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얕은 기초
가. 개 요
1) 종 류 ㉠ 푸팅기초(Footing) - 상부구조의 하중을 전달하는 기둥중 한 개 또는 몇 개를 하나의 기초슬래브(즉 Footing)로 지지하는 형식. - 종류 : 독립푸팅, 복합푸팅, 캔틸래버 푸팅, 연속푸팅 ㉡ 전면기초(Mat foundation) - 기초지반 지지력이 작은 경우 개개의 푸팅을 하나의 큰 슬래브로 연결하여 지반에 작용하는 단위압력을 감소시키는 역할. - 기초가 차지하는 면적이 시공면적의 2/3이상일 경우 전면기초로 취급.
2) 용어해설 ㉠ 얕은기초 : 기초의 폭에 대한 기초의 근입깊이의 비가 1미만인 기초. ㉡ 허용지지력 : 극한지지력을 안전율(F)로 나눈 값. ㉢ 허용지내력 : 허용지지력과 허용침하량에 따른 지지력을 비교해서 적은 쪽을 “허용지내력”이라 한다.
3) 지지력추정 및 결정방법 ㉠ 평판재하시험에 의한 시험허용지지력으로 설계허용지지력 결정 - 시험허용지지력(qat) = (항복강도/2)와 (극한강도/3) 중 작은 값. - 설계허용지지력(qa) = qat + (1/3 · γt · Df · Nq) 여기서, γt : 흙의 습윤단위중량, Df : 근입깊이, Nq : 토질정수 ※ 토질에 따른 Nq, γt 값
구 분 |
느슨한 모래 |
조밀한 모래 |
점 토 |
Nq |
3 |
9 |
3 |
γt |
1.6 |
1.8 |
1.5 |
㉡ 지지력이론에 의한 결정 - 기초지반조건의 강도정수와 기초크기 및 근입깊이를 알고난 후 지지력이론(Terzaghi, Meyerhof, Hansen)에 의해 결정하는 방법으로 "Terzaghi이론“ 이 제일 많이 이용된다. qult = α · C · Nc + β · B · γ1 · Nr + Df · γ2 · Nq 여기서, Nc, Nr, Nq : 지지력계수, α,β: 형상계수, C : 지반의 점착력, B : 기초의 폭, Df : 근입깊이, γ1, γ2 : 기초하중면 아래와 위쪽의 지반 단위중량 ※ 기초모양에 따른 형상계수(α,β)
구 분 |
연속기초 |
정사각형 |
직사각형 |
원형기초 |
α |
1.0 |
1.3 |
1+0.3(B/L) |
1.3 |
β |
0.5 |
0.4 |
0.5-0.1(B/L) |
0.3 |
㉢ 표준관입시험의 N치로 추정 : 가장 많이 이용되지만, 신뢰성이 약한 단점이 있음.
|
 |
나. 시험법 해설
1. 평판재하시험 - KS F 2444
1.1 시험목적 및 종류
o 재하시험이라 함은 적당한 기구를 통하여 지반에 압력을 가하고, 그때의 지반의 반응을 관찰, 측정하는 시험방법을 통틀어 일컫는다. o 지반조사법의 여러 수단 중에서 재하시험은 특히 지반의 하중 지지능력과 하중에 의한 지반의 변형(침하) 특성을 측정하는 어떤 조사방법보다 직접적인 수단 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재하시험이 일종의 모형시험이기 때문이다. o 또한 모형시험이기 때문에 실제 구조물과 재하판의 크기가 다름에서 야기되는 여러 현상을 잘 고려하여, 그 결과를 적절히 보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1.1.1 연직재하시험 (1) 구조물 기초를 위한 평판재하시험 →기초지반의 지지력과 침하특성 조사 (2) 도로 및 활주로 포장을 위한 평판재하시험 →포장두께 결정, 포장강도 측정, 노반 평가 (3) 심층재하 (공내연직재하) 시험 →지반 전단강도,깊은기초 지지력,지반변형 특성,지반압밀 특성 조사 1.1.2 수평재하시험 (1) 수평방향 평판재하시험 (horizontal plate bearing test) → 앵커의 지지력, 수평지반계수 측정 (2) 공내 수평재하시험 (pressuremeter test) → 지반변형계수, 지반의 지지력, 수평지반반력계수
