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딧물은 진딧물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전세계에 4,000여 종, 한국에 3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몸은 작아서 대개 2~4㎜ 정도이고, 몸빛깔은 다양하다. 머리·가슴·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에는 더듬이·겹눈·입틀 등이 있는데, 더듬이는 대개 여섯 마디이다. 몸은 매우 연약하고 제5 또는 제6배마디등판 양옆에 뿔관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원기둥·사다리·고리 모양을 이룬다.
식물기생진딧물은 농장물에 피해를 주는 전형적인 벌레로, 대롱처럼 생긴 입으로 식물의 줄기나 잎에 구멍을 내어 즙을 빨아먹는다. 진딧물이 농작물에 주는 피해는 직접적인 것보다 오히려 간접적인 피해, 즉 식물 바이러스를 매개함으로써 큰 피해를 준다. 감자, 딸기, 겨자과 채소, 과목(과일나무),가로수 등 농작물의 바이러스병은 진딧물이 매개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진딧물이 몸을 적으로부터 방어하는 무기는 뿔관인데 여기에서 분비되는 끈끈한 액체로 포식충의 입틀을 부자유스럽게 만들어 위기를 모면하거나 또는 많은 밀랍가루를 분비하여 몸을 보호한다.
번식진딧물의 먹이는 식물의 즙액이므로 새끼를 낳기 위한 영양분, 즉 단백질이 부족하고 탄수화물은 과다하므로 남은 당분을 배설물로 배축하는데 이것이 감로(甘露)이다. 감로가 식물의 잎 등에 떨어지면 이것을 먹으려고 작은 개미가 많이 모이게 되고 그을음병균의 기생을 유발하여 간접적 피해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진딧물은 주로 온대지방에서 번식하는 곤충으로 알로 월동하고 3월-4월에 부화한다.
이것들은 날개가 없는 암컷이며 다 자라면 알을 낳는 것이 아니라 혼자서 새끼를 낳는데, 새끼들은 자라면 똑같이 날개 없는 암컷이 된다. 몇 세대를 이렇게 되풀이하여 번식하다 보면 차차 날개가 있는 암컷(유시충)이 생겨 분산한다. 번식을 하지 않고도 어른벌레가 알이 아닌, 새끼를 낳는 단성생식으로 번식하며, 겨울잠으로 겨울을 나는 특징이 있다.
[편집] 천적진딧물은 무당벌레(꼬마남생이무당벌레, 무당벌레, 칠성무당벌레)의 성충과 유충, 풀잠자리의 애벌레와 어른벌레, 꽃등에의 애벌레, 기생벌 등 천적이 많기 때문에, 생태계의 기본계층을 이루는 곤충이다. 특히 무당벌레는 성충과 유충 모두 진딧물을 잡아먹는, 진딧물의 대표적인 천적이다. 그래서 로마 가톨릭이 사회적 영향을 주던 중세 서유럽 농민들은 그들이 공경하는 성인인 성모 마리아의 딱정벌레(Lady Bugs)라고 부르면서 대표적인 육식성 무당벌레인 칠성무당벌레를 사랑했다.꽃등에의 애벌레와 풀잠자리의 성충과 유충도 무당벌레처럼 진딧물을 잡아먹는다.기생벌은 진딧물 몸에 기생하여 번식한다. *
친환경 진딧물 제거법
물엿스프레이(?)한 방으로 진딧물은 썩 물럿거라~
[크리스천 라이프 이인순여사의 글]
진딧물 퇴치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진딧물은 한 번 번식하면 아주 골치 아픈 해충이다. 몸집이 작아서 우습게 여기고 가볍게 생각했다가는 작물에 많은 피해를 입히게 되고 심하면 아예 작물을 포기해야하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내 가족들 먹을 채소밭에 농약을 뿌려서야...
물론 살충제로 간단히 처리할 수도 있겠지만 유기농으로 자신의 텃밭을 가꾸고자 할 때는 살충제나 제초제는 엄격하게 멀리 해야할 위험물로 인식해야 된다.
작은 텃밭이나마 농사를 짓게 되면 정신없이 자라나는 풀과 사방에서 덤벼드는 온갖 해충들과 싸워야 하는데, 때로는 제초제나 살충제로 간단히 뿅하고 처리하고 싶은 유혹을 많이 느끼게 될 것이다.
얼마나 간단한가. 제 아무리 드세게 자라는 잡초라 할지라도 제초제 한방이면 된서리 맞은 호박잎처럼 배들배들 말라서 죽게되니 메롱하면서 고소한 느낌도 들지만 그로 인한 또 다른 피해도 감수해야 함은 물론이다.
살충제역시 마찬가지다. 살충제를 사용해서 가볍고 손쉽게 벌레를 물리칠 수는 있겠지만 해충과 더불어 익충도 죽을 것이고 내 가족들이 먹을 채소밭에 농약을 뿌려서야...
부엌용 세제에 물 타서 뿌려 주면?
