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 류 |
기능수준 |
특징 |
긍정적인 면 |
부정적인 면 |
손상 |
신체 |
신체기능, 신체구조 |
기능과구조적 통합 |
손상 |
활동 |
사람 |
사람의 매일활동 |
활동 |
활동제한 |
참여 |
사회 |
현장에 참여 |
참여 |
참여 제한 |
구성요소들의 통합
|
|
| |||||||||||
|
건강상태 |
| |||||||||||
|
|
|
| ||||||||||
|
|
| |||||||||||
|
|
|
|
| |||||||||
신체기능과 구조 |
|
(장애/질병) 활동 |
|
참여 | |||||||||
|
|
|
|
|
|
| |||||||
|
|
|
|
|
|
|
| ||||||
|
|
환경적요인 |
|
|
인간적요인 |
| |||||||
|
|
2. 실정법상의 정의
한 나라에서 “장애”가 실정법상 어떻게 정의되고 있느냐 하는 것은 그 나라의 장애인의 출현율, 장애인의 수, 복지서비스의 필요성, 서비스에 필요한 사회․경제적 비용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국 사회보장청이 장애(disability)에 대해 내린 정의는 “의학적으로 판정하여 12개월 동안 계속될 것으로 또는 죽음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는 신체적․정신적 손상으로 인해서 상당한 소득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정의에 의하면 의학적으로 분류되는 모든 기관계통, 즉 근육․골격계, 감각․언어계, 호흡계, 심장계, 소화기계, 신장․비뇨기계, 내분비계, 피부계, 정신계, 악성신생물 등 기타 어떠한 손상이라도 의학적 장애로 판정될 수 있다.
일본 장애인 기본법에 의하면 장애인이란 ‘신체적, 정신지체 또는 정신장애가 있어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자’ 로 규정되어 있다. 일본도 신체장애에 내부장애를 포함시키고 있다.
독일의 경우 장애는 ‘보통에서 벗어난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상태에서 기인하는 6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기능저하상태’를 의미한다.
미국사회 보장청 등에 의한 장애의 정의에 비해서 우리 나라의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의 정의는 그 분류가 덜 세분화되어 있고 범위가 좁아서 이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외형적 장애뿐만 아니라 신경정신계, 심장계, 생식계, 악성종양 등으로 인한 장애도 장애범위에 포함되어야 하리라고 사료된다.
국민연금법에서는 장애를 ‘부상 또는 질병이 완치되었으나 신체에 잔존하는 정신적 또는 육체적 손상사태로 인하여 생긴 노동력의 손실 또는 감소’로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개정된 「장애인 복지법」에 의한 ‘장애인’의 정의를 보면 ‘장애인’이라 함은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그 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신체적 장애’라 함은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를 포함한다.
2. ‘정신적 장애’라 함은 정신지체 또는 정신적 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포함한다.”고 되어있다.
실정법상의 정의
대분류 |
중 분류 |
소 분 류 |
세 분 류 |
신체적 장 애 |
외부 신체 기 능 의 장 애 |
지체장애 |
절단장애, 관절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의 장애 |
뇌병변장애 |
중추신경의 손상으로 인한 복합적인 장애 | ||
시각장애 |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 ||
청각장애 |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 ||
언어장애 |
언어장애, 음성장애 | ||
내부기관 의 장애 |
신장장애 |
투석치료중이거나 신장을 이식 받은 경우 | |
심장장애 |
일상 생활이 현저히 제한되는 심장기능 이상 | ||
정신적 장 애 |
정신지체 |
지능지수가 70 이하인 경우 | |
정신장애 |
정신분열증, 분열정동장애, 양극성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 | ||
발달장애(자폐증) |
소아자폐 등 자폐성 장애 |
심신장애자 복지법 제2조
장애인이란 신체부자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또는 정신박약 등 신체적 정신적 결함으로 인해 장기간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자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장애의 정도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UN의 정의는 장애인이라 함은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관계없이 신체적 정신적 능력의 안전을 위하여 개인의 일상 또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을 자기 자신으로서는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확보할 수 없는 사람을 의미하며 장애의 범위를 스스로 사회적 장애까지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그러나 장애인에 대한 정의는 각국에 따라 장애인 분류가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3. 장애의 분류
- 1차적 장애: 질병 또는 사고자체에 의해 유발된 장애
교통사고-척수손상 사지마비
조산아 - 뇌성마비
- 2차적 장애: 원래의 질병 또는 사고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파생 또는 악화된장애
대퇴골절-석고고정- 슬관절 구축
뇌성마비-첨족기형
- 오용성 장애:
- 불용성 장애:
4. 장애인의 유형과 원인
1) 지체장애
지체장애란 지체부자유 상태 즉 신체의 골격, 근육, 신경 중 어느부분에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한 기능장애가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운동기능장애, 감각장애의 상태로 그 증상이 나타난다. 원인질환으로 인한 종류에는 뇌성마비, 소아마비, 신경장애, 척추장애, 뇌졸중, 절단 등이 있다.
장애 원인은 출생 후 원인이 전체지체 장애인 가운데 9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원인은 의사의 진단명에 따른 경우 (86.3%)를 기준할 때, 뇌졸중, 관절염, 소아마비 등이다.
