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 1975 제작
미국 | 드라마 | 1977 개봉 | 청소년관람불가 | 129분
감독 밀로스 포먼
출연 잭 니콜슨, 윌 샘슨, 루이스 플래쳐, 윌리엄 레드필드
영화 <뻐꾸기 둥지로 날아간 새>는 켄 키시(Ken Kesey, 1935~2001)의 1962년작 동명소설을 바탕으로
<아마데우스>, <래리 플린트>로 대표되는 거장 밀로스 포먼이 연출, 할리우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배우중 하나인 잭 니콜슨이 주연한 정신병원의 허위와 기만에 찬 운영 실태를 고발하면서 인간성의 잔혹함과 그에 맞선 개인의 투쟁의 무력함을 묘사한 영화사 역대 최고의 사회 고발물입니다.
<아마데우스> 리뷰 참고
<잭 니콜슨 전기> 참고
영화제목은 인디언 전래동화의 한 구절인 ‘한 마리는 뻐꾸기의 둥지로 날아갔다’에서 따왔고 키시가 재향군인 본부 병원(Veterans Administration Hospital)에서 일한 경험이 이 이야기의 바탕이며 영어에서 '뻐꾸기'는 미친 사람이나 정신병자를 뜻하는 속어입니다.
맥 머피(잭 니콜슨)는 남들과 같지 않은 생각을 가졌다는 이유로 정신병원에 수용된다. 그는 정신병원에서 길들여지는 대로 아무런 불만이 없는 것처럼 평온하게 지내고 있는 병원 환자들에게 그들이 무엇을 원하고 있고 또 그것을 관철시키기 위해 대항해야 한다는 걸 보여준다. 그런 맥 머피에게 자신의 실체를 밝히는 친구가 있다. 그는 인디언 추장으로 한때 이 땅의 주인이었으나 지금은 사회의 부적응자일 뿐이다. 그러던 중 맥 머피가 뇌수술을 당해 의식을 잃게 되는데....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는 정신병원을 배경으로 순응, 자유, 개인과 시스템 간의 싸움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가 전개되며 수석 간호사로 등장하는 '래치드'는 기관의 관료적이고 비인간적인 측면을 대표하는 캐릭터이고 순응과 통제의 상징이며 환자인 '맥머피'는 그녀와 반대로 환자들 사이에 반란을 조장하면서 자율성과 개성을 위한 강력한 투쟁을 이어가는 캐릭터인데 사회적 부적합의 정의와 대가, 제도적 권위의 제약에 맞서는 사회적 약자의 권리 보호에 대한 설득력 있는 탐구, 폐쇄되고 경직된 시스템 내에서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질문과 동시에 현대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수많은 부조리에 대해서 강력한 메세지를 전달해줌으로써 대중과 많은 평론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습니다.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격동기였던 1970년대에 개봉되어 관객들은 물론이고 사회적으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는데 제도적 권위에 대한 비판, 순응의 비인간적 효과, 개인의 자율성을 위한 투쟁이라는 이 영화의 주제는 그 당시 큰 파장을 일으키며 많은 사회적 약자들에게 적지않은 감동을 주었고, 사회적 제도의 변화를 불러일으켰으며, 그 영향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밀로스 포먼 감독은 영화의 촬영에서 폐쇄적이고 답답한 느낌을 강조하여, 정신병원 내에서의 억압과 감금된 상태를 잘 표현했으며 촬영은 주로 좁은 공간에서 이뤄져 캐릭터들이 자주 프레임에 갇히는 느낌을 주면서 인물들의 표정과 제스처를 중요시하며, 이를 통해 관객이 감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인공 맥머피는 카리스마 있고 반항적이지만 자유로운 성격으로 래치드 간호사의 부적절하고 억압적인 권위에 도전하고 동료 환자들에게 보이지않지만 보고싶은 일말의 희망을 제공해주며 래치드의 엄격한 통제에 의문을 제기하고 환자들 개인의 권리와 자유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며, 억압하는 세력에 맞서 사회적 약자의 권리 보호를 당당히 외치는 캐릭터입니다.
