것을 유전자재조합이라고 한다. 유전자재조합은 생명공학의 가장 중심이 되는 기술이다. 1996년에는 최초의 복제양 돌리가 탄생한 바 있고, 영화 <스파이더맨>에서도 슈퍼거미에 물린 주인공 피터의 몸 안에서 유전자재조합 과정이 일어나 초능력을 가지게 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의학자들은 그동안 생명공학 기술을 질병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당뇨병 치료제인 인슐린이 있다. 인슐린은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대장균을 이용해 만들어 낸다. 또 코로나19가 유행했을 때 많이 사용한 PCR 검사도 생명공학 기술로 탄생한 기술이다. 이처럼 생명공학 기술을 잘 활용하면 생명을 연장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반대로 잘못 사용해 맞춤아기나 복제인간을 만드는 데 이용된다면 우리 사회에 큰 위험을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자 소개
박승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공부했고, 현재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있습니다. 호르몬의 작용을 밝히는 여러 연구를 했고, 최근에는 비만의 사회적 요인과 해결책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 외에 호르몬을 비롯한 의학의 어려운 개념을 대중에게 쉽게 설명하는 글을 쓰는 일에도 관심이많답니다. 지은 책으로 《페니실린에서 항암제까지》, 《내 몸의 설계자, 호르몬 이야기》, 《비만의 사회학》, 《비만이 사회문제라고요?》, 《비밀노트 약리학편》, 《식욕이 왜 그럴과학》, 《당신이 생각조차 못 해 본 30년 후 의학 이야기》등이 있습니다.
이한울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며 눈과 마음이 즐거워지는 다양한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그동안 그린 책으로는 《바다를 살리는 비치코밍 이야기》, 《세상을 움직이는 소년 소녀》, 《나라의 주인은 바로 나》, 《알잖아! 식량이 왜 위기인지》 등이 있습니다.
차례
008 머리말 | 21세기는 생명공학 시대
012 묻고 답하고 | DNA가 궁금해
1 빵과 함께 시작된 생명공학의 세계
018 최초의 생명공학 제품, 빵
020 효소가 부리는 마술, 발효
023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미생물
2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030 자식이 부모를 닮는 이유는?
034 생명의 설계도가 들어 있는 DNA
037 DNA의 조수, RNA
039 DNA의 구조를 밝혀라
3 세포의 부지런한 일꾼 단백질
052 DNA에 담긴 암호문의 정체
054 단백질 합성 공장으로 출발!
058 DNA에 문제가 생기면?
4 스파이더맨처럼 거미줄을 쏴 볼까?
064 유전자재조합 기술
068 유전자재조합 기술로 탄생한 스파이더맨
5 알레르기 없는 인슐린을 만들어라!
074 인슐린과 당뇨병
080 인슐린을 생산하는 공장의 공장장, 세균
083 더 나은 치료를 약속하는 레드 바이오
6 1만 년 전에 멸종한 매머드를 되살릴 수 있을까?
088 멸종 동물 복원 프로젝트
094 복제인간은 가능할까?
7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찾아내는 마술, PCR
102 PCR의 원리
105 유레카의 순간 같았던 PCR의 발견
8 아기도 주문하는 시대가 올까?
112 유전자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다면?
115 유전자편집 기술, 크리스퍼
120 맺음말 | 나노 기술과 생명공학의 만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