(1) 뇌성마비
뇌가 발육하는 시기에 손상을 받아 운동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하며, 비유전성, 비진행성 질환으로 근육의 조절능력이 없어 마비현상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며 ,사람에 따라 감각이나 지능의 장애를 동반하여 여러 종류의 장애가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뇌성마비는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원인으로서는 출산 전 원인으로 태내에서 뇌의 발육부진, 혈액형(Rh, ABO)의 부적응, 산모의 병, X-ray 과다 촬영, 중독 등이 있고, 출산시 원인으로 조산, 저 체중 아동에서 특히 위험인자가 많으며, 난산으로 인한 출혈과 산소 결핍, 기계적분만 등이 있고, 출산 후 원인으로 유아기의 심한 황달, 뇌막염이나 뇌염 후유증, 머리의 외상 등이 있다.
(2) 척수 손상
척수란 척추 내에 있는 굵은 신경을 말하는데, 질병이나 외상 등으로 척수에 손상을 입게 되면 그 손상된 부위 아래로는 감각 마비와 운동 마비가 나타나는데 이를 척수손상이라 한다.
척수 손상의 원인은 종양, 척추결핵, 혈관질환, 선천성 기형 등의 질환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과 교통사고, 산업재해 또는 운동경기중 부상 등의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 있다.
(3) 뇌졸중(중풍)
뇌혈관의 일부가 손상 당해 영양이나 산소 공급을 못해 주는 혈관 장애를 말하며 흔히 중풍이라고 한다.
원인은 고혈압, 심장병, 동맥경화가 있는 사람에게 발생하기 쉬우며 지나친 긴장, 불안감, 욕구불만 등이 요인이 된다.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한쪽을 쓰지 못하는 편마비, 기억력 장애, 시각 장애, 말을 하지 못하는 실어증, 욕창 등이 나타나게 된다.
(4) 절단장애
사지절단이란 팔 다리의 일부를 잃어 버린 상태를 말하는데, 다리 절단의 경우는 걸어 다니는데 지장이 있으며, 팔 절단의 경우에는 일상생활 동작과 작업에 지장을 받게 된다. 태아시절에 발육이 되지 않아 선천적으로 생긴 경우도 있으나 이는 매우 드물며 외상에 의하여 절단되거나 또는 질병으로 인하여 의료적으로 질병 부위를 절단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 진행성 근 이영양증
근육이 점차적으로 위축되어 힘이 없어지므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근육 질환의 하나로 감각은 정상이며 통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증상으로는 일반적으로 아픈 데는 없이 힘이 떨어져 차차 걷지 못하고 휠체어를 이용해야 하거나 자리에 눕게 되며 여러가지 감염에 대항하는 힘이 약해지고 호흡이나 심장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사망에 이르게 된다. 가장 흔한 뒤귀엔느형은 어릴 때 시작하므로 소아형이라고 하며 대개 20-25세 전에 사망하거나, 다른 유형은 발병 연령도 늦고 진행속도도 느리며 정상적인 수명을 누리는 경우도 있다. 원인은 원인 불명의 유전성 근 질환으로 가장 흔한 뒤귀엔느형의 경우 거의 남자에게 나타난다.
(6) 소아마비
바이러스가 구강이나 호흡기를 통하여 들어가 척수를 침범해서 근육의 마비를 초래하는데 이는 팔이나 다리 근육에 힘이 빠지는 이완성 마비를 일으키는 것으로 감각에는 이상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소아마비가 처음 시작될 때에는 독감이나 기타 열병과 증세가 비슷하여 열이 나고 토하거나 두통과 근육통이 온다. 열이 난지 3-4일 후에는 근육이 아프고 갑자기 마비가 오는데 상지보다는 하지가 더욱 심하며 사람에 따라 마비가 전혀 없을 수 있다. 변형이 많이 오는 곳은 발, 무릎, 관절, 어깨 등이며 개인차는 심하다. 원인은 바이러스가 구강 인후부나 호흡기를 통하여 감염되고 혈류를 따라 척수신경을 침범하여 발생한다.
2) 시각장애
시각장애는 물체를 식별하는 기능의 장애를 지닌 것을 말하며, 눈의 여러 가지 기능장애를 포괄적으로 시각장애라고 한다.
시각장애는 선천적 원인으로 오기도 하고 후천적 원인으로 오기도 한다. 그러나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시각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을 보면 백내장, 녹내장, 트라코마, 포도막염 등 질병이나 안구에 이물질 침입, 화상, 화학물품에 의한 손상, 사고, 산업재해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영양결핍, 약물중독에 의하여 시각장애가 나타나기도 하고 또한 유전성 질환이나 심리적 원인으로 발생하는 수도 있다.
3) 청각장애
청각장애란 소리를 듣는 청각기관에 이상이 생기거나 또는 들리는 소리를 뜻 있는 말로 해석하는 중추기관에 이상이 생겨 의사소통에 지장이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장애 정도에 따라 보청기나 그 외의 도움으로 청각을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를 난청으로, 활용할 수 없는 상태를 농아로 분류한다. 또한 청력검사상 25db(데시벨) 이상의 고도난청은 일상생활의 언어를 알아들을 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 농아'라고도 한다.
