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사: be, have, do>
1. 조동사일 때 be, have, do의 공통점: 주어의 수(단수, 복수)에 따라, 그리고 시제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2. 조동사일 때 be, have, do는 실제적인 의미는 나타내지 않으며 보조하는 수단에 불과하다.
3. be: 진행형과 수동태에서 사용될 떄. be동사는 주어의 수와 시제에 따라 변화
ex. Mary is singing a song.
The toys were broken by the boy.
4. have: 완료형(have+pp)에 쓸 때. have동사는 주어의 수와 시제에 따라 변화
ex. Nancy has given a live show on TV.
5. do: 주어의 수와 시제에 따라 변화. do 다음의 동사는 원형으로 쓴다.
1)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ex. Does he usually wear the blue pants?
I don't like the music.
2) 동사를 강조할 때. 뒤에 오는 동사는 원형이 됨
ex. He does like to drink with his friends.
3) 앞에 나온 일반동사를 대신할 때
ex. A: Did he like it? B: Yes, he did.
4) 일반동사만 있는 문장을 도치구문으로 만들 때. 일반조동사가 있을 때는 이 규칙이 적용되지 않음.
ex. I never discuss the matter with them.
→ Never do I discuss the matter with them.
cf. She can never know the secret.
→ Never can she know the secret.
* 부정어가 문장의 앞으로 나가면 <일반조동사+주어+동사원형>, <do동사+주어+동사원형>, <be동사+주어>의 형태로 문장의 어순이 바뀐다.
<연습문제>
다음 괄호 안에서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 Suddenly, he (has / was) surrounded by the strangers.
2. Did she (make / made / makes) a decision?
3. I (did / have) already finished the project.
4. She did (help / helped) me with good ideas.
5. Hardly (has / does / is) he smile at the babies.
Ans.
1. was / 갑자기 그는 낯선 사람들에 의해 둘러써였다.
수동태 문장이다.
2. make / 그녀는 결정을 내렸니?
의문문에서 do 동사 다음의 동사는 동사원형으로 쓴다.
3. have / 나는 이미 그 프로젝트를 끝냈다.
finished가 이어지므로 완료형에 쓰는 have가 알맞다.
4. help / 그녀는 좋은 아이디어로 나를 도왔다.
동사를 강조하는 것으로므로 동사원형이 알맞다.
5. does / 그는 아기를 보고 거의 웃지 않는다.
부정어 hardly가 문장의 앞에 있으며 smile이 동사원형이므로 do동사를 사용한다. 이 때 주어의 수와 시제에 주의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