래치드는 냉철하고 철두철미한 수석 간호사로 관료주의속 비인간적인 측면이 제도적 권위주의의 본질을 구현하기위해 만들어진 순응과 통제의 캐릭터이며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힘을 사용하는데, 그녀의 엄격한 규칙과 규정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그녀의 방법은 잔인함에 가까우며 극도로 억압적이기에 개인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짓밟습니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는 정신병원의 부적절한 관행과 그 안에 있는 의료인들의 비인간적인 모습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는데, 그로 인해 이러한 기관의 가혹한 현실을 폭로하여 조사와 개혁을 강화하도록 만들었고, 그 당시 행해지고 있던 병원의 비리와 의료인들의 부조리함을 공개적으로 파헤치고 변화시키는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정신 건강과 정신 질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바꾸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아카데미상 석권이라는 엄청난 쾌거와 함께 당시 미국 내에 만연하던 대형 정신병원들의 인권침해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고, 그 후 미국 연방정부 차원에서 나서서 정신질환자들의 장기 입원을 최대한 못하게 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통원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탈원화 운동이 일어나고, 전두엽 절제술 같은 위험한 치료법 대신 언제든지 중지가 가능한 약물요법 위주로 치료 방법이 바뀌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며 사회와 의료계의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를 촉발하고 변화를 도모하게 만들었습니다.
주인공 역의 잭 니콜슨은 강한 자가 지배하는 감시와 억압의 사회에서 안주하고 살아가는 약한 자들에게 자유의 의미와 진실의 소중한 가치를 안겨주는 뻐꾸기의 역할을 유쾌하면서도 진정성있게 보여줌으로써 전작 <이지 라이더>, <차이나 타운>에 이은 폭발적인 연기력을 선보이며 최정상 연기파 배우의 출연을 알려줍니다.
<차이나 타운> 리뷰 참고
수석 간호사 밀드레드 래치드역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루이스 플레처는 기관 내 안정을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순응을 강요하지만, 이는 숨 막히고 억압적인 환경을 제공했고 환자에 대한 그녀의 통제는 권위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취약하거나 소외된 사람들 사이의 권력 불균형을 초래하는 권력을 남용하는 단순한 악당, 악인이 아닌 통제, 순응, 저항이라는 복합적이고 입체적인 캐릭터를 연기했는데 이 캐릭터는 영화 역사상 최고의 악역 가운데 하나로 불리우며 미국 영화 연구소가 선정한 '영화 역사상 최고의 악당 캐릭터' 5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영화 역사상 최고의 악당 탑 20> 참고
루이스 플레처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 당시 수상 소감을 청각 장애인인 부모님을 위해 수화로 진행해 커다란 감동을 주기도 했습니다.
AFI 선정 미국 100대 영화에 선정되었고 미국 국회도서관에서 국립영상 보존작으로 소장되어 있으며 특히 제48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그리고 각색상을 수상했는데
<AFI 선정 미국 100대 영화> 참고
이는 아카데미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5개 부문 그랜드 슬램을 달성한 것이며 이는 1934년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이후 최초이며 1992년 <양들의 침묵>에 의해 달성되기 전까지 일어나지 않았던 어마어마한 기록입니다.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리뷰 참고
<양들의 침묵> 리뷰 참고
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어법상 틀린 것은?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One Flew over the Cuckoo’s Nest received mostly favorable reviews and was adapted into a play in 1963 by Dale Wasserman. In 1975, Milos Forman directed the film version, ① which won Academy Awards for best picture, best director, best adapted screenplay, best actor (Jack Nicholson), and best actress (Louise Fletcher). Kesey, the author of the book, wrote a screenplay for the film, but Forman rejected it, (2) stated that he did not believe that Bromden’s (a character from the novel) narration would translate well to the screen. Kesey then rejected the film and vowed never to watch it. His novel, though, still generates much critical attention and is (3) widely taught as part of the American literary canon. It remains in print in several editions, including ④ one in the Penguin Great Books of the 20th Century series. It retains its revolutionary power and continues ⑤ to influence readers and writers alike. * canon 문학의 주요 작품 목록
2017학년도 수능대비 수능특강 영어영역 영어에 지문으로 출제되기도 했는데 “키시의 작품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가 출판된 후 호평을 받아 영화와 연극으로도 제작되어 아카데미 상을 휩쓸어갔는데, 키시가 영화 대본을 썼으나 영화 감독은 해당 나레이션이 영화에 부적절하다고 판단해 거부했다. 이에 키시는 영화를 절대 안 보겠다고 맹세했으나, 키시의 소설도 계속해 좋은 평가를 받고 명작으로 여겨지고 있다”라는 내용입니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최고의 명장면 1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최고의 명장면 2
You're not Crazy!
너희들은 미친게 아냐!
정상과 비정상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일까요? 온전히 나만의 시선을 갖고 세상을 명확하게 바라보는 머피가 동료환자들에게 던지는 진심어린 이 한마디가 정말 오래동안 가슴속에 남겨집니다.
로더리고 영화 글 모음 1100
첫댓글 크으으 숙제 추가!
즐감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