청각장애는 일반적으로 중이염, 외상성 고막 파열, 내이의 질환과 카나마이신과 같은 약제로 인한 청각신경 손상 등이 있다. 또한 소음 속에서 장기간 근무했을 때에는 소음성 난청, 노인에게는 노인성 난청이 올 수 있다. 이 밖에도 뇌성마비 등 뇌중추 신경계에 이상이 있을 때에도 청각장애를 보이는데 이때에는 언어장애, 정신장애, 운동장애 등과 복합장애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언어장애
언어장애란 정상적인 언어에서부터 이탈된 여러 형태의 언어로 사람들의 주의를 끌고, 의사소통에 방해를 받으며 또한 그로 인해 사회 적응에 문제를 초래하는 언어상태를 말한다.
5) 정신지체
정신지체는 발달과정에 있어서 생존에 필요한 여러 기술들의 기능의 저하로 표현될 수 있는데 지능의 여러 측면들, 즉 인지능력, 언어, 운동 그리고 사회적 기능에서의 기능 저하로 특징 지워지며 확진을 내리기 위해서는 반드시 표준화된 지능검사를 시행하여 지능지수가 70 이하임이 증명되어야 한다. 정신지체인은 정신기능 중에서 인지기능이 발달기에 장애를 입고 적응행동에도 장애가 있는 자를 말한다.
5. 장애인구 현황
우리나라의 장애인구는 2000년도 실태조사 결과 재가 장애인 1,398천여 명과 시설장애인 약 51천명을 합하여 총 1,449천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규모는 전 인구의 3.09%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런 법정장애인의 비율은 미국(20.6%;1995)이나 호주(18.0%; 1993) 등의 선진국에 비하면 현저히 낮고 가까운 일본(4.8%;1995)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이는 장애범위의 다양화, 세분화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재가 장애인이 96.5%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장애종류별로는 중복장애의 경우 주장애로 분류했을 때 지체장애인이 가장 많고 뇌병변 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언어장애의 순이며, 2000년부터 확대된 발달장애와 내부 장애는 아직은 많지 않다.
우리나라 전체 장애인중 후천적 요인에 의한 장애인은 89.4%로서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각종사고와 만성질환의 증가 등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6. 장애인 등록현황
장애인등록을 마친 장애인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에 총 1,699,329명의 장애인이 분포하고 있으며, 이 중 남자장애인은 1,093,650명(64.4%)으로 여성장애인 605,679명 (35.6%)보다 2배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범주별로는 지체장애가 923,183 명 (54.3 %)으로 가장 높았고, 시각장애 180,526 명 (10.6 %), 청각장애 151,184 명 (8.8 %), 뇌병변장애 154,614 명 (9.1 %), 정신지체 123,868 명 (7.3 %)의 순 이었으며, 안면장애가 1,311 명(0.07 %)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장애종별 |
계 |
남 |
여 | |
계 |
1,699,329 |
1,093,650 |
605,679 | |
외부 신체기능장애 |
지체 |
923,183 |
618,157 |
305,326 |
뇌병변 |
154,614 |
92,540 |
62,074 | |
시각 |
180,526 |
115,616 |
64,910 | |
청각 |
151,184 |
88,434 |
62,750 | |
언어 |
13,874 |
10,135 |
3,739 | |
안면 |
1,311 |
765 |
546 | |
내부기관장애 |
신장 |
40,288 |
22,640 |
17,648 |
심장 |
12,226 |
7,549 |
4,677 | |
간 |
4,583 |
3,551 |
1,032 | |
호흡기 |
10,815 |
8,609 |
2,206 | |
장루 요류 |
8,848 |
5,672 |
3,176 | |
간질 |
6,032 |
3,401 |
2,631 | |
정신적 장애 |
정신지체 |
123,868 |
76,142 |
47,728 |
정신 |
59,223 |
33,218 |
26,005 | |
발달(자폐) |
8,754 |
7,221 |
1,533 |
7. 장애 범주
현재 장애인복지법상에는 장애범주를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하고 있으며, 신체적 장애는 외부장애와 내부장애로 구분되는데, 외부장애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등 6개로 나눠지고 내부장애는 신장장애, 심장장애등 6개로 분류되며 정신적 장애는 정신지체 등 3개로 분류되고 있다. 이들 중 안면장애, 호흡기 장애, 간 장애, 장․요루장애, 간질장애는 2003년도에 장애범주에 포함되었다.