나에게도 농약을 쓰지 않고 진딧물을 물리쳐 본다고 나름 노력하다가 어린 참외 모종을 몽땅 해먹은 일이 있다. 우리 농장에는 이따금 농자재 회사 컨설턴트들이 찾아와서 여러 가지 조언을 해주고 가는 경우가 있다. 그들만 오면 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벌레들을 찾아 싸들고 다니며 온갖 걸 다 묻는데 진딧물 자연 퇴치법에 대해 물은 적이 있었다.
그가 가르쳐 준 건 부엌용 세제에다 물을 타서 뿌려 주면 진딧물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이었다. 때마침 밭에 내려고 참외 모종을 키우고 있던 참이라 자세히 들여다본 즉 진딧물들이 꼬물꼬물 움직이고 있는 게 아닌가. 기회는 이때다 싶어 들은 거 써 먹어보자 하고 부랴부랴 우리들이 흔히 말하는 부엌용세제 퐁퐁(이 나라거니까 이름이 퐁퐁은 아니었겠지만)을 물에 타서 스프레이로 쏴아쏴아 시원스레 뿌려주었다. 빨리 죽으라고 듬뿍 뿌려주었다.
그런데 어린 모종이 이를 어이 견디랴. 이 멍청한 농부, 모종이 어린 건 염두에 두지 않고 오로지 진딧물만 생각하고 뿌려댔으니...
좋은 약도 지나치면 해가 될 터인데 아무리 이 나라 세제가 강하지 않다 해도 이제 막 떡잎 면하고 본잎 몇 장 올라오고 있는 모종이 견디기에는 너무 가혹했던 것이다. 참외 모종은 거의 성장을 멈추다시피 자라목이 되어 헉헉 힘겹게 버텨나가고 그걸 밭에다 꽂아본들 좋은 과실이 열릴리 만무였다. 말 그대로 빈대 잡겠다고 초가삼간까지 몽땅 태우게 된 꼴이었다.
물엿을 식용으로 쓸 줄 아는 조상들의 지혜
아 아까운 참외모종. 한국에서 씨앗 구해다 포트마다 씨를 넣고 정성들여 키워놓았었는데 이런 쓰라린 경험 다른 분들은 겪지 않도록 이번에는 좀더 자연적인 방법으로 진딧물을 퇴치해 보기로 맘먹었다.
인터넷을 뒤지다 우연히 알아낸 건 물엿으로 진딧물을 퇴치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물과 물엿의 비율을 2대 1로 섞어서 마구 흔든 다음 스프레이 통에 넣어 뿌려주면 된다.
쉽게 말해 물이 200ml 우유통 하나 정도면 물엿은 반이니까 100ml. 진딧물이 좋아하는 채소로는 우리가 바로 따서 먹어야 하는 상추나 고추 오이 쌈채들인지라 볕 좋은 날 물엿을 뿌려놓으면 진딧물들이 숨구멍이 막혀 질식사 하신다니 얼마나 좋은가. 물엿을 식용으로 쓸 줄 아는 우리 조상님들 참말로 지혜롭고 슬기로우시다. * * *
[김장똘의 글] 은행잎에는 일년내내 병이나 벌레가 오지 않잖아요.
은행잎 즙을 만들어 다른 작물의 잎에 발라 코팅하면 다 은행잎처럼 되지 않겠는가 하는 단순한 발상이었습니다.
진딧물이나 청벌레 등 골칫거리였던 해충들이 깔끔히 사라졌고 병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었다.
역병과 탄저병 그러나 이 독한 병에는 은행잎 즙도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석회보르도액)과 번갈아 사용하면 상승작용을 일으켜 병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즙을 만드는 방법은 푸른 은행잎을 따서 솥에 넣고 물을 조금 넣고 끓여 원액을 얻는다.
비교실험을 위해 지난해 5월10일 200평 고추밭에 뿌리가 내리는 5월 말부터 7월 말까지 15일 간격으로 (은행잎 즙) 1.8ℓ를 600~800배로 희석해 4번 뿌렸고 (석회보르도액)은 3번 살포했다.
탄저병과 역병을 완전히 방제할 수 있었다.
“토종닭도 즙액을 짜낸 은행잎 찌꺼기를 주면 아주 잘먹을 뿐 아니라 구충제 역할을 한다”
은행나무 속에 '플라보노이드'라는 살균 살충 성분이 있다.
이 성분은 갖가지 벌레의 유충 식물에 기생하는 곰팡이 바이러스 등을 죽이거나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왕성한 식욕을 가진 딱정벌레도 굶어 죽을 지언정 은행잎을 먹지는 않는다. 노랗게 물든 은행잎을 책갈피에 끼워 두는 풍습은 은행잎을 사랑하는 갸륵한 마음에서 나왔겠으나 이렇게 하면 책에 좀이 슬지 않는 뜻밖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농가에서 거름을 만들 때에도 은행잎을 섞어 만들면 흙 속의 해로운 미생물이나 벌레들을 죽일 수 있다.