1.2 시험 개요
1.2.1 평판재하시험의 필요성 (1) 지반의 극한, 항복 및 허용지지력을 알고자 할 때 (2) 실내시험이나 사운딩으로는 지지력,침하특성을 판정하기 어려울 때 (3) 지지력이나 침하량이 허용한계에 가까울 때 (4) 경험적으로 얻을 수 있는 지지력보다 큰 값을 기대할 때 (5) 개량지반의 지지력을 구할 때 1.2.2 평판재하시험의 결과로부터 결정할 수 있는 사항 (1) 극한지지력 및 항복지지력 (2) 허용침하량을 고려한 지지력 (허용지지력 →지내력) (3) 표준기초의 타당한 침하량 (4) 휨성 포장과 노상층의지지력 (5) 점토의 비배수 전단강도 (6) 지반의 변형계수(deformation modulus) (7) 지반반력계수 (modulus of vertical subgrade reaction) 1.2.3 평판재하시험 참고 사항 (1) 시험의 시행에는 많은 경비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므로 시험계획을 신중히 수립하여 최소의 횟수로 최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구조물 축조로 인한 지중응력의 증가는 구조물 기초폭의 2배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 깊이까지는 균질하거나 시험 지반면 이상의 강성을 가진 지반에서 시험해야 한다. (3) 위치별로 또는 깊이에 따라 지반 및 지층의 변화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지층 구조를 나타내는 지역에서는 시험결과의 신뢰성이 극히 나빠지므로 적당한 지반조사 방법이 될 수 없다. (4)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은 구조물에 따른 침하량 허용 범위, 기초의 근입깊이, 기초 구조물의 강성과 크기, 지하수위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평판재하시험의 결과만으로는 결정할 수 없고, 실내시험 결과나 이론적 해석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판정해야 한다. |
1.3 시험방법
1.3.1 시험위치 선정 및 재하대 설치 (1) 시험위치 선정 - 최소의 시험횟수로 최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대표적인 지점 선정 (2) 시험굴의 굴착 ① 시험은 실제 기초와 같은 깊이에서 실시해야 한다. ② 상재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일정한 깊이와 범위로 시험굴을 굴착한다. ( 재하판 모서리에서 시험굴 벽 사이의 간격은 그림 참조 ) ③ 시험굴은 최소 3개 시험이 가능한 크기로 굴착한다.(ASTM, AASHTO) ④ 시험을 실시할 부분의 바닥이 교란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⑤ 최종 25㎝바닥은 재하시험 직전에 굴착하는 게 좋다.(Singh, 1981) ⑥ 굴착 후에는 가능한한 신속하게 시험을 실시하되. 