장애복지법상 장애분류 및 확대예상 장애범주 검토(안)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세 분 류 |
2차 확대범주 |
향후 확대예상범주 |
신체의 장 애 |
외부장애 (외부기관장애) |
지체장애 |
절단장애 관절기능장애 지체기능장애 |
안면기형 |
피부질환장애 |
뇌병변장애 |
― | ||||
시각장애 |
시력장애 시야결손장애 | ||||
청각장애 |
청력장애 평형기능장애 | ||||
언어장애 |
― | ||||
내부 장애 (내부기관장애) |
신장장애 |
투석중인 만성신부전증 신장이식 |
호흡기장애, 간질환 장애, 장루(요루)장애 중증 간질장애 |
소화기장애, 비뇨기장애 혈우병, AIDS 내부 장애 | |
심장장애 |
중증 장기능 장애 장 이식 |
|
| ||
정신적 장 애 |
정신지체 |
정신지체 |
|
|
|
정신지체 제외한 정신장애 |
정신장애 |
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우울장애 |
|
알코올․약물중독 기질성뇌증후군 기타 정신장애 | |
발달장애 |
자 폐 증 |
|
기타 발달장애 |
이 범주도 다른 외국에 비해서 다양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계속적인 추가가 이어질 것임
장애범주의 국제비교
국가 |
장 애 인 범 주 |
한 국 |
-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 정신지체, 정신 발달장애 - 내부장애:심장, 신장, 뇌병변장애 |
일 본 |
-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 정신지체, 정신장애 - 내부장애:심장, 호흡기, 신장, 방광 및 직장, 소장기능장애 |
미 국 |
- 신체장애 .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 외형적 추형, 신경계, 근골격계, 감각기관 장애 - 정신장애:정신질환, 정서장애, 학습장애, 알콜중독 - 내부장애:생식기, 소화기, 비뇨기, 피부, 혈액․내분비계, 암, AIDS |
프랑스 |
- 신체장애:지체, 시각, 청각, 언어, 기형, 추형(미관장애) - 정신장애:정신지체, 정신질환, 정서장애 - 내부장애:심장, 신장,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 내분비, 신진대사 |
스웨덴 |
- 신체장애: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 정신장애:정신지체, 정서장애, 학습장애, 약물․약콜중독 - 내부장애:폐질환, 심장질환, 알레르기, 당뇨 - 사회적장애 :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는 외국 이민자, 노동력감소자, 타인 의존자 |
호 주 |
- 신체적장애: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기형 - 정신장애:정신지체, 정서장애, 알콜중독, 약물중독 - 내부장애:심장, 신장, 호흡기․ 당뇨, 암, AIDS 등 |
독 일 |
- 신체적장애: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안면기형 - 정신장애:정신질환, 정신지체, 정서장애 - 내부장애:호흡기, 심장․순환기, 소화기, 비뇨기, 신장, 생식기, 신진대사,혈관,피부 |
우리나라의 장애인 규모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 인구의 10%가 장애인이라는 기준에서 보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 인구수가 적은 것은 장애인 규모가 적기 때문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법적인 장애의 기준이 넓지 못하고 장애의 범주도 15가지 종류로 되어 있어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나 복지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인구노령화, 의료기술의 발달, 각종 산업재해․교통사고의 발생, 치료가 어려운 새로운 질병의 등장 등으로 장애의 양상도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변화의 주요 특징으로는 후천적 장애인의 증가, 노령장애인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5. Prevention of Disability (장애의 예방)
malnutrition diseases accidents congenital conditions other causes |
Impairment |
Handicap |
Disability |
Ⅲ. 재활간호
1. 재활의 정의
재활(rehabilitation)의 어원은 라틴어의 habilitas 또는 habitare에서 유래되었다. 그 의미는 "할 수 있다 또는 적합하게 하다."라는 뜻이다. 그리고 rehabilitation의 어원인 라틴어의 rehabilitare는 "다시 능력을 찾는다"를 의미하며 건강의 재통합을 뜻한다(Partridge, 1963). 한편 Webster사전(Neufeldt, 1994)에서는 "좋은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내과적 치료나 신체적, 정신적 치료에 의해 건강상 정상이거나 적절한 상태로 되돌리거나 회복시키기 위한(결함이 있거나 불리한 조건을 지닌 사람을) 직업상담이나 훈련을 통해 취업준비를 위한" 으로 기술하고 있다.
1918년 미국 의사협회 문헌에서 재활이란 단어가 처음 사용되었는데 Mcmurtrie가 1차 세계대전 후 상이군인 재교육을 위한 「군인 장애인의 재활에서 인간적 요소」라는 것이었다.
1941년 미국 재활심의위원회 정의에 의하면 재활은 기능장애인으로 하여금 계획적인 재활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직업적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인간적 권위와 자존감을 유지하고 가능한 한 최대한으로 독립적이며 자족하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동적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의 잠재성에 대한 신념을 근간으로 절망적이고 의존적인 사람이 능동적이며 자급자족하는 사람으로 변화되어 새로운 삶에 적응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재활이란 심신장애인이 신체적 기능을 재통합함으로써 사회로 복귀하여 가정과 지역사회와 직업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도모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편 미국 재활간호협회(1988)에서는 재활간호란 "기능장애와 변화된 생활양식 때문에 개인이나 인구집단이 가지고 있는 실제적 또는 잠재적 건강문제에 대한 인간적 반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라고 하였다.재활간호는 "기능적 능력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초래하는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건강문제에 대한 개인 또는 집단의 반응에 대한 진단과 치료"이다(American Nurses' Association & the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Nurses, 1988)라고 하였다.
2. 재활의 필요성과 목적
재활의 시대적 변천에 따라 현실화됨에 따라 재활간호가 지향하는 목적에 대하여 살펴보자.
재활의 목적은 건강전문가가 재활대상자를 돌봄으로써 장애인들이 자가간호를 위한 능력과 책무(accountability)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장애인을 위하여 현실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적을 명확히 설정하여 재활대상자들의 삶이 최상의 안녕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재활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미국 재활간호협회에서는 다음과 같이 재활간호의 목적을 제시하고 있다. 즉, "재활간호의 주요 목적은 장애자와 재활대상자가 가능한 최상의 기능을 유지 발전하고, 건강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변화된 생활양식에 적응하도록 돕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American Nurses' Association & the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Nurses, 1988).
