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 산행 등산복 입기] 겨울에 산으로 나설 때 어떻게 옷을 입어야 될까? 고민해 본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무수한 종류의 옷들이 있어 선택 또한 쉽지 않습니다. 물론 옷을 어떻게 챙겨 입느냐는 산행지의 기후 및 산행 형태 (당일 산행 또는 장기 산행)에 따라 동일할 수는 없습니다.
여기서는 남한의 산을 당일에 다녀 온다고 가정하고, 제 경험을 바탕으로 적습니다. 제 방식이 정답은 될 수 없습니다. 이것을 바탕으로 본인의 산행 스타일에 맞게 응용하십시오.
[꼭 알아 두어야 할 사항] 1. 입어서는 안될 옷 – 면으로 된 옷 (면 런닝/팬츠, 면 내복, 청바지 등) 잘 입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입어서는 안될 옷이 있습니다. 바로 면 종류로 된 옷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런닝 셔츠, 내복, 청바지 류입니다. 면으로 된 옷은 무조건 제외시키십시오. 면으로 된 옷은 땀을 흡수하면, 쉬 마르지 않고 물기를 그대로 머금고 있어, 이 젖은 옷은 체온을 급격히 빼앗아 갑니다.
특히 남자들은 런닝 셔츠를 안에 입는 경우가 많은데, 젖은 옷을 안에 입은 상태에서 겉에 아무리 보온성이 뛰어난 옷을 입은들 아무런 효과가 없습니다.
면으로 된 옷은 절대 금물!!! 2. 땀을 많이 흘리지 않는 산행을 한다! 체온 조절을 하지 않아 땀의 분비가 많으면 운행하지 않을 때 땀이 식는 순간 엄청난 한기가 엄습합니다. 특히 고어텍스와 같은 방수 기능의 자켓은 땀 배출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채 배출되지 못한 습기는 송두리 속옷을 젖게 만듭니다.
따라서 땀이 많이 나지 않게 산행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행을 하다 보면, 더웠다가 또 능선에 올라서면 바람이 불어 추웠다를 반복합니다. 더울 때는 한 겹 벗고, 추울 때는 한 겹 입고 하면서 적절히 체온을 유지시켜야 땀을 많이 흘리지 않습니다. 두꺼운 한 벌로 입는 것보다는 얇은 두 벌의 옷이 체온 조절하기 좋습니다.
오버 자켓을 입어야 할 상황이라면, 자켓의 지퍼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몸 안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상의] 시중에는 수 많은 종류의 옷이 나와 있습니다. 뭘 사야 할지 정말 혼란스럽지요? 브랜드는 많지만, 그것을 종류별로 분류를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① 내의 (내복도 여기에 포함) ② 짚 티 (동계용) ③ 등산용 티 ④ 오버 자켓 (방수 자켓. 고어텍스 류) ⑤ 방풍 자켓 (상품명인 윈드 스탑 이라고 불리어 짐) ⑥ 우모목 (오리털 잠바) 1. 등산 내의 (내복) 런닝 셔츠형와 내복(긴팔)은 같은 개념으로 봅니다. 둘 중 하나만 입으면 됩니다. 단지 소매가 있고 없고의 차이일 뿐 그 기능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좀더 보온성을 높이고자 하면 긴팔의 내의을 입으십시오. 그런데 저는 좀 갑갑해서, 그냥 런닝 셔츠형의 등산용 내의를 입습니다.
이 옷은 맨 살과 바로 접촉하는 옷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등산 도중에 가장 섬찟한 느낌이 바로 땀에 젖은 옷이 식으면서 살갗에 와 닿을 때 느껴지는 “차가움” 입니다. 이러한 느낌을 없애주는 것이 이 속옷입니다. 살과 직접 닿는 옷이 젖어 있으면, 아무리 바깥에 보온력이 좋은 옷을 입어도 소용 없습니다. 이 옷은 일상에서 런닝 셔츠을 입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2. 짚 티 지퍼가 달린 티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 같습니다만, 공식적인 이름은 모르겠습니다. 동계용을 구입하셔야 합니다. 이 옷은 기본이 되는 옷입니다.