불가피하게 시간이 지체되면 비닐 등으로 덮어 함수비의 변화를 줄여야 한다. ⑦ 수리구조물이나 장래 포화될 것이 예상되는 지점에서는 시험시작 전에 재하판 직경의 2배만큼의 깊이까지 미리 수침 포화시켜야 한다. ⑧ 지하수위가 시험위치보다 높을 때는 시험깊이 바로 아래까지 지하수위를 낮추고 적절한 배수를 통하여 시험기간 중 이 수위가 유지되어야 한다. (3) 재하대 설치 ① 정밀한 측정과 현장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상시험 하중보다 충분히 커야하고, 재하 도중 들어 올려지거나, 지반의 침하에 의하여 재하대 자체가 기울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② 재하대 지지점은 재하판으로부터 2.4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
1.3.2 재하판 설치 (1) 재하면 수평 고름 - 깨끗한 모래나 석고 페이스트 등을 5㎜ 이하로 얇게 깔고, 수준기로 수평을 확인한다. (2) 재하판 설치 ① 직경 30㎝보다 큰 재하판을 사용할 때에는 시험에 사용할 재하판을 먼저 놓고 그 위에 그 보다 작은 판을, 중심에 맞추어 놓는다. ② 굳은 지반이나 암반에서는 25㎜ 두께의 재하판은 강성이 부족하므로 이 보다 두꺼운 강판을 사용해야 한다. (3) 주변지반의 보호 - 재하면이 지하수면보다 깊을 경우에는 집수정을 설치하여 배수하고, 용수가 심한 경우에는 재하판을 설치한 후에 흙으로 수cm 덮고 배수하지 않은 상태로 시험한다. 1.3.3 재하 준비 (1) 재하 장치 조립 (2) 재하 jack 설치 - 재하판의 중심에 잭을 설치하고, 하중이 경사지지 않도록 재하대와 재하판 사이에 볼소켙 죠인트 (ball socket joint)를 사용한다. (3) 하중 및 침하량 측정장치 설치 ① 침하량을 2점에서 측정할 때에는 대각선으로 배치하며, 재하판 끝에서 2.5cm안쪽에 배치한다. ② 변위계 지지대 다리는 재하재 지지점과 재하판으로부터 2.4m 이상 떨어져야 한다. (4) 예비 시험하중 가한 후 제거 ① 재하판을 안정시키기 위해 먼저 2~3 tf/㎡ 의 초기하중을 가한 후에 이를 제거한다. KS F 2310에서는 0.35 ㎏f/㎠ (34.3 kNf)를 가한 상태를 초기치로 한다. ② ASTM D1195에서는 0.25~0.5 ㎜ 침하를 일으키는 압력을 재하, 제하했다가 그 절반 하중을 다시 재하, 제하한다. (5) 하중측정 장치와 변위계 (dial gauge)의 영점 setting 1.3.4 재하방법(구조물기초 평판재하) - 단계별 재하하중은 l0tf/㎡보다 작아야 하고, 예상되는 허용지지력의 1/5이 넘지않는 하중으로 나누고, 누계적으로 동일하중을 지반에 가한다. - 각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모든하중을 충격요동 또는 편심없이 정적하중으로 흙에 전달되도록 한다. - 각하중 증가실시 후 누적하중으로 선정된 시간동안 유지하여야 하며 적어도 15분이상 하여야 한다. - 정밀도 0.1mm의 다이얼게이지로 침하량을 측정하며 모든 침하량을 계속 해서 기록한다. 침하량측정은 될 수 있는한 하중증가 바로 전 후, 그리고 하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동안 6회이상 침하량 측정을 할 수 있도록 동일 시간 간격으로 실시한다. - 일반적으로 다음의 상태에 도달시 까지 시험을 계속한다. ① 하중증가에 대해 침하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잔류상태) ② 작용하중이 허용하중의 3배를 초과하는 경우(극한상태) ③ 전체침하량이 적어도 25mm를 초과하는 경우 ④ 충분한 하중을 얻을 수 있을 경우 총 가적침하량이 재하판지름의 10%가 될 때까지. - 최후 하중증가에 대한 관측 완료 후 재하하중을 제거하고 적어도 선정된 시간간격과 같은시간동안 탄성반동이 일어나지 않을 때까지 계속 기록한다.