그리고 이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① 자기기능의 최상의 잠재력과 자기효능을 성취하기 위하여
② 수용가능하고 만족한 삶의 질을 성취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③ 대상자의 특정 요구가 받아들여짐을 보증하기 위하여
④ 변화된 생활에 대하여 대상자와 그 가족의 적응과 순응을 증진하기 위하여
⑤ 합병증을 예방하고 적절한 안녕 상태를 증진하기 위하여
⑥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3. 재활팀과 역할
1) multidisciplinary team (다학제 간 접근)
- 여러 전문직들이 팀구성원 간의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인 의사소통을 형식적인 과정없이 각자의 다양한 전문직기술과 지식을 사용한다
- 각 영역이 각 분야의 치료법을 제안하고 각자가 특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의 능력내에서 활동한다.
- 팀미팅으로 인한 시간소모는 적다
2) Interdisciplinary team (학제간 접근)
- 여러 학문의 전문가와 환자, 가족이 모여서 조직화된 의사소통, 협력과정을 통해 다른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 각 분야가 따로 치료목표를 세우지 않고 팀요원들이 정규적으로 만나서 대상자의 요구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합의한다.
- 보다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3) Transdisplinary (횡학제간 접근)
- 전문가들이 모두 책임이 지는 것이 아니라 한두명이 치료계획과 실행에 책임을 지게 된다.
- 분야간 경계가 없어지고 상호훈련과 교차업무수행의 융통성이 있다.
- 팀요원은 해박하고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 효과적인 의사소통, 직무 경계의 확실성, 효과적인 팀운영을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 목적과 과제를 분명히 하고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표현을 분명하게 하고 행동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4. 재활팀
1) 재활간호사
2) 의사
3) 물리치료사
4) 작업요법사
5) 언어치료사
6) 사회사업가
7) 심리치료사
8) 오락치료사
9) 의지 보조기 제작사
10) 특수교사
11) 직업보도사
5. 재활과정
재활과정은 기본적으로 평가단계, 동기조성단계, 재활중재단계, 퇴원계획단계, 추후관리단계 등 다섯 단계를 거치게 된다. 재활과정에 대한 평가는 대상자의 적응 정도에 따라 항상 재평가되어야 한다. 즉 치유와 회복에 대한 예후나 측정이 정확했는지, 목표설정은 현실적이었는지 등을 분석한다. 또한 영구적 장애에 대한 추정내용에 변화가 있으면 곧 또 다른 재활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적용하고 계속관리를 위해 퇴원계획과 추후관리를 시행한다.
1) 평가단계
장애인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재활능력을 평가한다.
평가목적
평가는 재활간호의 계획, 수행, 중재, 평가를 위한 방향을 제시해 준다. 평가의 목적으로 상실된 기능의 회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남아 있는 능력을 유지하고, 대상자의 예측된 재활치료 회복단계를 설정하거나 또는 효과적인 재활치료 내용이나 계획, 변경 등의 필요성 유무에 판정을 위해서 필요하다.
평가질문과 내용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
- 정상으로부터 변화된 것이 무엇인지?
- 대상자가 어떤 상태인지?
- 중요한 기능장애로 나타난 현상은 무엇인지?
- 대상자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지?
- 기능적으로 독립하기 위하여 반드시 해야 할 것과 대상자와 가족에게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지?
- 대상자가 어떤 행위를 왜 할 수 없는지?
- 신체적 장애의 정도와 특징, 일상생활 능력, 직업적 장애 정도, 심리 사회적 문제 등을 평가함
3) 신체적 평가 내용
현재 병력, 주 호소, 과거병력, 가족병력, 습관, 직업병, 신체기관의 계통별 검사, 보행정도, 관절운동범위와 근육강도 등을 사용한다.
(1) 신경계 사정
의식상태, 지적능력(기억력, 계산력, 지남력, 판단력), 언어 및 인지능력(실어증, 실인증, 실행증)
통합능력과 평형유지 능력(걸음걸이, 자세, 상지통합기능 하지통합기능), 통각, 온도감각, 위치감각, 진동감각, 입체감각, 두 지점의 식별, 숫자 확인을 평가한다.
(2) 운동기능 검사
운동발달 상태, 근육의 힘, 관절운동범위르 평가한다.
(3) 일상생활동작 사정
한 개인이 가정생활과 사회생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일상적인 활동을 독자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재활의 최종 목표이며, 이러한 활동을 일상생활동작(activities of daily living) 또는 자기관리활동(self care activity)이라고 한다.
기동성(mobility), 자가간호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한다.