이 옷은 일상에서 내복을 입는다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3. 등산 티 이제 내복까지 입었으니, 스웨터는 입어야겠지요. 등산에서 흔히 이용되는 것이 폴라 계통의 티 입니다. 자켓 형식이 아닌 티 형식으로 나온 것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입으면, 온화한 날은 운행 중에는 문제 없을 겁니다.
저는 여기까지만 입고 운행하는 경우가 제일 많습니다.
4. 오버 자켓 (또는 고어텍스 류 자켓) 3 번까지 입었는데, 바람이 불고 해서 추위를 느낀다. 그렇다면 오버 자켓을 꺼내 입습니다. 여기까지 입으면, 운행 중에는 우리나라 날씨는 대부분 무난할 것입니다. 더 춥다면, 바람이 세차서 얼굴부분이 추운 것이지, 몸의 체온 유지는 무난할 것으로 봅니다. 고어텍스 류의 자켓은 꼭 있어야 하는가? 눈이 온다면 있어야 합니다. 방수가 되지 않은 오버 자켓이라면, 우의라도 준비 하십시오.
5. 방풍 자켓 (일명 윈드 스탑) 이 자켓은 위 3 번과 4 번을 합친 기능을 하는 자켓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3 번의 폴라 티 위에 입으면, 좀 둔해 갑갑할 것입니다. 우리의 날씨로 보건데, 3 번까지 옷에서 추위를 느낀다면, 3 번을 벗고 이 자켓을 입으십시오.
이 자켓은 꼭 있어야 하는가? 위의 3 번 4 번 옷이 있다면, 굳이 필요 없습니다. 최악의 상황에서는 1+2+3+5번을 입으시고, 4 번 오버 자켓은 맨 바깥에 입으십시오.
6. 우모복 우모복은 운행 중 입는 옷이 아닙니다 (물론 해외 원정대는 예외입니다). 운행하지 않을 때 보온용으로 사용하십시오. 꼭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보온성이 좋기 때문에 겨울 산행에 한 벌 있으면 마음 든든합니다.
7. 기타 눈이 올 때 눈이 올 때는 4 번 고어텍스 류의 방수 자켓이 있어야 합니다. (또는 우의를 준비하십시오) 옷이 젖으면 낮은 기온때문에 옷에 얼음이 얼어 보온력을 잃어 버립니다.
기온은 낮지 않으면서, 바람만 강해 추울 때 1번과 2 번만 입고 그 위에 4 번 자켓을 걸칠 수도 있습니다.
[하의] 하의는 대략 4 가지 종류가 필요합니다. ① 타이즈 (일명 내복이라고도 표현되어 판매됨) ② 동계용 바지 ③ 방풍 바지 (일명 윈드 스탑) ④ 오버 트라우저
상의는 벗었다 입었다를 할 수 있지만, 하의는 그렇게 하기가 쉽지 않지요. 그래서 집을 나설 때 산행지 그날의 기후를 잘 감안 하셔서 입으십시오.
1. 타이즈 등산용 타이즈는 몸에 밀착되어 거의 입은 것 같지가 않습니다. 아주 추운 날씨가 예상되면 입으십시오. 2. 동계용 등산 바지 특별히 추운 날씨가 아니라면, 이 바지 하나만 입어도 무난하더군요. 타이즈를 입고 이것을 입으시면, 대부분의 겨울 날씨에는 무난할 것으로 봅니다. 3. 방풍 바지 방풍 필름이 들어 있어 두껍고, 약간 뻣뻣한 느낌이 듭니다. 장거리 산행 외는 이것을 입지는 않습니다. 장거리 산행 시는 타이즈을 입고, 이것을 입습니다. 당일 산행 시는 대부분 위의 1+2 번 옷으로 족합니다.
4. 오버 트라우저 당일 산행 시는 거의 필요 없습니다. 야영 시에 등산 바지 위에 덧입습니다.
[출처] 겨울 산행 등산복 입는 방법|작성자 정종수 |
첫댓글 잘보구 가유ㅠ
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