1.4 시험결과 및 정리
1.4.1 지반의 파괴 형태에 따른 하중-침하 곡선의 형태(참고)
 |
(a) 곡선 o 전반전단파괴 o 항복점 뚜렷 o 압축성이 작은 사질토 지반이나 굳은 점토층 지반 o 항복이나 극한하중 구하기 간단 (b) 곡선 o 국부전단파괴 o 항복점 불분명 o 압축성이 큰 점토지반 o 침하량이 크므로 대개 침하량 25 ㎜를 초과하여 시험 종료 o 항복하중을 찾아내기 쉽지 않으며, 상당히 많은 경우 이러한 곡선의 모양을 나타냄 (C) 곡선 o 관입전단파괴 o 지반의 압축성이 매우 클 때에 해당 o 평판재하시험을 행하는 경우란 극히 드뭄
1.4.2 극한하중?항복하중의 결정 o 원칙적으로 하중-침하곡선 (P-S curve)의 최대곡률점에 대한 하중을 항복강도로 한다. o 대개의 시험에서는 최대곡률점이 쉽게 찾아지지 않는다. 극한지지력이 구해지지 않는 경우, 아래와 같이 logP-logS, s-logt, P-ds/dlogt, Housel법 등을 이용, 항복하중을 구한다. (1) 최대곡률법 (P-S 곡선) o 하중-침하관계 곡선이 초기부분과 후기부분 접선의 교차점을 최대곡률점으로 간주하여 항복점으로 할 수 있으며, 양끝에서 직선부분이 잘 형성되지 않을 때는 판정이 곤란한 방법이다. (2) log P-log S 법 o 가로축에 하중을, 세로축에 침하를 대수눈금으로 표시하여 직선이 꺾일 때 이 점을 항복점으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o 신뢰도가 높은 방법으로 자주 이용된다. (3) S-logt 법 o 가로축은 대수눈금으로 시간을, 세로축은 침하량을 취하여 시간에 따른 침하량을 표시하면 항복하중보다 큰 하중단계에서는 직선관계가 안되고 꺾여진 곡선이 된다. o 재하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때 항복하중도 근사값이다. o 재하단계를 조밀하게 할수록 정확한 값에 가깝게 구해진다. (4) P-ΔS/Δ(logt) 법 o 가로축은 하중 P를, 세로축은 ΔS/Δ(logt)로하여 측정치를 표시하면 꺾여진 직선형태가 되는데 꺾여진 부분이 항복점이 된다. o 시간 간격을 취하는 범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5) Housel 법 o 재하지속시간을 60분으로 하고 등시차 재하한 후에 후반 30분간 발생한 침하량을 구하여 압력-후반 30분 침하량을 그리면 직선이 구해지는데, 그 절점압력을 극한지지력으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
 |
다. 적 용 성
1) 평판재하시험의 허용지지력 산출
(1) 기초의 허용지지력은 극한하중을 안전율로 나누어서 구하며 장기허용지지력과 단기허용지지력으로 구분한다. (2) 일반적으로 단기허용지지력은 항복하중강도로 하고, 장기허용지지력은 항복하중강도를 안전율 2로 나눈 값과 극한지지력을 안전율 3으로 나눈 값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취한다. (3) 침하를 기준으로 장기허용지지력을 정할 경우에는 침하량 25㎜에 해당하는 하중을 극한하중으로 하여 안전율을 적용한다. (4) 또한 앞에서 구한 장기허용지지력와 침하를 기준으로 정한 장기허용지지력을 비교하여 작은값을 취하여 허용지지력(allowable bearing value)을 정한다. (5) 설계하중은 허용지지력으로 한다.
2) 지반반력계수의 결정 - 재하판에 가해지는 평균 압력-침하량(p-s) 곡선의 기울기를 구하거나, 하중-침하량곡선에서 보기 기울기를 재하판의 면적으로 나누어 결정한다. k = p/s = P/A · s (kN/㎥)
