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형 오디오 시스템을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으로 만들기
우리 모두들 이제 예전보다는 외부 생활이 줄고 혼자 시간을 보내는 시간이 많아 짐에 따라 몇가지 혼자 즐길거리나 취미를 갖고 있으면 좋은데 그 중 쉽게 할 수 있는 하나가 음악 감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형편이 넉넉하여 새로운 현대적인 오디오 시스템을 갖출 수 있으면 좋지만 그렇게 하지 않고도 예전부터 집에 갖고 있는 오디오 시스템이 있다면 오만원 정도의 구글 chromecast를 활용하여 저비용으로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집에 TV가 스마트 TV인 경우는 스마트 TV를 단순히 구형 오디오 시스템에 연결 하는 것만으로도 스마트 오디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만 여기서는 크롬캐스트를 이용한 스마트 오디오 만들기를 설명합니다.
구글은 유투브 같은 AV 컨텐츠를 TV로 전송하는 chromecast 와 스트리밍 음악을 전문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chromecast audio를 발매하여 왔는데 2019년 부터 chromecast audio는 단종하고 이의 기능을 chromecast에 통합하여 제공하기로 하였습니다.
chromecast audio를 이용할 경우 크롬캐스트 오디오를 구형 오디오와 aux 케이블이나 광 케이블을 사용하여 직접 연결하면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이 됩니다. 크롬캐스트의 경우 tv의 hdmi port에 크롬캐스트를 연결하고 오디오 시스템과 TV의 연결은 AUX 케이블이나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이 됩니다.

이제는 chromecast를 사용하여 TV, 오디오 시스템과 함께 스마트 오디오 및 비데오 (smart audio & video) 시스템을 구축하여 음악 감상도하고 동영상 감상도 같이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chromecast로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로는 유튜브, netflix, 구글 플레이, 벅스, 지니, mnet, tuneIn등이 있으며
이용 가능 컨텐츠는 계속 추가되고 있습니다.
크롬캐스트 동작 개념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크롬캐스트는 WI-FI 무선망에서 동작하며 각자가 갖고 있는 스마트폰이 크롬캐스트의 무선 컨트롤러 (controller)가 되는 구조로 동작합니다.
크롬캐스트 설정 방법은 매우 간단하게 크롬캐스트 박스에 표시되어 있는데 크롬캐스트 설정을 위하여서는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드로이드폰 이나 애플 아이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모두 설정 가능하나 여기서는 스마트폰 위주로 설명합니다.
1. 스마트폰에 “google home” 앱을 다운 받아 설치 합니다.
2. 설정을 위하여 구글 계정 정보가 필요하므로 구글 계정이 없는 사람은 구글 계정을 만듭니다. 구글 계정이 있는 사람은 기존 계정을 사용하면됩니다.
3. 크롬 캐스트2는 Wi-Fi 802.11 b/g/n/ac 2.4/5G 망이 필요하고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Wi-Fi 802.11 b/g/n/ac 5G 망이 필요합니다.
이렇게 준비 되면 크롬캐스트 설정 준비가 다 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면 됩니다.
1. 크롬캐스트에 전원과 TV의 HDMI 포트에 선을 연결하고 TV의 입력을 hdmi 포트로 전환합니다.
2. Wi-Fi 망에 스마트폰을 연결합니다.
3. “google home” 앱을 실행합니다.
4. 크롬캐스트에 연결하길 원하는 구글 계정 확인을 요청하는데 구글 계정을 선택하거나 넣어 주면 됩니다.
5. 스마트폰의 블루투스가 켜진 상태에서 처음 설치 시에는 자동으로 크롬캐스트를 찾아 연결하고 화면에 나오는 지시를 따라 하면 자동으로 설정을 완료하여 줍니다.
TV 뒷면 hdmi port에 연결된 크롬캐스트. 여기서 TV의 usb port를 크롬캐스트의 전원으로 사용.

자동 설정과정에서 하는 일은 블루투스나 Wi-Fi를 이용하여 크롬캐스트를 찾아 연결하고 크롬캐스트에 Wi-Fi 망을 설정하고 크롬캐스트 디바이스 이름을 설정합니다.
이제 크롬캐스트를 사용하면 되는데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튜브 같은 크롬캐스트 가능한 응용 앱을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면 사각형의 크롬캐스트 실행 버튼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클릭하면 내용이 스마트폰으로 나오지 않고 TV로 내용이 캐스트 되고 스마트폰으로는 크롬캐스트를 컨트롤 하는 기능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설치 완료된 후 아이폰의 구글홈 화면

크롬캐스트를 통해 TV에 나타난 같은 배경 화면

아이폰 유튜브 실행 화면

위 화면에서 Wi-Fi 표시가 있는 사각형의 크롬캐스트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는 컨텐츠가 TV로 캐스팅 됨. 다음 동영상은 강혜정의 동영상을 아이폰에서 실행하면 컨텐츠가 TV로 캐스팅 되고 이를 아이폰으로 녹화한 동영상.
글을 다 쓰고 보니 스마트 오디오 만들기라기 보다는 스마트 기능이 없는 TV 의 스마트TV 만들기가 더 맞는 것 같은데 관건은 스마트 기능을 갖는 TV를 구형 오디오 시스템의 입력으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스마트 기능이 없는 TV의 경우 크롬캐스트를 이용하여 스마트 TV로 만들고 이를 구형 오디오 시스템에 연결함으로써 스마트 오디오 시스템까지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화상이 있는 유튜브 뿐만아니라 화상이 없는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인 tuneIn 서비스 와 지니 음악 서비스 같은 다양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들을 무선 Wi-Fi 망을 통하여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제 구형 오디오 시스템으로도 인터넷으로 무제한의 음원에 접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즈음 유행하고 있는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망을 사용한 블루투스 오디오 시스템과 Wi-Fi 무선망을 이용한 Wi-Fi 오디오 시스템과의 차이 및 특정점은 다음과 같다.
브루투스 오디오의 경우는 오디오 스트리밍의 플레이어 역할을 하는 입력 장치가 스마트폰이 되고 이 스마트폰과 오디오 시스템 간에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망을 사용하여 연결 되는 반면에 Wi-Fi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는 오디오 스트리밍의 플레이어 역할을 하는 입력 장치가 크롬캐스트가 되고 크롬캐스트와 오디오 시스템 간에는 유선으로 연결됩니다.
블루투스 통신의 데이터 전송 속도 (3 - 24 Mbps)가 낮으므로 불루투스 오디오에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할 때 SBC, APT-X, AAC로 압축해서 전송 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블루투스 오디오의 경우 비압축 음원을 사용하더라도 음질 저하가 발생하게 됩니다.
Wi-Fi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음질 저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고음질의 무손실 음원을 제대로 감상을 위하여서는 Wi-Fi 오디오 시스템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