사정도구
입원날짜: _______ 월 _____ 일 ______시
입원경로: 구급차____ 의자차:_____ 걸어서 입원:________
정보제공자: 환자자신_____ 가족:_____ 의무기록:_____
과거진단명: 당뇨병___ 심장질환___ 암___ 간질환___ 뇌졸중___ 고혈압___ 절단____
관절염____ 혈액질환____ 신장질환____ 호흡기질환____ 정신건강문제___ 교통사고___
입원전/ 현재 집에서 복용하는 약물: 약명_____ 용량/빈도:____
생리적 측면
1. 산소 / 순환
체온:____ 맥박:____호흡:____ 혈압:_____
호흡양상 : 특징(길이, 대칭성, 호흡을 위한 노력)________________________
호흡음:우___________ 좌____________
호흡곤란/짧음 호흡/호흡_____________
산소공급______________ 호흡보조기__________
순환 :
피부색/온도_________________하퇴종아리 둘레 우:______ 좌:____ 말초맥박:
대퇴:______ 후경골:________족배:_________
청색증 / 부종 / 현기증 / 심계항진 / 흉통_______________
2. 영양
식이________ 식욕_____ 보충제________ 영양공급에 필요한 물품(위관영양):____________
키________ 체중_________ 최근 체중변화 유 무: 유____(이유)_____________ 무_____
의치:_____상____하_____ 연하곤란________ 복통/오심/구토_____________
3. 배설
배변양상:______빈도_______시간________마지막배변______
하제사용유무:____________
복부검진________________
변비/설사/변실금________
장전환술:결장루___________회장루____________기타____________
배뇨양상:빈도_______양________색깔________뇨실금________
도뇨관:종류________크기__________교체빈도__________
전환술___________
4. 신경학적 기능
무의식____________________ GCS점수_________________
의식_______________________
지남력 : 사람_________장소_______________시간_________동공/반응___________________
언어 : 명료 ____________ 불명료________________ 실어증_______________ 주 언어___________)_
기억력 : 최근의 것 ___________________ 과거에 대한 것___________________
간질 / 발작/ 두통력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일반적인 행위 / 외모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활동 / 휴식
자가관리 능력 간호사 / 환자사정 |
환자자신 |
감독 |
최소보조 |
중간보조 |
최대보조 |
완전의존 |
음식섭취 |
|
|
|
|
|
|
개인위생 |
|
|
|
|
|
|
화장실이용 |
|
|
|
|
|
|
기동력(침상에서 이동) |
|
|
|
|
|
|
이동 |
|
|
|
|
|
|
오른손잡이: ____________________ 왼손잡이___________________________
개인 보조기구 : 보행기___ 의자차 ___ 목발____ 지팡이___ 의수족___ 기타____
수면
수면시간___________ 낮잠_______수면의 문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수면보조 : 약물_________음식___________자세____________이완____________기타_________
6. 내분비 계통 / 성요구
여성 : 월경 ______ 폐경______ 가족계획_________ 참고(마지막 월경) __________
질분비물 / 출혈 / 통증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남성 : 음경분비물 / 출 / 통증________________________
전립선 이상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감각
시각 : 안경____________콘택트렌즈_____________ 백내장________________ 녹내장__________
청각장애 : 우________좌______________ 청각보조장치 : 우_________좌____________
전반적 감각_______________통증 / 불편감 :
부위____심한정도(1~10) _________________ 빈도_______________
특징 ___________기간 ________________ 방사통________________________
촉진요인___________경감방법 _________통증행위(관찰)_________________
8. 보호
신체적 안위 : 낙상경험___________
낙상위험 사정 : 신체가동성 손상 ________________ 조직관류 변화 ____________________
감각 / 지각 결손_________________사고과정 변화 ____________________
정서적 문제 ________________
투약(이뇨제, 마약성, 진통제, 하제, 안정제, 항신경증세, 항저혈압제)___________
낙상시 의식상태 :유_____________ 무_________________
감염통제 위험사정 : 유__________무__________
피부 통합성 : 피부 안정성 _____________ 피부손상_______________-
전반적 신체상태 좋음 0 단계: 1 2 3 4
(영양) 보통 1 부위 (A) 발진
불량함 2 (B) 궤양
(C) 절개반흔
의식수준 명료 0
기면상태 1
반혼수 2
혼수 3
가동성 보행(독립적임) 0
보행(보조적임) 2
침상에 국한됨 6
실금 없음 0
가끔 2
자주 4
항상 6
감각 정상 0
손상 4 상처의 특징 / 크기 / 분비물_________________
순환 좋음 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보통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나쁨 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피부위험 사정점수 _______________________
점수가 10이상이 되면 피부의 예방 간호실시
9. 자아개념
환자 / 가족의 질병에 대한 지식 / 입원 사유 : _______________
입원에 대한 느낌 _____________________
입원으로 인하여 당시 스스로나 당신의 신체에 대해 다른게 느껴지는 것이 있습니까?__________
비언어적 행위서술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서상태 :
조용함___________근심없음_____움츠러듦__________불안정함___________화를냄________________
기타_______________
10. 역할기능 / 상호의존성
결혼상태 ___________자녀_____________독신___________가족과 함께_____________기타_________
입원에 대한 가족의 느낌 ___________________________
현재 당신을 가장 많이 도와주는 사람은 누구입니까?________________
현직장 : 유____________무________________ 직업________________
예________________ 아니오_______________________
아니라면 그러한 변화에 대해 어떻게 느끼십니까?_________________
11. 대처 / 스트레스
최근 생활하면서 당신은 심한 스트레스를 느끼셨습니까? 예_______아니오__________
당신이 그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어떻게 도와야 합니까?_________________
당신은 대체로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결합니까? 이완을 유도하기 위해 어떻게 하십니까?______
당신은 지지 자원을 원하십니까? 예____________아니오__________
목회자의 돌봄 _____________ 정신과 의사___________사회사업가___________기타______________
이곳에 입원해 있는 동안 하고 싶은 영적․종교적․문화적 관행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타 학습요구_______________________
12. 퇴원계획
입원 전에 당신은 어떤 도움을 받았습니까?