3) 실제치수의 영향 (scale effect) (1) 상부구조물에 의하여 지중응력이 증가되는 범위는 대체로 기초폭의 2배(2B) 깊이이며, 지반의 지지력과 침하량은 기초폭의 크기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 (2) 따라서 허용지지력의 결정시 실제기초의 지지력과 침하량은 재하판과 기초의 크기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시험치를 보정해야 한다. (3) 지지력에 대한 실제 기초폭의 영향은 Terzaghi의 지지력공식으로 부터, 그리고 침하량에 대한 실제 기초폭의 영향은 Boussinesq의 탄성침하식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 모래지반의 보정 극한지지력 : 재하시험시의 극한지지력 × (B/b) ☞ 점토지반의 보정 극한지지력 : 재하시험시와 동일 (재하판크기와 무관) ☞침하량관계 : “5. 침하량” 참조
4) 기초의 허용 지지력 qa (1) 장기 허용지지력 qa = qt + 1/3 · N' · γ · Df
(2) 단기 허용지지력 qa = 2qt + 1/3 · N' · γ · Df 여기서, qt : 재하시험에 의한 항복강도의 1/2 와 극한강도의 1/3중 작은 값 N' : 기초하중면보다 아래에 있는 지반의 토질에 따른 계수 Df : 기초에 근접된 최저지반면에서 기초하중면까지의 깊이(m)
5) 침하량 (1) 점 토
(2) 모 래

여기서, SB : 실제침하량, Sb : 재하시험시 침하량, B : 실제기초 폭, b : 재하판 폭(일반적으로 0.3m)
|
 |
2. 지반조사
가. 개 요
1) Boring - 목 적 : 지반속에 구멍을 뚫어 지반의 구성과 지하수위를 파악, 불교란시료채취 및 원위치시험 가능. - 종 류 ① 오거 boring : 현장에서 인력으로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심도 10m까지 가능하고 사질토의 경우는 3~4m가 한도이다. 누르면서 회전하는 방식. ② 충격식 boring : 무거운 끌(chisel)을 rod 끝에 달아서 낙하시켜 굴착하는 방법으로서 50m까지 굴착가능. 지반교란의 단점이 있음. ③ 세척식 boring : 속이 빈 rod 끝에 끌을 부착 후 상하운동하여 굴착하는 방법. 압력수를 이용하여 흙을 이완시켜 굴착. ④ Rotary boring : 속이 빈 rod 끝에 bit를 부착하여 회전굴착하는 방법으로서 물을 흘려보내 bit의 열을 식히고 마찰력 완화역활을 한다. 그러나 원지반의 함수비측정은 곤란하고, 큰입자가 많으면 적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2) Sounding - 정 의 : rod선단에 설치한 저항체를 땅속에 삽입하여 관입,회전,인발 등의 저항으로부터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것. - 종 류 ① 정적 Sounding (주로 점성토에 사용) ㉠ 휴대용 콘관입시험 : 연약한 점성토의 연약지반조사에 사용. ㉡ 화란식 콘관입시험 : 일반흙에 압입하여 이중관 콘으로 시험. ㉢ 스웨덴식 관입시험 : 추재하 회전관입으로 시험. ㉣ 베인 전단시험 : 연약 점성토에 현지전단시험으로 사용. ② 동적 Sounding (주로 사질토에 사용) ㉠ 동적 콘관입시험 : 자갈, 조밀한 모래등에 사용 ㉡ 표준관입시험 : 큰자갈이외의 일반흙에 사용되며 N치를 구하여 토질의 강도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시험이다.
|
 |
나. 시험법 해설
1)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 SPT) - KS F 2307
- 정 의 : Boring구멍을 이용하여 rod 끝에 표준관입용 sampler를 부착시켜 무게 63.5kg의 해머를 낙하높이 75cm에서 자유낙하시켜 sample가 30cm관입시 요하는 타격횟수(N)를 구하는 Sounding 시험. - 해머타격 * 예비타격깊이 : 15cm * 본 타격깊이 : 30cm * 후 타격깊이 : 5cm(생략가능) * 타격한도 : 본타격횟수 50회 - N치의 수정 ① 수정이유 * 낙하높이유지, 자유낙하정도, 보링공내의 슬라임등에 의한 오차수정 * 깊이가 깊을수록 타격에너지 효율등의 차이로 수정요함. * N치 15이상되는 지반에서는 N이 높게 산정됨. ② 수정방법 * rod길이에 대한 수정 : N1 = N(1 - L/200) * N1이 15이상일 경우 수정 : N2 = 15 + 0.5(N1 - 15) 여기서, N : 측정N치, L : rod길이(m)