은행나무는 맹독이 있어 매우 강건하고 병들거나 벌레 먹는 일이 없다. 공해에 대한 적응력이 대단히 강하다. *
보리를 이용한 진딧물 방제
-딸기 및 쌈 야채 (로메인상추, 적상추, 치커리, 적치커리, 청경채, 케일, 비트, 앤다이브 등) 재배 시-
- 작성 : 산하농원 구 윤 서
1. 농약 없이도 해충을 잡을 수 있는 방법
- 해충이 발생하기 전에 보리를 심어 놓고 진딧물과 천적을 미리 발생시켜 하우스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방제하는 방법이다. 보리에 발생하는 진딧물과 채소에 발생하는 진딧물은 종류가 다른 점을 착안하여 보리를 재배하고 채소에는 해를 안 주고 보리에서만 자라는 진딧물을 발생시키고, 이 진딧물에서 천적을 발생하게 하여, 이 천적이 하우스에 발생하는 진딧물을 방제하는 것. 하우스 한쪽에 보리 한 포기를 재배하고 진딧물과 천적을 넣어주면 된다. 쉽게 말하면 보리는 천적의 아파트가 되는 것입니다.
2. 진딧물 방제효과
- 정말로 아주 우수하다. 그러나 작년에는 너무 늦게 딸기 재배하우스에 보리를 넣어주는 바람에 올해 3월중순경에 한꺼번에 진딧물이 생겨 딸기가 찐득거리고 애를 태웠지만 산야초에서 추출한 선초와 현미식초 등으로 방제에 성공하여 지금 4월25일까지는 거의 없고 응애가 간간히 생기기 시작한다. 보리 이삭이 나와서 통통하게 영글어 가지만 보리에서 천적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3. 딸기 이외의 다른 작물에서도 효과
- 엽채류 (로메인상추 ,적상추, 치커리, 적치커리, 청경채, 케일, 비트, 앤다이브 등)에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보리에서 진딧물 이용은 복숭아혹진딧물이나 목화진딧물이 발생하는 채소, 과수, 화훼 등 모든 작물에서 이용할 수 있다.
4.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만 효과
- 이 두 진딧물이 여러 작물에서 가장 피해를 주는 진딧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염진딧물은 콜레마니진디벌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진디혹파리라는 천적을 이용하면 진딧물 종류에 관계없이 방제할 수 있습니다.
5. 농민은 보리만 파종
- 보리 심는 것 이외에 천적과 진딧물이 있는 보리를 천적회사나 농업기술센터에서 구입하여 하우스에 땅에 묻어 놓으면 됩니다. 돈을 절약하려면 보리를 하우스에 한쪽에 보리 종자 300알 정도 파종하고 한 달 후 진딧물과 천적을 구입하여 재배한 보리에 넣어 줄 수 있습니다.
6. 보리에 발생하는 천적
- 진딧물의 천적은 여러 종류가 있다. 보리에서 이용하는 진딧물의 천적은 콜레마니진디벌이란 천적이고. 이 놈의 어미는 진딧물에 제 새끼를 낳으면 진딧물 몸 속에서 자라나 나중에는 성충이 되어 진딧물을 죽이고 진딧물 몸 속에서 탈출합니다. 이 천적 한 마리가 진딧물에 새끼를 300-400개를 낳아 진딧물을 죽입니다. 진딧물이 많을 때는 효과가 떨어지나 작물재배 초기 또는 진딧물 발생이 적을 때 이용하면 효과는 뛰어 납니다.
7. 농약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차이점
- 농약으로도 진딧물을 방제할 수 있습니다. 천적 이용이 농약보다 좋은 점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점이 첫째입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생산하여 농약을 사용하는 농산물보다 환영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농약을 계속 사용하면 해충도 농약에 독한 놈만 살아 남아 잘 죽지 않으며, 이로운 천적을 다 죽어 계속적으로 농약을 살포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나 천적을 이용하면 그런 문제가 없습니다.
8. 진딧물 말고 다른 병해충이 발생
- 그것이 천적이용 해충방제의 단점이다. 여러 종류의 해충이 발생하면 여러 종류의 천적을 이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딸기에서 보리를 이용하여 진딧물을 잡고, 점박이응애는 칠레이리응애란 천적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천적회사 또는 농업기술센터에서(본인은 완주고산에 있는 농업기술센터에서 가져옮) 천적을 구입하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도 논산, 문경, 거창, 대구에 천적회사가 생겼습니다.
9. 보리를 이용한 진딧물 방제에서 주의
- 천적의 이용은 해충이 많이 발생한 후에 이용하면 효과가 떨어집니다. 끝으로 보리만 자라고 진딧물과 천적이 있는 가 살펴봐야 합니다. 없으면 추가로 넣어 줘야 합니다.
|
첫댓글 고맙습니다...ㅎㅎ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