가정간호사________ 교통수단____________가족______________ 기타___________
퇴원 후 필요하다면 집에서 누군가가 도와줄 수 있습니까?
퇴원 후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는 무엇입니까?__________________________
음식준비__________쇼핑_______________교통수단_______________가정간호사____________
전문적인 간호 _____________파출부 _______________ 가정이 아닌 특수시설 __________
날짜_____________ 서명___________________
13.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 기록지
점수 동작수행 장소 또는 보조물
___ 4____ 혼자서 가능함 _________ 침상
____3____ 약간의 도움이 필요함 __________ 의자차
____2____ 많은 도움이 필요함 __________ 목발
____1____ 전적으로 도와주어야 가능함 __________ 지팡이
____0___ 전혀못함 __________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음
침상활동
돌려눕기 ___________ 의자차 조작하기 ____________
엎드려 눕기 ____________ 의자차 탄채로 문 열고 지나가기____________
누운 자세에서 일어나 앉기___________ 의자차에서 의자로 옮기기 ___________
돌려눕기 _____________ 의자차에서 바닥으로 옮기기____________
테이블․이불정리 _____________ 의자차에서 자동차로 타기____________
위생 보행
손과 얼굴 닦기 ___________ 의자에서 일어서기 ___________
칫솔질하기 _________ 앞으로 걷기 __________
면도하기 _______ 옆으로 걷기 __________
머리 빗기 ________ 뒤로 걷기 __________
손톱 손질하기 __________ 문을 통과하기 ____________
수건 사용하기 ________ 경사로를 오르고 내려가기__________
머리 감기 ________ 난간 잡고 계단 오르기 __________
변기 사용하기 __________ 난간 잡고 계단 내려가기 _________
화장실 사용하기 _______ 난간 없이 계단 오르기 ___________
샤워하기 __________ 목발․지팡이 집고 걷기 ____________
통목욕하기 _________ 보도턱 오르기 ___________
목욕하기 _________ 보도턱 내리기 __________
길 건너 가기 __________
자동차 타고 내리기 ____________
식사 유용한 손동작
손가락 사용하기 _______ 쓰기․그리기 __________
수저 사용하기 _________ 타이프치기 _________
포크 사용하기 _______ 전화걸기 ________
컵사용하기 _______ 전화걸기 ________
신문보기 ________ 편지지접어 봉투에 넣기 _______
옷 입고 벗기 가위질하기 ________
파자마 ________ 손목시계 차고 푸르기 __________
바지․치마 _______ 서랍 여닫기 __________
브래지어 _______ 창문 여닫기 ___________
거들 ________ 문 잠그고 열기 ___________
속옷 속치마 _________ 스위치 끄고 켜기 __________
블라우스․남방셔츠 _________ 수도꼭지 돌리기 __________
양말 신고 벗기 ________ 스위치 끄고 켜기 __________
구두 신고 벗기 _______ 수도꼭지 돌리기 __________
보조기나 의지, 코르셋 _________ 마루에서 물건 집어올리기________
넥타이 매기 ________ 돈 세기 __________
외출복(재킷,코트) _______ 담뱃불 켜기 _____________
코드에 전선 연결하기 ___________
의자차 활동 깡통 따기 __________
오래 앉아 있기 _____________ 지갑사용하기 _________
침상에서 의자 또는 그 반대로__________
논평 :
(4) 직업적 장애 평가
이는 신체적 장애가 직업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작업능력을 먼저 분석하여 재훈련을 통하여 어떠한 적합한 일을 할 수 있는지 파악한다.
(5) 심리사회적 평가
대상자의 사회적, 교육적 배경과 현재의 사회적 위치, 정서상태, 신체적 장애에 대한 정서적 반응 및 재활에 임하는 태도 등을 파악하는 것으로 재활과정에서 적응할 수 있는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2. 재활동기조성 단계
재활과정을 성공적으로 성취하려면 대상자의 적극적인 동기조성이 필요하다. 동기화 과정에서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내·외적 환경요인이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가 아니면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가에 따라 동기가 조성될 수도 있고 동기가 조성되지 않기도 한다.
동기조성 간호
(1) 재활프로그램 자체에 흥미가 없을 때는 환경적인 요소인 시설, 분위기, 치료용구 등을 흥미있고 만족스럽도록 계획한다.
(2) 상담과 대화를 통하여 장애자 자신이 진실된 삶의 의미를 깨닫고 기능적 장애상태에 의존하려는 비합리적인 생활태도를 변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재활요원들을 불신하는 경우 개방된 분위기를 만들고 따뜻한 마음으로 공감대를 형성하도록 하며, 언제나 진실된 자세로 대함으로써 서로 신뢰 할 수 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4) 이러한 간호와 상담에도 불구하고 계속 효과가 없고 대상자가 점점 더 우울해하거나 불안해하면 신경안정제나 항우울제를 처방에 따라 투약하기도 한다. 매우 당황하고 흥분한 대상에게는 호흡장애만 없다면 수면과 안정을 유도하는 안정제가 효과적이다.