2) 정적콘관입시험 - 목 적 : 선단콘(맨틀콘)을 지중에 압입하여 점성토의 강도를 추정. - 적용성 : 최대관입력은 2t이고 외관에 작용하는 주면마찰력의 차이는 있지만 콘지지력에 대해 120㎏/㎠정도(N치로는 30전후)까지가 상용 측정범위이다. 거의 모든토질에 적용이 가능하다. - 시험방법 * 콘과 연결된 로드가 시험지점에 수직이 되도록 세운다. * 맨틀튜브를 1cm/sec의 속도로 지반에 5cm압입하는데 발생하는 관입저항값을 측정한다. 단, 1회당 20cm를 넘지않는 심도에서 반복적으로 시험을 시행한다. - 계산방법 * 위와같은 방법으로 구한 관입저항을 콘의 저면적으로 나눈 값을 콘재하에 의한 지반의 상태, 강도를 표시한 것이므로 콘지지력(qc)이라고 부른다. * qc = 콘관입저항력 / 콘의 저면적 (㎏/㎠)
3) 동적콘관입시험 - 목 적 : 선단콘을 붙인 로드를 삼각대등의 지지장치로 지지하여 순차적으로 로드를 이어가며 해머의 충격으로 타입하는 시험으로서 주로 사질토지반의 강도추정에 사용된다. - 특 징 : 표준관입시험의 간소화 및 신속화, 최종심도까지의 연속데이타가 얻어지는 장점뿐 아니라 조사속도가 대단히 빠르고 경비가 저렴하다. 반면에, 로드의 주면마찰이 증대되고 선단이 콘이기 때문에 토층이 관찰되지 않으면 타격횟수가 많아지므로 로드이음부의 손상이 발생한다. 실용측정 심도범위는 대형의 경우 15m정도, 중형의 경우는 8m정도이다. - 시험방법 * 대형시험기의 경우, 선단콘의 외경, 해머중량, 낙하고, 규정관입량은 표준관입시험과 동일하다. 30cm관입시 타격횟수는 Nd로 나타내고 이 경우 필요하면 10cm당의 타격횟수 Nd'를 구한다. 또한 3Nd'를 통해 Nd를 구하는 것도 행해진다. * 중형시험기의 경우, 낙하고의 표준은 35cm이고 규정관입량은 어떤 경우에도 10cm이다. * 일정중량의 해머를 일정낙하고에서 낙하시켜 그때의 관입량을 깊이에 따라 추정한다. 여기서 일정타격횟수에 의한 관입량이나 일정길이를 타입하는데 요하는 타격횟수를 관입저항지수로 하는데 후자의 기록방식이 보다 실용적이다.
|
 |
다. 적 용 성
1) 표준관입시험에 의한 N치의 적용성
(1) 사질지반
N치 |
상대밀도(Dr) |
내부마찰각(Φ) |
0 ~ 4 |
매우 느슨(very loose) |
0 ~ 0.2 |
Φ≤30 |
4 ~ 10 |
느 슨( loose) |
0.2 ~ 0.4 |
30〈Φ≤35 |
10 ~ 30 |
보 통(medium) |
0.4 ~ 0.6 |
35〈Φ≤40 |
30 ~ 50 |
조 밀(dense) |
0.6 ~ 0.8 |
40〈Φ≤45 |
50이상 |
매우 조밀(very dense) |
0.8 ~ 1.0 |
45〈Φ |
☞ 내부마찰각과 N과의 관계식(Dunham이론)
Φ =
+ 15 : 입도불량하고 둥근입자 Φ =
+ 20 : 입도양호하고 둥근입자, 입도불량하고 모난입자 Φ =
+ 25 : 입도양호하고 모난입자
(2) 점성토지반
N치 |
상대밀도(Dr) |
qu(㎏/㎠) |
N≤2 |
매우 연약(very soft) |
qu≤0.25 |
2〈N≤4 |
연 약(soft) |
0.25〈qu≤0.5 |
4〈N≤8 |
보 통(medium) |
0.5〈qu≤1.0 |
8〈N≤15 |
굳 음(stiff) |
1.0〈qu≤2.0 |
15〈N≤30 |
매우 굳음(very stiff) |
2.0〈qu≤4.0 |
30〈N |
고결상태(hard) |
4.0〈qu |
☞ 일축압축강도(qu)와 N과의 관계식 qu = (0.12 ~ 0.13) · N = 1/8 · N 여기서, 점성토(Φ=0)의 일축압축강도(qu) = 2Ctan(45+Φ/2) 이므로, 대입하면 “qu = 2C" 라는 관계식이 성립한다. (C:점착력) 따라서, C = qu / 2 = (1/8 · N) / 2 = N / 16 (㎏/㎠)가 된다.
2) 콘관입시험 결과에 의한 적용성
(1) 사질지반 qc = 4N
(2) 점성토지반 qc = 5qu = 5(2C) = 10C 여기서, qc:콘지지력, qu:일축압축강도, N:SPT의 N치, C(점착력):N/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