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attempt의 어원을 풀다가
유사어인 intent를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유명인터넷에도 어원은 없었습니다
바로 세계의 언어를 찾아 봤습니다
(의도가) 있댔디 ⇌ 있댔지
(의도가) 있댔시오
(의도를) 안댔었네
(의도가) 있댔잖아
(의도를) 안단께
(의도가) 있댄댔어
(의도를) 안단다
(의견을) 냈다
(의견을) 내는
(의견을) 냈다
意定 (의정)
意圖 (의도)
의지
(생각을) 했었겠다
(생각을) 해봤었겠다
(열심히) 했었겠다
(의도가) 없었다는 겨?
(의도가) 엄슬 ⇌ 없을
(의도가) 없었다
(하지 않고) 남지라 ⇌ 남았지라
(생각을) 불러냄
(시도를) 막았었다
(상대를) 때렸었어
(의도를) 알았습니다
(계획을) 짜며 |
이렇게 나옵니다
우리들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행하는 거의 모은 것들”이 다 있습니다
이런 세계의 언어들을
풀어 놓고도 꼬박 하루를 보냈습니다
우리말이었지만 멀리서 몇 천년이 지나버려서
원래의 발음을 잃어버렸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발음이 약간 변형이 된 것을
누구나 알아차리면 제가 하는 일이 가치가 없어지겠지요?
그래서 저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제 역할은 “변형된 것을 원형대로 복원하는 것”이
제가 할일이라고 생각합니다
2603. intent (인텐트, 의도, 의향, 열중하는, 고의로):
(의도를) 안단다, (의도를) 알다가 어원
* 네덜란드: intentie ((의도가) 있댔디 ⇌ 있댔지)
* 카탈루냐: intencio ((의도가) 있댔시오)
* 스페인: intencion ((의도를) 안댔었네)
* 프랑스: intention ((의도가) 있댔잖아)
* 포르투갈: intencao ((의도를) 안단께)
* 라틴어: intentus ((의도가) 있댄댔어)
* 이탈리아: intento ((의도를) 안단다)
* 말레이시아: niat ((의견을) 냈다)
* 아일랜드: run ((의견을) 내는)
* 터키: niyet ((의견을) 냈다)
* 베트남: y dinh (意定)
* 중국: 意圖 (의도)
* 일본: 意圖 (의도)
* 한국: 의지
* 노르웨이: hensikt ((생각을) 했었겠다)
* 스웨덴: avsikt ((생각을) 해봤었겠다)
* 덴마크: hensigt ((열심히) 했었겠다)
* 아이슬란드: asetningur ((의도가) 없었다는 겨?)
* 체코: umysl ((의도가) 엄슬 ⇌ 없을)
* 독일: absicht ((의도가) 없었다)
* 크로아티아: namjera ((하지 않고) 남지라 ⇌ 남았지라)
* 남아프리카: voorneme ((생각을) 불러냄)
* 인도네시아: maksud ((시도를) 막았었다)
* 핀란드: thallisuus ((상대를) 때렸었어)
* 헝가리: elszant ((의도를) 알았습니다)
* 폴란드: zamiar ((계획을) 짜며)