약물사용
뇌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약물(compazing or stelazine), Phenothiazine, 항우울제(Parnate, Imipramine), Dexedrine 사용
3. 재활프로그램 적용단계
1) 목적설정
사정단계에서 장애 정도를 파악한 다음 대상자에게 추정될 수 있는 재활의 예후
와 그 결과에 도달할 때까지 과정에서 구체적인 목표설정이 중요하다.
목표를 설정시 고려할 점
① 처음부터 최종목표를 세우지 말고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중간 단계적 목표가
필요하다.
② 한 번에 한 가지 목표만 세운다.
③ 한 가지 목표가 성취되기 전에 또 다른 목표를 세우지 말고 항상 단계적으로
설정한다.
④ 항상 대상자의 능력에 따라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한다.
⑤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조성이 필요하다.
⑥ 대상자, 가족 및 재활요원은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동일한 속도로 재활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2) 재활프로그램 구성내용
(1) 활력증상 유지
(2) 일상생활동작 훈련과 간호
① 누운 자세에서 재활간호
② 경사침대 이용
③ 평행대 운동
④ 목발보행 훈련
⑤ 지팡이
⑥ 보행기
⑦ 휠체어(의자차) 사용
(3) 의사소통 : 쓰기, 읽기와 전화사용
① 필기시 종이를 클립이나 테이프, 때로는 한측 팔로 고정시킨다.
② 책을 읽는 동안 독서대를 사용할 수 있다.
③ 전화를 받으면서 쓸 수 있도록 전화대를 만든다.
④ 오른손잡이인 경우 장애시에는 왼손으로 필기연습을 시킨다.
⑤ 수지굴곡에 제한이 있을 때 연필에 고무 등을 끼워 잡기 쉽게 한다.
(4) 욕창관리
욕창은 압력에 의하여 주로 골격이 튀어나온 부분의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피부상처와 함께 그 밑에 있는 조직에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하며, 조직의 압박으로 생기는 압력이 모세혈관압보다 커서 이로 인해 조직에 장시간 빈혈을 초래하여 생기는 피부의 비정상적인 반응이다. 이에 대하여 적절한 요인을 파악하고 적절하게 간호해야 한다.
욕창의 가장 좋은 중재는 예방이나 예방적 간호관리에도 불구하고 욕창이 발생한 경우 더 악화되지 않고 빨리 회복될 수 있도록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법이 필요하다. 욕창치료의 목표는 감염을 제거하고 순환을 촉진하며 조직재생을 도모함으로써 상처를 치유하는데 있다.
(5) 피로에 대한 대처
재활과정은 길고 지루하며 힘들기 때문에 장애인들은 쉽게 피로를 느낀다. 만성적 건강문제에 따른 불편감과 동통, 장기간의 침상안정과 부동상태 및 운동기능의 결손으로 이동이나 보행이 힘들기 때문이다.
재활과정에서 과도하게 소모해야 하는 에너지, 일상생활동작을 하면서 겪는 좌절감으로 신체적, 정서적으로 지치게 한다. 또한 기능장애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때 슬픔과 우울로 인해 더욱 피로하게 된다.
따라서 재활간호사는 기능장애로 인한 피로의 요인과 정도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심신을 휴식시킬 수 있는 재활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간호한다.
피로를 예방하기 위하여 에너지 소모를 절약하고 자신의 힘을 보유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① 생활양상을 조절한다.
② 구체적인 목표와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③ 일상적인 생활활동을 계획적으로 조직하여 행한다.
④에너지를 보존한다.
⑤ 환경을 조절한다.
(6) 스트레스 관리와 적응간호
① 대처능력 사정과 간호진단
② 대처를 위한 재활간호중재
- 대처반응이 적절하고 효과적인 경우 이를 격려하여 그런 능력을 촉진한다.
- 사회적 지지체계 활용과 인지적 재검토, 정서 중심의 대처/문제 중심의 대 처를 하게 한다.
- 휴식기간을 마련하여 간호제공자나 가족의 피로감이 풀릴 수 있도록 한다.
- 의료적인 위기상황을 예방하고, 정확히 조절한다.
- 사회적 소외감을 예방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절망감, 무기력감을 완화하도록 돕고, 스트레스 관리방법을 교육한다.
- 조절할 수 있는 장애를 관리한다.
- 상담과 경청 및 인지적 재형성을 촉진할 수 있는 간호를 한다.
- 영적 지지를 도모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동원한다.
- 문제 중재를 위한 교육과 이 과정에 초기 재활과정부터 가족을 포함시킨다.
(7) 가족간호
재활대상자의 가족이 된다는 것은 그 자체가 스트레스이며 견뎌야 하는 상태가 된다. 장애자를 돌보는 신체적 고달픔은 물론 심리사회적 압박감, 평상시 활동의 제한에 대한 안위와 휴식을 위한 간호를 계획한다. 그리고 의료비와 가정수입의 저하로 인한 경제적 부담감이 있다면 이에 대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정보를 제공하는 간호를 계획해야 한다.
첫댓글 잘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