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동아리끼리 서로 왕래하여 사귄다는 뜻으로, 비슷한 부류의 인간 모임을 비유한 말이다.
🌴🐄🐂🦜🦌🐖🌷🌻
농부의 밭을 망쳐 버린 공자의 말(馬)이야기. 여러 나라를 떠돌아다니며 방랑자 생활을 하던 공자가 아차 하는 사이에 실수를 저질렀습니다. 그가 타고 다니던 말(馬)이 농부의 밭으로 들어가 농작물을 망쳐 버린 것입니다. 이에 화가 난 농부가 아무 말(言)도 하지 않고 그 말(馬)을 끌고 가버렸습니다.
공자가 제자들에게 물었다. "누가 가서 말(馬) 을 되찾아 오겠느냐?.“ "제가 가서 찾아오겠습니다." 평소에 말(言) 주변이 좋다는 제자 자공이 선뜻 나섰습니다. 그러자 마부도 함께 나서서 말(言)했습니다. ”아닙니다. 이 일은 제가 말(馬)을 잘 지키지 못해서 생긴 일이므로 제가 찾아오겠습니다.” "그래도 자공이 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공자의 이 말(言)에 자공이 어깨를 으쓱이며 농부에게 다가갔습니다. 그런데 자공이 아무리 입이 닳도록 빌고 설득해도 농부가 말(馬)을 되돌려 주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고 농부의 손에 잡혀 있는 말(馬)고삐를 강제로 빼앗아 올 수도 없는 일이어서 자공은 맥빠진 모습으로 그냥 되돌아 왔습니다. 이번에는 공자는 마부를 보냈습니다. 마부가 웃으며 다가가 농부에게 말했습니다. "당신이나 나나 다 같은 농부가 아니오?." 내가 깜빡 조는 사이에 말(馬)이 밭으로 들어갔으니 이해하시구려." 마부의 이 말(言)에 농부가 허허 웃더니 군말(言)없이 말(馬)을 되돌려 주었습니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 하여 사람들은 같은 무리끼리 어울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서로 동병상련(同病相憐)의 감정을 느껴 쉽게 동정하고 이해하고 공감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에도 선비인 자공보다 배우지 못한 마부가 더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 였습니다. 자공이 마부와 똑같은 말을 해도 농부는 그 부탁을 들어주지 않았을 것입니다. 자공의 선비 복장과 말투에서 농부는 이미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공자는 왜 처음부터 마부를 보내지 않고 자공을 보냈을까?. 공자가 마부를 먼저 보내면 자공은 속으로 불만을 품을 것입니다. 자기도 그 정도의 일은 쉽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자만에 서운한 감정을 품을 것입니다. 공자는 자공이 실패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에도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했고, 또한, 대하는 상대에 따라 사람 마다의 역할이 따로 있다는 것을 가르쳤던 것입니다.
많이 배웠다고 세상일이 뜻대로 풀리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마음속의 교만을 없애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릴 때 만사가 보다 쉽게 해결됩니다. 방이유취 물이군분 길흉생의 (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 즉 "삼라만상은 그 성질이 유사한 것끼리 모이고, 만물은 무리를 지어 나뉘어 산다. 거기서 길흉이 생긴다." 라고 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인재의 모임보다 배타적 부류라는 의미가 더 강하며, 비꼬는 말로 주로 쓰인다. '끼리끼리' 또는 '초록은 동색(草綠同色)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옮겨온 글 =
漢陽 Jun.
|
첫댓글 따스한 겨울날씨 속에서 목요일날을 잘 보내셨는지요.?
음악소리와 좋은글을 읽으면서 머물다 갑니다 큰눈이 내린다는 대설절기날 겨울답지 않게.
따스한 기온 속에서 하루를 보내습니다 요즘에 유행하는 독감 감기에 조심을 하시고 즐거운 저녁시간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